회원분들과 함께  표선 바닷가를 바라보며 해안사구 모니터링을 시작하였습니다. ^^

 


바닷가 모래사장 끝자락에 숲인듯 섬인듯 형성된 것이 해안사구입니다.

 


동네주민분이신것같아요… ^^ 모니터링을 함께 해주셨습니다. (야옹~)

 


해안사구 위로 자란 나무들 사이를 따라 걸으며 모니터링을 계속 하였습니다. ^^

 


제가 잘 따라오는지 계속 돌아봐주셨어요. ^^

 


여름에는 예쁜 보라색 꽃이 피는 순비기 나무입니다. 모래에서도 자라는 특이한 나무입니다. 염분이 있어야 자라는 염생식물입니다. 이름의 유래로는 제주도 방언이 들어가있는데 숨비라는 단어가 해녀가 숨을 비우고 들어간다는 뜻인데 해녀들이 자주 겪는 잠수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하여 숨비나무→순비기나무로 변형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식물들이 사구를 단단하게 고정해줍니다.

 


해안사구 위에서 내려다본 바다의 풍경입니다. 자연은 어느 한 부분도 빠짐없이 전부 아름답고 각자의 의미가 있는것 같습니다.

 


아름답게 형성된 해안사구의 끝에는 이렇게 나무뿌리가 엉성하게 들어나있습니다. 우리들의 무관심속에 해안사구는 깎이고 사라지고 있습니다.


해안사구를 바라보는 양수남 대안사회국장의 근심어린 표정입니다.


표선 모니터링을 끝마치고 신양에 도착했습니다. 모래사장위에 가득 펼쳐진 저것은 무엇일까요?


파래입니다. 물길을 생각하지 않은 토목공사, 기후변화 등으로 제주 바닷가 곳곳에는 파래가 이렇게 해안가 가득 펼쳐져 있습니다.


해안사구 모니터링을 하러 왔지만, 다들 파래를 보고 걱정스런 모습들이었습니다. 파래가 썩으면 냄새가 심하고, 치우는 것도 골칫거리입니다.


신양을 뒤로 하고, 섭지코지에 왔습니다.


섭지코지에 위치한 해안사구입니다.


김녕의 해안사구를 열심히 모니터링하시는 회원분들의 모습입니다. ^^

해안사구란?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류가 유입됨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그런데, 해안사구에 대한 환경부의 최근 연구(2017)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또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1위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이처럼 해안사구는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적 보호의 틀 밖에 있다. 습지보전법에서 정의하는 연안습지 범위에도 해안사구는 들어있지 않다. 해안사구의 중요성에 비해 제주도 해안사구는 법적으로 전혀 보호받지 못하고 있고 행정당국에서도 관심이 없어 속수무책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오히려 행정당국이 나서서 사구에 해안도로를 만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운동은 시급하고 절박하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제주도의 소유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하다는 것을 뜻한다. 시민단체의 열의와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020년부터 해안사구 보전운동을 시작하여 지난 2월 4일부터 해안사구 모니터링을 시작했다.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해안사구 보전조례 제정운동도 펼쳐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