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마당]

강원 영동지역에서는 정말 독립운동을 안 했을까?

김인성 후원회원(MBC강원영동 기자)

 

지난해는 3·1 만세운동 100주년이었습니다. 연초부터 연말까지 그야말로 항일독립운동의 정신을 기리고, 새로운 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며 우리 정부와 나라 곳곳에서 크고 작은 이슈들이 쏟아졌습니다. 언론에서도 의미 있는 보도와 프로그램을 연이어 쏟아냈죠. 저도 라디오 다큐멘터리 ‘기미년 3월 1일 강원영동’을 방송했었고, 11월부터 12월까지 두 달 동안 영동지역의 항일운동에 관한 뉴스를 보도했습니다. 우리나라엔 몇 명의 독립운동가가 있을까요? 아니 몇 명의 독립운동가가 정부로부터 인정받고 있을까요?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2020년 1월 현재 15,825명의 독립운동가가 서훈을 받은, 그러니까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공식 독립운동가’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김구, 김좌진, 안중근, 윤봉길 등 30명이 1962년 가장 높은 훈격인 ‘대한민국장’을 받은 것을 비롯해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 건국포장, 대통령표창까지 7종류의 훈장을 15,825명이 받은 겁니다. 만세운동에 참가하지 않은 백성이 없었을 텐데 고작 15,000여명만 인정하는 정부의 서훈 정책이 옳은 거냐고 묻는 독립운동가 후손들도 있습니다.(MBC강원영동 ‘뉴스데스크 강원’ 2019년 12월 31일. ‘내년을 영동지역 독립운동사 재정립 원년으로’ 참고) 이렇게 서훈을 받으려면 본인 또는 직계가족이 독립운동 행적을 문서로 입증해야 합니다.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을 하다 체포되면 소요죄, 보안법, 치안유지법, 출판법 등 특정한 죄목을 적용받았습니다. 따라서 이때 ‘문서’란 바로 체포된 죄목과 어떤 활동으로 체포됐는지를 알 수 있는 일제 검경으로부터 수사를 받은 기록, 기소로 이어져 재판을 받은 뒤 나온 판결문, 그 판결에 따라 형무소에 갇혔던 수형기록, 그리고 당시의 상황을 보도한 신문기사가 대부분입니다.

이렇게 입증되면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공식 독립운동가’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겁니다.
그런데 강원 영동지역은 이렇게 문서로 증명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증명해야 할 문서를 생산했을 기관이 함흥과 원산, 그러니까 지금의 북한지역에 있기 때문입니다. 당시 법원과 검찰은 함흥지방법원에, 형무소는 함흥과 원산에 있었는데 그렇다보니 현재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독립운동가임을 증명할 문서가 있는지 없는지조차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동지역에서 가장 거센 항일운동이 펼쳐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양양을 제외하곤 3·1 만세운동 관련 독립운동가가 거의 알려지지 않다가 1990년대 중반에 매일신보 기사를 통해 강릉의 만세운동 기록이 발굴되며 알려지기 시작했고, 그나마 다른 지역의 경우는 지금까지도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양양도 오로지 3·1 만세운동만 알려져 있고, 다른 항일운동 기록은 거의 없습니다. 또, 3·1 만세운동도 다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민족문제연구소가 당시 함흥지방법원에 근무하던 일본인 검사 이시카와 노부나가의 수사기록을 10년쯤 전 우연히 일본에서 발굴해 지난해 10월 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발표했습니다. 당시 국내 각종 기관과 일본의 도서관 네트워크 등을 통해 ‘함흥’이란 키워드를 나름의 방식으로 추적하고 있던 저는 ‘3·1 만세운동 100주년, 도쿄에서 함흥까지’란 제목의 이 세미나 개최 소식을 듣고 개인휴가를 내고 찾아가 들었습니다. 그리곤 그 자료에서 양양군 기사문리 만세운동 주동자에 대한 기록을 찾아냈습니다. 함흥이란 지역이 일제강점기 내내 강력한 항일운동이 이어졌던 곳이어서 발견된 자료에도 대부분 함흥지역의 체포자들에 대한 기록이었지만 딱 한 건, 양양의 기록이 나온 겁니다.

2심 재판인 복심 재판 기록이 경성지방법원에서 나오거나, 서대문형무소에서 수형기록이 나오거나, 매일신보 기사를 통해 확인한 게 아닌 영동지역의 만세운동 주동자에 대한 검거 직후의 수사기록이 발견된 것은 광복 이후 처음이었습니다. 저는 이후 한 달간 여러 가지 데이터 분석과 독립운동가 단체와 후손들에 대한 취재를 이어간 뒤 11월 4일 ‘뉴스데스크 강원’ 시간을 통해 첫 번째 보도를 했고, 이후 다행히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러시아 연수 과정에 선발돼 러시아 취재를 다녀오게 됐습니다. 그 결과 11월 4일부터 12월 31일 보도까지 모두 16건 보도했습니다. 보도 내용은 이렇습니다.

 

1. 일본인 검사의 3·1 운동 수사기록 최초 발견 – 2019. 11. 04
2. 일제 검사 수사 자료에 독립운동가 후손 관심 – 2019. 11. 05
3. 영동지역에 독립운동 자료 적은 이유 – 2019. 11. 07
4. 영동지역의 독립유공자 수는 정말 적다! – 2019. 11. 12
5. 독립운동 행적 찾아도 서훈 받기 어려워 – 2019. 11. 14
6. 서대문형무소에서 실마리 찾을 수 있다! – 2019. 11. 21
7. 서대문형무소 수감자의 13.7%만 서훈 – 2019. 11. 22
8. 일제강점기 범죄인명부 전수조사 – 2019. 11. 29
9. 향토사연구소가 지역 독립운동가 발굴 노력 – 2019. 12. 06
10. 해외에서 활약한 강원도 의병 찾아야 – 2019. 12. 13
11. 러시아 연해주의 고려인들 – 2019. 12. 18
12. 러시아의 독립운동가 이범진 흔적 찾기 – 2019. 12. 19
13. 러시아의 독립운동가 후손들 – 2019. 12. 20
14. 강원도가 고향인 고려인들 – 2019. 12. 26
15. 영동지역의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운동 – 2019. 12. 27
16. 내년을 영동지역 독립운동史 재정립 원년으로 – 2019. 12. 31

강원 영동지역에서 독립운동가를 새로 찾아내기 위해선 실제로 실행되기 어려운 많은 것들이 선행돼야 합니다. 정부가 특별히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고, 북한과 일본, 러시아, 중국 등과 이 문제를 함께 풀어가야 합니다. 또, 지역사회에서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이시카와 검사의 수사기록을 통해 저는 영동지역의 만세운동에 대한 실마리를 찾았지만 이는 그대로 북한의 입장에선 함흥지역의 항
일운동을 재조명할 수 있는 소중한 사료가 될 것이기 때문에 남북이 협력하면 서로에게 이익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남북이 힘을 모아 일본과 러시아, 중국의 자료를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북한이 이를 원해야 하고, 남북을 둘러싼 국제정세가 좋은 환경이어야 한다는 등의 또 다른 전제들이 필요한 일이기 때문에 쉽지 않을 것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특히, 러시아를 통한 독립운동가 발굴을 적극 추진해야 합니다. 일제강점기 당시 원산과 블라디보스토크가 뱃길로 연결돼 있었고, 1860년대부터 이주가 시작돼 연해주에는 많은 우리 국민이 살고 있었습니다. 무장독립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기도 했습니다.

1937년 중앙아시아로의 강제 이주가 벌어져 우리 백성들은 뿔뿔이 흩어지게 됐고, 조국과 고향, 우리말과 글을 잊은 채 살게 됐습니다. 광복 이후 서둘러 이 사람들을 찾아나섰어야 했지만 냉전을 거치면서 러시아는 적성국가였기 때문에 당시 우리 독립운동가들의 후손들에 대한 기록을 찾지 못한 채 오랜 세
월 살고 있습니다. 그들은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에도 살고 있지만 국내에도 고려인이란 이름으로 살고 있습니다. 이제 더 늦기 전에 그들을 통한 독립운동 역사 발굴에 적극 나서야 합니다. 마침 올해는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를 맺은 지 3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따라서 양국이 좀 더 적극 나서면 좋겠습니다.
영동지역에선 정말로 독립운동이 없었던 것일까요? 정부와 지역사회, 한국과 주변국들,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우리 동포들과 국내에 사는 고려인들이 모두 힘을 모으고 머리를 맞대면 좋겠습니다. 백수십 년의 세월을 초월해 힘과 지혜를 모아 그때 그 우리의 처절했던 역사를 되찾으려는 노력을 기울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