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2019년 일제잔재 청산 움직임이 활발했던 학교 현장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었던 지난해 전국의 여러 교육청과 교육단체들은 학교 현장에 남아있는 일제잔재를 조사하고 청산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전남교육청은 작년 12월 16일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에서 학교장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학교 내 친일잔재 청산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4월부터 전문가그룹이 참여한 가운데 전수조사를 벌여 도내 169개 학교에서 일제 양식의 각종 석물과 교표(학교를 상징하는 무늬나 휘장), 친일음악가 작곡 교가, 일제식 용어가 포함된 학생생활규정 등 175건의 친일잔재를 확인했다.

확인된 친일잔재는 일제 양식의 석물 34건, 친일음악가 제작 교가 96건, 학생생활규정 33건, 욱일기 양식의 교표 12건 등이다. 그 결과 석물 16개가 놓여 있는 현장에 친일잔재임을 확인하는 안내문을 설치했다. 이는 해당 석물이 일제식민통치 협력자의 공적비이거나 일제식 양식임을 알려 학생들의 역사교육에 적극 활용토록 하기 위함이다.

친일음악가가 제작한 교가를 사용하고 있는 14개 학교에 대해서도 예산을 지원해 교가를 새로 제작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친일잔재 용어가 포함된 학생생활규정 전체를 수정·보완했고 욱일기 양식의 교표도 시대에 맞게 학교 자체적으로 8개교가 수정 보완했다. 도교육청은 앞으로도 일제식 석물 안내문 설치, 새 교가 제작 등 학교 내 친일잔재 청산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역대 교육감 중 친일 또는 항일 행적이 뚜렷한 사실에 대해서는 도교육청 홈페이지에 탑재할 계획이다.

광주광역시교육청도 12월 26일 관내 초·중·고·특수학교장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교육현장 일제잔재 조사 및 청산 사업 성과보고회’를 열었다. 교가의 경우 친일인사가 작사‧작곡한 교가 14개교 중 6개교의 교가가 교체·완료됐으며 일본 음계, 군가풍 리듬, 7.5조 율격, 선율 오류 등의 교가를 사용하고 있던 5개교의 교가도 교체됐다.

아울러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욱일기 문양의 교표를 12개교에서 교체했고, 끝이 뾰족한 일본 충혼비 양식의 석물 3건에 대해서도 안내문을 설치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하도록 했다. 성과보고회에 참석한 이재남 정책국장은 “친일잔재 청산사업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더 확산되어야 한다”며 “올해는 학교상징물인 교가, 교표, 석물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지만 앞으로는 학교문화 속에 남아있는 친일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고 강조했다.

부산, 울산, 경남의 경우는 학부모단체가 앞장섰다. 교육희망경남학부모회(대표 전진숙)는 경남지역 1,656개 초‧중‧고교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여 10월 23일 경남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내 친일잔재 청산을 촉구했다. 이 단체는 9월 한 달 동안 학교 홈페이지와 현장 조사를 벌여 이를 파악했다. 전진숙 대표는 “친일잔재가 학교 안에 의외로 많다. 그리고 교화와 교목, 교가, 교훈이 시대에 맞지 않고 차별적인 요소가 많았다”고 했다.

교육희망 울산학부모회는 10월 22일 울산시교육청 프레스센터에서 ‘학교상징으로 본 일제잔재와 성차별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단체는 9월 한 달간 초등학교 119개, 중학교 63개, 고등학교 57개, 특수학교 4개 등 총 243개 학교의 교표, 교화, 교목, 교가 등을 모두 조사했다고 설명했다.
부산교육희망네트워크는 지난해 6월 말부터 7월 말까지 약 한 달 동안 소속 단체들이 자치구를 나누어 초, 중, 고등학교의 교화, 교목, 교가 등을 중점 검토해 8월 12일 부산시교육청앞에서 부산지역 학교 내 일제잔재 실태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 방학진 기획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