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비망록 53]

이른바 ‘철도파괴범’ 처형장면의 현장, 도화동 공동묘지
그들의 죽음은 어떻게 일제의 선전도구로 활용되었나?

 

육영공원(育英公院) 교사로 처음 우리나라에 건너와 오랜 세월 출판과 언론을 포함하여 다양한 활동을 했던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 1863~1949)가 남긴 저작물인 (1906)에는 이른바 ‘철도파괴범’의 처형 장면을 담은 사진 하나가 수록되어 있다. 이런저런 매체를 통하여 널리 알려진 탓에 여느 사람들에게도 제법 익숙한 이 사진에는 “군율(martial law); 일본이 무상으로 토지를 징발한 데에 항거하여 철로를 중지시킨 일로 총살된 세 명의 한국인”이라는 설명이 붙어 있다. 이들의 정체에 대해서는 일찍이 1904년 9월 22일자에 수록된 「해철처형(害鐵處刑)」 제하의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군용철도는 경의선(京義線)을 일컫는 표현이다.

 

작일(昨日) 상오(上午) 10시에 일본 위관(日本 尉官) 1인(人)과 헌병(憲兵) 8명(名)과 병정(兵丁) 40명(名)이 군용철도(軍用鐵道)에 방해(妨害)한 자(者) 아현거 김성삼(阿峴居 金聖三), 양주거 이춘근(楊州居 李春勤), 신수철리거 안순서(新水鐵里居 安順瑞) 등(等) 3인을 공덕리 부근(孔德里 附近)에서 포살(礮殺; 총살)하였더라.

 

이 기사에 따르면 러일전쟁이 터지고 세상이 온통 일본인들이 득세하는 상황으로 바뀌고 있을 때 이에 항거하다가 ‘철도파괴범’으로 처형된 것이 바로 이들 김성삼(아현 거주), 이춘근(양주 거주), 안순서(신수철리 거주) 세 사람의 운명이었다. 이 시기에 일본인들의 횡포가 얼마나 극심했는지는 ????대한매일신보???? 1904년 9월 21일자에 게재된 「가련한인」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법부에서 외부로 조회하되, 고양군보를 거한즉 음력 7월 17일에 철도역부 일인 3명이 본군 외성동 상리 이덕근 가에 승야 돌입하여 닭을 탈취하려다가 쫓겨 가더니 즉시 또 그 집 내정에돌입하여 부녀를 겁간하려는데 덕근은 출타하고 그 부친 제하와 그 아우 인화가 집에 있다가 일인을 꾸짖었더니 해 일인 등이 몽둥이로 난타하여 제하는 당장 치사하고 인화도 중상하였슨 즉 극히 참혹하다 하였으니 곧 일관에 조회하여 해 죄범을 착득하여 처형케 하라 하였더라.

 

경의철도의 건설에 종사하는 일본인 역부 세 사람이 야밤을 틈타 인근 동네에 들어가 닭을 훔쳐가려다가 들키게 되자, 되려 부녀자를 겁간하려는 것은 물론 사람까지 때려죽이는 만행을 저질렀던 것이다. 글자 그대로 ‘적반하장(賊反荷杖)’의 상황이 아닐 수 없었다.

호머 헐버트의  (1906)에 수록된 이른바 ‘철도파괴범’의 총살형 집행후 군의관에 의한 검시 장면이다. 이때 일본군은 사진사들을 동원하여 9매에 달하는 연속 사진을 촬영하였고, 누구나 살 수 있도록 이를 판매용으로 제작하여 대량으로 배포하였다.

1904년 9월 22일자에 수록된 내용을 통해 이때 처형된 이들의 정체가 김성삼, 이춘근, 안순서 등 3인이며, 총살형을 당한 장소가 공덕리 부근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1905년 6월 20일 발행)에 수록된 ‘철도선로 방해자의 사형집행’ 광경이다. 뒤쪽으로 보이는 공동묘지는 장소 확인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공연히 남의 나라 백성을 셋이나 처형한 사건에 대한 일본 측의 대응도 이것과 하등 다르지 않았다.
????주한일본공사관기록(駐韓日本公使館記錄)???? 24권에는 일본공사관에서 대한제국 외부로 보내는 공문서가 남아 있는데, 여기에 「김성삼 등 군율시행통보(金聖三 等 軍律施行通報) 및 대민훈계요청(對民訓戒要請)」이라는 문건이 포함되어 있다.
말하자면 이들이 처형을 당한 것은 스스로 자초한 일일 뿐만 아니라 다른 한국인들도 이러한 지경에 처하지 않도록 한국정부에서 잘 훈계 조치를 하라는 내용으로 일방통고를 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일본의 횡포는 당시 서울에서 거주하고 있는 서양인들의 경악을 자아내기도 하였는데, 대한제국 시절에 궁내부 소속의 시의(侍醫)를 지낸 독일인 리하르트 분쉬(Richard Wunsch, 富彦士; 1869~1911)가 남겨놓은 일기와 서한을 묶어서 엮어낸 책을 보면 다음과 같은 구절이 등장한다.

서울, 1904년 10월 6일
…… 일본 사람들은 그들이 하고자 하는 일을 그럭저럭 잘하고 있습니다. 일본사람들을 게으르고 믿을 수 없는 한국인에게 권리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 그들은 유럽 사람들이 크게 놀랄 일을 저질렀답니다. 제 집에서 15분 정도 떨어진 곳에서 총을 쏴 한국인 세 사람을 죽인 것이죠. 들리는 바에 따르면 그 한국인들을 술에 취해 서울―의주간 철도공사에 피해를 입혔다고 합니다. 여기는 이미 전시법이 공포되어 총살은 특별한 일도 아니었지만, 사형 집행과정을 사진사 두 명에게 찍게 하는 등 일처리를 공개적으로 한 것은 불쾌했습니다. 이 지독한 총살장면이 담긴 사진을 살 수도 있답니다.
[인용출처 : 김종대 옮김, , 학고재, 1999, 136쪽]

 

여기에서는 무엇보다도 사진사 두 명을 동원하여 이러한 잔혹한 장면을 사진으로 담아내게 했다는 대목이 분노를 자아내게 한다. 그리고 이 무렵 프랑스의 시사화보인 1904년 12월 18일자에 수록된 「사형수를 대상으로 한 사격연습」 제하의 기사는 이른바 ‘철도파괴범’의 처형에 관한 내막을 소상하게 전달하고 있는데, 여기에도 어김없이 사진에 관한 얘기가 등장하고 있다.

(전략) 본지 특파원은 즉석 사진 몇 장과 함께 참혹한 현장의 소식을 전하였다. 사진은 서울의 일본인 사진사들로부터 돈을 주고 쉽게 구한 것으로, 그들은 이 사진이 가져올 여파에는 전혀 신경 쓰지 않았다고 한다.
서울 인근에 농부 세 명이 살았는데 주변 사람들 말에 따르면 그중 한 명은 과부의 아들로 스무 살도 채 되지 않았고, 모두 문맹인데다 아는 것은 없고 술만 마셔댔다고 한다. 생각 없이 행동하던 세 농부는 어느 날 저녁 서울에서 의주로 향하는 철도의 철로를 건넜다고 한다.
그런데 철로에서 선로변경장치를 발견하고는 신문물을 신기하게 여겨 장치를 조작하기 시작하였다.
그 때문에 장치가 상하였을까? 그럴 가능성도 있지만 그렇다고 별다른 악의를 가지고 하였던 행동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순찰중이던 일본 헌병이 다가와 다짜고짜 불쌍한 사고뭉치들을 검거해 서울로 호송하였다. 세 농부는 군사법원에서 재판을 받게 되었고 결백을 호소하였지만 러시아를 위한 행동이었다는 의심을 받아 결국 ‘범죄’현장에서의 처형이 결정되었다.
그 다음은 이렇게 진행되었다. 서울의 공인 사진사들을 인력거로 처형장까지 데려와 흥미로운 장면을 찍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하략) [재인용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 2017, 222쪽]

 

여기에서 보듯이 한국주차 일본군대가 저지른 총살형 장면은 이를 은폐하거나 비공개로 처리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본인 사진사들을 동원하여 그 광경을 찍게 하고 그것을 판매용으로 제작하여 “아무라도 쉽게 구할 수 있을 만큼” 널리 배포하는 방식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이 잘 드러난다. 여기에는 일본의 군사시설에 해코지를 하거나 자신들의 위력에 감히 맞선다면 누구라도 이러한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노골적인 무력과시의 의도가 깔려 있었음은 물론이었다.
이로부터 한 달 보름여가 지난 1904년 11월 8일에 간행된 제10권(박문관 발행)을 보면, ‘한국철도방해자의 처형’이라는 제목 아래 총살형 장면과 관련하여 넉 장의 사진자료가 함께 수록된 것이 확인된다. 여기에는 “8월 27일 한국 용산 부근에서 우리 군용철도에 방해를 가하여 체포된 비적(匪賊) 김성삼, 이춘근, 안순서 3인은 9월 20일 군법회의(軍法會議)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21일 오전 10시 마포가도(麻浦街道) 철도답절(鐵道踏切, 철길 건널목)의 좌측 산기슭에서 총살되었다”는 설명 구절이 붙어 있다.

그런데 여러 자료에 흩어져 수록된 이들의 처형 장면을 다시 취합하면, 당초에 최소 9매 이상의 사진이 촬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에 포함된 일련의 사진들은 흰 천으로 눈을 가린 채 세 사람을 인력거에 태워 처형장까지 이동하는 장면이 석 장이고, 십자가 나무기둥에 묶어 처형을 하기 직전 상황을 담은 것이 두 장, ‘무릎쏴’ 자세를 취하고 있는 일본 군인들이 등장하는 장면이 두 장, 총살형 집행 후에 군의관이 검시(檢視)하는 광경이 두 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대개 일본인 사진관을 통해 묶음으로 팔려나가 어떤 것은 낱장으로, 어떤 경우에는 서너 장 단위로 지면에 등장하곤 했던 것이다. 비단 헐버트의 책만이 아니라 근대시기 이 땅을 찾은 여러 서양인 탐방객들이 남겨놓은 여행기나 회고록, 그리고 화보잡지와 같은 종류의 매체에도 이들의 처형장면이 곧잘 등장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김성삼, 이춘근, 안순서 3인이 총살형을 당한 장소는 어디였던 것일까? 이에 관해서는 우선 공덕리 부근이라든가 마포가도 철도건널목 좌측 산기슭이라든가 하는 구절을 통해 개략적인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결정적인 단서는 사진 속 배경에 보이는 공동묘지의 존재이다.

경의선 철도와 마포행 전차선로가 교차하는 지점 바로 아래에 보이는 작은 산봉우리가 ‘도화동 공동묘지’가 있던 장소이다. (, 1929)

 

조선총독부 육지측량부에서 펴낸 「일만분일 경성(1915년 측도)」(1917년 발행) 지도자료를 보면, 경의선철로와 마포전찻길이 교차하는 지점(지금의 공항철도 공덕역 자리) 아래에 작은봉우리 지형이 있고 바로 이곳에 인근 지역을 통틀어 유일하게 ‘공동묘지’의 표시가 또렷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지도의 제작연대가 러일전쟁 시기와는 10년가량의 격차가 있으나, 공동묘지라는 것이 금세 만들어졌다가 사라지는 존재가 아니라는 점에서 동일한 공간이라고 판단하기에 충분하다.

(1929)를 통해 확인한 ‘도화동 1번지’와 ‘도화동 5번지’의 위치이다. 남서쪽으로 인접한 ‘도화동 7번지’구역은 ‘마포연와공장’(지금의 마포삼성아파트 자리)으로 잘 알려진 공간이다.

 

이러한 표시를 염두에 두고 1912년에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調査局)에서 작성한 를 뒤져보니, 경성부 용산면 도화동(京城府 龍山面 桃花洞) 1번지(국유지, 745평)와 5번지(국유지, 5,098평)의 지목(地目)이 분묘지(墳墓地)로 표시된 것이 눈에 띈다. 그러니까 이자리가 이른바 ‘철도파괴범’으로 죽은 세 사람의 처형 현장인 것이다. 이곳과 바로 남쪽으로 이웃하는 도화동 7번지(국유지, 13,969평)는 1907년 10월에 준공된 탁지부 연와제조소(度支部煉瓦製造所; 나중에 ‘경성감옥 연와공장’으로 전환)가 들어서는 자리이기도 하다.
그런데 지난 1986년에 한불수교(韓佛修交) 100주년과 관련하여 당시 ????조선일보????의 지면을
통해 근대 시기 프랑스에서 발행된 화보잡지에 수록된 한국 관련 삽화들을 소개하는 와중에
이들 세 사람의 처형 장면도 함께 널리 알려진 일이 있었다. 이를 계기로 이들의 행적에 관한 기록 확인은 물론 처형지에 대한 고증작업도 추진된 바 있었으며, 자연스레 역사학계에서는 3
인의 항거를 일컬어 새로 발굴된 ‘의병(義兵)’ 활동의 하나라는 평가가 내리기에 이른다.

 

1912년에 작성된 ????토지조사부????에는 도화동 1번지와 5번지의 지목이 ‘분묘지(墳墓地)’로 표시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국가기록원)

 

????대한민국정부기록사진집???? 제6권(2002)에 수록된 ‘마포아파트’ 일대의 항공사진(1965년 3월 8일 촬영)이다. 오른쪽에 길게
둔덕처럼 보이는 것이 경의선 철길이고, 마포아파트 옆쪽에 주택지로 둘러싸여 민둥산처럼 봉우리만 간신히 남은 곳이 ‘도화
동 공동묘지’가 있던 자리이다. (ⓒ국정홍보처)

 

이와 아울러 이들의 항거를 기리기 위한 기념조형물에 관한 공론화의 결과로 서울시에서 이
를 건립하겠다고 공표했는데,
????조선일보???? 1986년 3월 30일자에 수록된 「일제에 학살된 세 의
병 기념물 세우기로, 염(廉) 서울시장 “역사교육장 활용”
」 제하의 기사에는 이러한 내용이 나
온다.

 

속보= 염보현(廉普鉉) 서울시장은 29일 “구한말 일제에 맞서 싸우다 학살당한 세 의병의
처형장소에 기념물을 세워, 후손들이 선조들의 의거를 기리고 살아 있는 역사교육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염시장은 ‘학살된 3의병의 기념비를 세우자’는 각계의 움직임(조선일보 29일자 11면 보도)
에 서울시가 적극 동참, 수난의 역사를 현장으로 후세에 남겨주는 데 일익을 맡겠다고 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문화유적고증위원회에 보다 더 정확한 사실(史實)과 위치의 규명
을 의뢰하고, 시정자문위원회의 의견을 들어 기념물의 형태를 결정하겠다고 염시장은 덧
붙였다.
또 기념물 설치부지에 대해서는 학살현장인 서울 마포구 도화동 일대가 주택재개발구역인
만큼, 재개발사업 추진으로 확보되는 공공용지를 활용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염
시장은 그러나 “기념물 설치로 현지 주민들이 재산상 어떤 피해도 입지 않도록 일을 추진
하겠다”고 말했다.

 

이로부터 5년이 지난 1991년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공적 평가를 바탕으로 김성삼, 이춘근, 안
순서 등 3인에 대해 ‘건국훈장 애국장(建國勳章 愛國章)’이 일괄 추서되었다. 그러나 당초 서울
시장이 언급했던 기념물 건립에 관한 약속은 무려 30여 년의 세월이 흐르도록 아직껏 완료되
었다는 소식을 들어본 적이 없으니 참으로 아쉬운 대목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