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관계로서 지역농산물
‘경제성장’과 ‘편리함’의 결과로 지역과 농업, 농촌의 희생과 해체가 있었다고 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이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여 문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니라 이 둘을 별개로 인식하여 양립 가능한 것처럼 여기고 있다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라 했다. 지역과 농업, 농촌의 문제를 지금과 같은 효율성, 양적 성장의 이데올로기 속에서도 해결 가능한 것처럼 말하는 것은 원인을 그대로 두고 결과를 고치겠다는 것이니 이는 미봉책이며, 증상만을 완화시키는 대증요법에 불과한 것이다.
단어나 개념은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그 단어 속에는 이미 사회적 맥락, 권력관계, 생산관계 등 그 사회의 지배적 이념이 반영되어 있다. 우리가 식품을 살 때 중요하게 보는 ‘편의성’이라는 단어는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편의라는 것은 편하고 좋다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이 뭐가 나쁘냐고? 당연히 문제제기할 수 있다. 맞다. 이것은 ‘좋다, 나쁘다’의 문제가 아니라 ‘선택의 문제’이다. 이 말의 의미는 선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택으로 인해 일련의 과정과 결과까지도 선택한 것이며, 그래서 시간적으로 한참 후에 발생하는 결과까지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편리함을 선택하면 이후 그에 따른 필연적인 부작용도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래’의 그 부작용이 싫다면 ‘지금’의 이 선택을 하지 말자는 의미다. ‘현재’의 부작용을 보고 ‘과거’의 선택을 되돌릴 수는 없겠지만, 현재의 선택을 달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편의성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일면적 인식과 선택과 결과 사이에 가로 놓인 ‘시간’이라는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이런 역사적이고 총체적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선택이라는 것이다. 힘든 것과 좋은 것을 함께 하는 세상을 살 것인지 아니면 좋은 것만, 꽃길만 걷고 힘든 것과 나쁜 것, 진흙길은 밖으로 타자에게 떠넘길 것인지? 대형쇼핑몰에서 좀 편하게 사는 것이 뭐가 잘못됐냐고 묻는다. 다시 말하지만 잘못되지 않았다. 그 선택이 나의 삶을 다시 규정해 들어온다. 나의 삶을 규정해 들어오는 힘의 원인이 체제나 구조, 타인에게 있지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나의 그런 행동은 모두의 행동과 같다. 나만 특별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도 여러 사람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내가 그렇게 생각하고 행동하면 대부분 사람들도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이 보편적 진실에 가깝다. 즉 나의 사소하게 보이는 행동이 그런 사회 구조를 더욱 공고히 하는 것이고, 그 결과 우리는 지역농산물과 멀어지게 되고, 역설적으로 우리 삶도 편리함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결국 그 선택으로 인한 결과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기능성도 비슷하다. 우리는 식품을 총체적으로 흡수한다. 3대 영양소와 칼로리만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온 우주를 섭취한다. 왜냐하면 우리 몸이 3대 영양소만이 아닌 수많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우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삶이 요소들 간의 관계-우리 인식에 포착되지 않았거나 잘 모르는 것을 표현하는 말-가 깨지면 무엇이 부족하게 된다. 그러면 원인을 찾아 그 원인에 가서 해결해야 하는데, 증상에 대해 분석적으로 파악한다. 뭐가 부족해서 그렇다. 그러면서 특정 식품이나 물질을 보충한다. 이런 부족은 단지 그 요소의 부족이 문제가 아니라 그 요속의 결핍을 일으킨 원인, 즉 사회와 관계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이런 분석적이고 분절인 인식은 ‘합리성과 효율’을 추구하는 분업화된 자본주의적 방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편의성과 기능성은 기술을 통해 실현된다. 하나의 예로 냉장고가 그렇다. 우리는 이 냉장고를 그저 하나의 편리한 기술, 제품 정도로만 생각한다. 그러나 그 기술과 제품은 음식을 신선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는 편의와 기능만 가진 것이 아니다. 기술에는 사회적 관계와 생산관계, 그 사회의 이념까지 내포되어 있다. 그리고 사회의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 한다. 동네 두부, 콩나물가게, 정육점 등이 왜 사라졌을까? 단지 그들의 경쟁력이 부족해서 일까? 경쟁력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냐에 따라 사실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이들이 사라지게 된 것은 기술 발전에 있고, 그 기술발전은 오래된 경험과 숙련을 대신하는 거대 장치들로 많은 자본을 필요로 한다. 자본동원력에서 지역공장은 거대자본에 비해 경쟁력이 없었던 것이다. 그렇게 두부판과 콩나물시루를 자전거에 싣고 지역을 돌면서 공급하던 소규모 두부공장과 콩나물 공장이 사라진 것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이제 바가지를 매번 들고 가지 않아도 되니 좋다. 깔끔한 비닐포장에 신선한 냉장실에 보관되어 있는 콩나물과 두부를 사서 집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요리하면 된다. 너무 편하다. 그러나 조금만 들여다보자. 신선해 보이지만, 이미 며칠 지난 두부이다. 그렇게 냉장고 안에는 오랜 된 상하지 않은 식재료들로 가득하다. 그 냉장기술과 시스템에 의해 지역이 무너졌다. 자전거로 공급할 정도의 지역마다 있던 두부공장과 콩나물공장이 다 사라지고, 매일매일 공급하던 신선한 두부와 콩나물도 없어졌다. 냉장시설이 없으니 전기도 필요 없고, 플라스틱 포장재, 비닐도 필요 없어도 된다. 운송도 가까우니 첨단 ‘콜드체인시스템’을 갖춘 탑차 대신 자전거면 충분하다. 원거리 수송이 아니니 식품첨가물도, 추가적인 에너지 투입도 필요 없다. 이 둘 사이의 중요한 차이는 사회적 관계, 인간관계의 차이이다. 그리고 지역에 대한 그들의 생각과 그 내용의 차이이다. 지역 주민을 위한 ‘가공’과 전국을 시장으로 생각하는 ‘자본주의적 생산’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무엇을 위해 생산하느냐 하는 점에서 근본적 차이가 있다. ‘사람과 지역’이냐 더 많은 ‘이윤획득’이냐 하는.
신동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