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도쿄에서 함흥으로: 일제 문서로 보는 2.8독립선언과 3.1운동’ 학술회의 열려

10월 4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한국언론회관 19층 기자회견장에서 민족문제연구소가 주최하고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이 주관하며, 서울시·강북구·식민지역사박물관이 후원한 ‘도쿄에서 함흥으로: 일제 문서로 보는 2.8독립선언과 3.1운동’ 학술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번 학술회의의 취지는 3·1운동 100주년을 정리하면서, 1919년 그때 우리 민족이 치열하게 추구했던 독립정신과 민주공화주의를 다시 한 번 조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자리에서 일본에서 새로 발굴된 〈2·8독립선언 서명자 취조기록〉과 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총독부 함흥지방법원 검사국 검사 이시카와의 함경도 지역 3·1운동 관련자 기소 준비자료 〈대정8년 보안법사건〉을 처음으로 집중 분석하였다.

학술회의는 개회식을 시작으로, 1부와 2부 주제 발표 및 3부 종합토론으로 진행되었다. 개회식에서 임헌영 소장의 개회사와 박겸수 강북구청장의 환영사, 그리고 한완상 대통령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의 격려사, 이준식 독립기념관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1부 ‘2·8독립선언과 3·1운동’에서 최우석 독립기념관 연구원은 ‘2·8과 3·1 사이-3·1운동 준비과정을 중심으로’를 발제했다. 최 연구원은 3·1운동의 준비과정에서 2·8독립선언이 끼친 영향이 매우 컸다고 말하고 재일조선인유학생 송계백 고국 방문 시점의 분석과 민족대표들의 독립청원에서 독립선언으로 변화과정을 정리하여 자신의 논지를 입증하였다. 이어서 미야모토 마사아키(宮本正明) 와세다대학 대학사자료센터 연구원이 ‘취조기록을 통해 본 2·8독립 선언으로의 도정’을 발제했다. 여기서의 취조기록은 2012년 일본에서 발굴된 「東京辯護會·第二東京辯護士會合同圖書館所藏刑事訴訟記錄」 속에 포함된 「출판법위반」 부책(簿冊)이다.
미야모토 연구원은 2·8 독립선언 서명자(최팔용, 김도연, 김철수, 백관수, 윤창석, 이종근, 송계백, 김상덕, 서춘)를 일본 경찰과 검찰이 출판법 위반 혐의로 취조한 내용과 이들의 공판기록 등을 통해 2·8 독립선언 과정을 재구성했다. 신문기록상에는 최팔용이 2·8독립선언의 중심인물이며 선언서 작성에 이광수뿐 아니라 다른 서명자들이 참여했음을 새로이 밝혀냈다.
2부의 주제는 이시카와 자료와 함경도 지역 3·1운동이다. 첫 번째로 민족문제연구소 권시용 연구원은 ‘3·1운동 참여자 처벌과 법 적용’을 발제했다. 이 발제를 통해 이시카와 검사가 115개 사건에서 총 943명을 조사해 보안법, 출판법, 형법의 소요죄와 상해죄, 훼기, 방화죄, 제령 제7호를 적용해 529명을 기소했고 이중 광범위하게 적용된 혐의는 보안법 제7조 치안방해(81건)였음을 밝혔다. 한편 이시카와 검사의 기소자들에 대한 2심 판결 검토에서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판결을 하거나 적용 법령의 일부를 취소하고, 기소자의 34.5%가 1심보다 감형되는 사례를 확인함으로써 재판부가 3·1운동을 강경하게 진압하고 최대한 중형을 내리려 한 총독부의 방침에 완전히 부응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조한성 연구원의 ‘함남 함흥의 지역 네트워크와 3·1운동’ 발제가 있었다. 조 연구원은 이사카와 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함흥군의 지역적 특성과 기독교 학교의 실태를 확인하고 3·1운동 소식을 함흥군에 알렸던 이순영(원산), 강봉우(북간도)의 기독교적 배경과 역할을 살펴보고 함흥군에서 일어난 독립신문·격문 제작 배포운동과 조선인 관리 동맹사직운동의 전개양상을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3·1운동과 관련해 함흥군의 다양한 지역 네트워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명숙 연구원은 ‘함남 이원 3·1운동의 내외적 전파와 전개’를 발제했다. 이 연구원은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3·1운동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이원군 3·1운동의 진행과정과 천도교를 중심으로 한 시위 조직과 주체를 이시카와 자료와 국사편찬위원회의 삼일운동DB를 활용해 면밀히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원군뿐 아니라 함경도 지역의 독립선언서 유입과 전파과정을 정리하고 각 군의 만세시위가 조직되어가는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밝혀놓았다.
3부 종합토론에서는 한상권 전 덕성여대 교수를 좌장으로 하고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 윤소영 독립기념관 연구원, 장신 한국교원대 교수, 김승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장, 허영란 울산대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하여 열띤 논의를 벌였다.

•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