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비망록 50]

용산중학교, 일본 군인과 철도종사원의 자제들을 위한 교육기관
일본군 병영지의 배후지역에 포진한 일본인 학교들의 연혁

 

이순우 책임연구원

 

총독부 기관지인 일본어 신문 <경성일보> 1941년 9월 3일자에는 이른바 ‘용중(龍中, 용산중학교)’ 출신의 일본군 장교인 무로 켄조(室兼三)라는 육군대위가 중국 난주(蘭州) 공습에 참가하였다가 고사포에 맞아 자폭(自爆)하면서 전사했다는 소식이 장황하게 서술되어 있다. 이 기사에는 그의 모교 담임선생이었던 마츠나가 교유(松永 敎諭)의 말을 빌려 그가 용산중학교를 다닐 때의 증언담이 이렇게 실려 있다.

 

무로 군은 소화 5년(1930년) 치바중학(千葉中學)에서 전학을 왔는데 소화 7년(1932년) 졸업 당시는 전체 생도 183명 중 141등으로 전혀 볼품이 없는 성적이었으나 졸업 후에 육사(陸士, 육군사관학교)의 난관돌파를 목표로 삼아 맹렬히 분발하여 마침내 희망하던 육사를 패스했던 것입니다. 이러한 간바리즘(頑張りズム)은 소위(所謂) 용중혼(龍中魂)이라고 해도 좋지 않을까요?

 

(왼쪽) <경성일보> 1941년 9월 3일자에 수록된 ‘용산중학교’ 출신 육군대위 무로 켄조의 전사관련 보도내용이다. 그가 이 학교를 졸업한 것은 전적으로 자신의 아버지가 조선 주둔 제20사단장인 탓이었다. (오른쪽) <매일신보> 1930년 8월 5일자에 수록된 ‘신임 제20사단장 무로 켄지 중장’의 모습이다.
그의 아들이 용산중학교로 전학 와서 졸업한 시기는 그의 재임기간과 고스란히 일치한다.

 

그렇다면 그가 애당초 일본에서 경성으로 전학을 온 연유는 무엇이었을까? 알고 보니 그의 부친이 용산 주둔 일본군 제20사단장인 육군중장 무로 켄지(室兼次, 1876~1966. 재임 1930.8.1~1932.8.8)였던 것이다. 일본 치바현(千葉縣)에 자리한 육군야전포병학교(陸軍野戰砲兵學校)의 교장이던 무로 중장이 조선군사령부 제20사단장으로 부임한 때가 1930년 8월인데, 그의 아들 역시 아버지의 근무지 변경에 따라 치바중학교에서 용산중학교로 전학했던 시기가 그대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기사에 나타난 사례는 바로 용산중학교의 존재 이유가 일본군 병영지의 배후지역에서 주로 군인들의 자제들을 위한 중등교육기관이라는 점에 있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더구나 이곳은 분명 일본인 학교인데 일본인이 아닌 조선인들이 이 학교를 다닌 경우가 더러더러 눈에 띄기도 한다.

 

1921년 8월 3일 일본 나고야(名古屋)에서 태어났다. 본적은 충청남도 공주다. 일본육사 제26기 졸업생으로서 일본군 대좌를 지낸 유승렬(劉升烈)의 차남이다.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보령군수를 지낸 큰 아버지 유익렬(劉益烈)에게 양자로 출계(出系)했다. 다섯 살 되던 해 부친이 대위로 승진해 함경북도 나남으로 부임지를 옮기면서 경원군으로 이사했다.
경원의 소학교를 다니다가 3학년 때 나남소학교로 전학했다. 1년만인 1932년 부친이 용산 제20사단 보병 제79연대 대위로 옮기자 경성 삼판심상소학교로 전학했다. 1932년 경성의 용산중학교를 입학했으나 3학년 때 부친이 평양 77연대로 전속(轉屬)되어 평안북도 일원의 신의주중학교, 신의주동중학교, 신의주상업학교, 의주농업학교, 정주 오산중학교의 배속장교를 맡게 되자 신의주중학교로 전학했다.
1937년 신의주중학교 4학년 2학기에 평양 77연대에서 일본육사 예과에 응시해 합격한 후 1939년 12월 일본육군예과사관학교를 입학했다. (하략)

 

용산병영지의 확장과 맞물려 1918년에 설립되고 다시 1919년 6월에 준공된 용산중학교의 모습이다. 이 학교는 원래 관립학교였으나 1925년 4월부터 공립학교로 전환되었다. (<경성과 인천(京城と仁川)>, 1929)

 

<매일신보> 1938년 1월 1일자에 수록된 일본군 대대장 김석원(金錫源) 보병소좌의 가정탐방기사이다. 여기에는 그의 아들 김영철(金泳哲)이 용산중학교에 재학중인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내용은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가 펴낸 <친일인명사전>(민족문제연구소, 2009)에 수록된 일본군 대위 출신 ‘유재흥(劉載興, 1921~2011)’ 항목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유재흥 또한 1932년 용산에 자리한 삼판소학교(三坂小學校, 지금의 삼광초등학교)를 거쳐 용산중학교에 재학하게 된 것은 전적으로 일본군 보병대위였던 아버지 유승렬(1891~1958)의 근무지를 따라 다닌 결과로 볼 수 있다.
이것 말고도 제20사단 제78연대 대대장으로 중일전쟁에 가담했던 보병소좌 김석원(金錫源, 1893~1978)의 경우도 동일한 사례에 속한다.
<매일신보> 1938년 1월 1일자에 수록된 「출정장사가족(出征將士家族) 신년(新年)맞이, 가장(家長)의 무운장구(武運長久) 기원(祈願)으로 영신(迎新), 김석원 부대장 가정(金錫源 部隊長 家庭)」 제하의 기사를 보면, 그의 장남 김영철(金泳哲, 1921년 2월생)이 용산중학교 4학년생이면서 경성제대 예과 입학준비에 분주하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 대목에서 용산중학교의 설립 연혁을 잠시 살펴보면, 이 학교는 1918년 4월 1일 조선총독부중학교 관제에 따라 대전중학교와 동시에 신설된 내력을 지녔다. 원래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일본인 중학교의 연원은 1909년 5월 22일에 친일단체 일진회(一進會)의 소유였던 독립관 국민연설대를 빌려 개교한 ‘경성거류민단립(京城居留民團立) 경성중학교’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9년 5월 22일에 발행된 ‘경성거류민단립 경성중학교 개교기념엽서(2매)’이다. 독립문 오른쪽 언덕위에 보이는 돔 모양의 건물이 독립관에 딸린 국민연설대(國民演說臺, 일진회 소유)이다.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자료)

 

이 학교는 이내 1910년 4월 1일 관립학교(官立學校)로 전환되어 ‘통감부중학교’가 되었다가 경술국치와 더불어 ‘조선총독부중학교’로 개칭되었다. 이 당시만 하더라도 총독부중학교는 전국에 걸쳐 유일무이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이름을 갖지 않았다가, 1913년 4월에 부산에도 총독부중학교가 추가 설치되면서 이를 구분하기 위해 비로소 ‘경성중학교’로 명명되었다.
총독부중학교(관립)는 일본인 거주자가 많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경성, 부산, 평양, 용산, 대전, 대구, 원산, 광주, 나남의 순서로 추가되었고, 1925년 4월 이후 제학교관제(諸學校官制)의 개정을 통해 일괄 공립중학교(公立中學校)로 전환되었다.

총독부중학교 설립 연혁

<조선총독부관보> 1925년 2월 13일자에 실린 총독부중학교의 생도모집공고문이다. 이 당시에는 보통학교 졸업자(조선인)라도 중학교(일본인 학교)에 입학지원은 가능하였으나, 구술시험 항목을 보면 “국어(國語, 일본어)에 정통하지 못한 자는 불합격으로 한다”고 적고 있다.

 

용산중학교의 등장에 따라 서울지역에서 일본인 남자학교는 경성중학교와 더불어 단 2개 학교만 존재했으며, 이러한 상태는 1936년 2월 29일에 성동공립중학교(城東公立中學校, 행당리 70번지)가 신설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용산중학교는 개교 당시 경성중학교 재학생의 일부를 인계받는 형태를 취했는데, 이와 관련하여 경성부 편찬, <경성부사(京城府史)> 제3권(1941), 609쪽에는 용산중학교 설립 초기의 과정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매일신보> 1922년 5월 16일자에 공개된 ‘용산중학교’의 입학시험문제이다. 주로 일본어 해독능력을 측정하는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용산중학교는 대정 7년(1918년) 3월 칙령 제50호 조선총독부중학교 관제 개정에 의해 설치된 관립중학교이며, 동교(同校)는 동년 4월 16일 부내(府內) 정동(貞洞) 소재 조선총독부의 한 청사(廳舍, 정동에 있는 3법원 자리) 내에서 가개교(假開校)를 행하고, 다시 동월(同月) 영락정(永樂町, 지금의 저동)에서 가기숙사(假寄宿舍)를 개시했다.
생도(生徒)는 이에 앞서 경성중학교 재학 제2학년 생도 중에서 50명을 인계받고, 제1학년 150명은 경성중학교장에 위촉(委囑)하여 2월중에 모집을 완료했던 것이다. 초대 교장으로는 후쿠시마 마타야(福島亦八)가 취임했다. 여기에다 동교는 익(翌) 8년(1919년) 6월 16일 부내 한강통(漢江通)에 신축중인 제1기 공사가 준공되면서 그곳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여기에 덧붙여 또 하나 주목할 만한 부분은 용산중학교의 설립시기가 일본군 용산병영지의 추가 확장 과정과 고스란히 맞물려 있다는 점이다. 일제는 1915년 6월에 종래의 주차군(駐箚軍) 체제를 바꿔 조선 내에 2개 사단(師團)을 증설하여 상주군(常駐軍)으로 전환하는 결정을 내렸고, 새로운 편제에 맞춰 이들을 위한 병영지 건설공사를 광범위하게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1916년 4월에 제19사단이 용산에서 창설되었고 부대편성이 어느 정도 완성되어가자 1918년 6월에는 이를 바탕으로 조선주차군사령부는 ‘조선군사령부(朝鮮軍司令部)’로 개칭되었다. 곧이어 1919년 4월에는 제20사단을 용산에서 새로 창설하는 동시에 먼저 생긴 제19사단은 함경북도 나남(羅南, 지금의 청진)으로 이동 배치하였다.

위 : 용산중학교에 이어 1922년에 군영지 배후지역의 일본인 중등교육기관으로 신설된 ‘경성제2공립고등여학교’의 전경이다. 앞쪽으로 하천의 물길이 흘러내리는 모습이 이채롭다.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 1938년 4월호)

아래 : 1919년 4월에 창립될 당시의 삼판소학교(현재 삼광초등학교 자리) 전경이다. 아래쪽에 보이는 밭들은 몇 년 후에 학교 운동장으로 변하게 된다. (경성부,<경성부사> 제3권, 1941)

 

이러한 변화에 맞물려 원래 대전(大田)에 주둔하고 있던 보병 제79연대가 1917년 11월말에 용산으로 재배치되었고, 이들이 머물 보병영(步兵營; 1917년 6월 기공, 1920년 3월 준공)’이 기존의 보병 제78연대 병영터 서쪽 일대에 남아 있던 광활한 대지를 정하여 새로 건설되었다. 또한 제28기병연대와 제
20공병대대(서빙고동), 그리고 제26야포병연대(종전 용산연병장 자리)의 본부와 병영이 완공된 것도 모두 이 시기의 일이었다.
이 결과로 용산 지역일대는 시가지 팽창과 더불어 인구유입이 급속히 늘어났고, 당연히 이들의 자제들을 위한 학교 설립의 필요성도 증대되었던 것이다. 용산중학교에 이어 이곳과 인접한 지점에 통학거리의 편의를 고려하여 경성삼판공립심상소학교(京城三坂公立尋常小學校, 1919년 4월 설립)와 경성제2공립고등여학교(京城第二公立高等女學校, 1922년 5월 설립)가 비슷한 시기에 잇따라 들어선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뤄진 결과물이었다.

 

이 가운데 삼판소학교의 설립과정에 대해서는<경성부사> 제3권(1941), 603~604쪽 부분에 잘 요약되어 있는데, 여기에도 급격한 인구증가와 과밀학급해소가 주요한 배경이었음이 적시되어 있다.

 

경성학교조합(京城學校組合)이 경영하는 8개 공립소학교의 아동 총수는 대정 7년(1918년) 7월말 현재 8,140명으로 이를 146학급(學級)으로 편제(編制)하고 있으나, 그 가운데 일출(日出, 히노데), 남대문(南大門), 앵정(櫻井, 사쿠라이), 종로(鍾路) 및 용산(龍山) 등 5 소학교는 모두 18학급 이상으로 소학교령(小學校令)에 의한 제한을 초과하는 것이 총계 9학급에 달하고, 기타 3 소학교에서도 아동수용의 여지가 전혀 없어서 대정 8년도(1919년도)에 있어서 증가하는 취학아동 약 500인에 대해서는 새로이 1개교를 설립하지 않는 한 도저히 수용 불가능한 상태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경성학교조합은 조합회의 결의를 거쳐 부내 삼판통(三坂通) 186, 187, 238, 239번지에 하나의 소학교를 신축했던 것이었다. 교사(校舍)의 대부분은 대정 7년도(1918년도)에 건축하고, 일부분은 필요에 따라 점차 건축하는 것으로 했다. 그리고 대정 7년(1918년) 9월 7일부로 설립인가신청(設立認可申請)을 하였고, 동년 10월 2일부로 인가를 받았다.(중략)
또한 동교 구역은 고시정(古市町, 동자동), 길야정(吉野町, 도동) 1정목과 2정목, 삼판통(三坂通, 후암동), 서계동(西界洞), 청엽정(靑葉町, 청파동) 1, 2, 3정목, 강기정(岡崎町, 갈월동), 한강통(漢江通, 한강로) 1, 2, 3, 4정목이며, 동 구역 내에 거주하는 내지인(內地人, 일본인) 호수(戶數) 및 인구는 대정 6년(1917년) 12월말 현재로 호수 1,126호, 인구 3,963인이었다.

 

일제강점기 서울에 거주한 경험을 지닌 일본인들로 구성된 경성용산공립소학교동창회(京城龍山公立小學校同窓會)가 펴낸 것으로 <용산소학교사·용회사(龍山小學校史·龍會史)>(1999)라는 책이 있다. 우선 이 책의 114쪽을 보면 “본교에 다니는 아동(兒童)은 철도(鐵道)와 군인(軍人)의 자제(子弟)가 많았다”는 설명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그리고 같은 책, 127쪽에도 이 학교의 가정환경과 관련하여 “군인관계(軍人關係), 철도관계(鐵道關係), 일반(一般, 주로 상공인) 세 가지로 대별(大別)된다”는 표현이 있는데, 용산 지역에 포진한 여러 일본인 학교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학생구성상의 특징이 잘 묘사된 구절이 아닌가 한다.
일제가 이 땅에 남겨놓은 병영지와 그 배후공간에 흩어진 흔적들은 상당수 사라지거나 변형되었지만, 유독 일본인들의 자제들이 다닌 학교공간만큼은 100년의 세월을 넘기도록 지금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거나 비교적 고스란히 그 영역을 유지하고 있다. 결과만 놓고 보자면 “교육은 100년 대계”라는 말이 그리 틀리지 않는 얘기가 되고 말았으니 이 대목에서 그저 쓴웃음만 짓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