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5/photo_2019-05-02_10-42-36.jpg" class="attachment-post-thumbnail size-post-thumbnail wp-post-image" alt="" />

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5/photo_2019-05-02_10-42-34-562x1024.jpg" alt="" width="562" height="1024" />

 

지난해 7월 국민연금이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했지만,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비재무적 요인 즉, 환경‧사회‧지배구조(ESG)를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적극적 주주관여를 통해 장기적 가치 상승을 추구하는 사회책임투자와 관련한 논의에는 진전이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국민연금은 2009년 ‘유엔책임투자원칙(UNPRI)에 가입하여 사회책임투자의 확대를 국제사회에 약속한 바가 있으며, 세계적인 연금기관에서는 사회책임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의 국민연금 책임투자 가이드라인 채택을 앞두고, 사회책임투자 환경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흐름을 살펴봄과 동시에 바람직한 책임투자 가이드라인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관심 있는 모든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시: 2019년 5월 8일(수) 오후 2시

○ 장소: 국회 입법조사처 4층 대회의실

○ 주최: 국회의원 남인순, 국회의원 김광수, 기업과인권네트워크,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 주관/문의: 기업과인권네트워크(02-3478-0529)

 

[공개토론회 순서]

○ 사회

공석기(환경운동연합 국제협력위원회 위원장 / 서울대 아시아 연구소)

○ 인사말

국회의원 남인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양춘승 상임이사

○ 발제

1) 주요국의 사회책임투자 및 ESG 공시 동향 – 공익법센터 어필 김세진 변호사

2) 국민연금 책임투자의 바람직한 방향 – 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 토론

1) 국민연금의 사회책임투자 정책 현황 및 계획 - 보건복지부

2) 국민연금 ESG 평가지표 중 환경 부분에 대한 문제점 및 제언 – 환경운동연합 김혜린 활동가

3) 국민연금 ESG 평가지표 중 사회 부분에 대한 문제점 및 제언 – 희망을 만드는 법 김동현 변호사

4) 스튜어드십 도입 이후의 국민연금의 사회책임투자에 대한 제언 – 공적연금강화행동 구창우 사무국장

5) 기업과 인권 관점에서 본 사회책임투자의 기준과 방향 –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이상수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