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4/세계-펭귄의-날-2-환경운동연합.jpg" class="attachment-post-thumbnail size-post-thumbnail wp-post-image" alt="" srcset="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4/세계-펭귄의-날-2-환경운동연합.jpg 960w, 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4/세계-펭귄의-날-2-환경운동연합-640x428.jpg 640w, 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4/세계-펭귄의-날-2-환경운동연합-768x514.jpg 768w" sizes="(max-width: 960px) 100vw, 960px" />

세계 펭귄의 날, 국내외 환경단체 남극해 보호 촉구 퍼포먼스

남극 대륙 보호와 남극해 파괴를 막는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

[caption id="attachment_198848" align="aligncenter" width="640"]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4/세계-펭귄의-날-2-환경운동연합-640x428.jpg" alt="" width="640" height="428" /> 세계펭귄의 날을 알리는 시민들ⓒ환경운동연합[/caption]

25일 환경운동연합 등 국내외 환경단체는 세계 펭귄의 날을 맞아 광화문에서 시민과 함께 남극해 보호를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caption id="attachment_198849" align="aligncenter" width="640"]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4/세계-펭귄의-날-3-환경운동연합-640x428.jpg" alt="" width="640" height="428" /> 남극해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요청하는 시민들의 펭귄 플래시몹 ⓒ환경운동연합[/caption]

환경단체는 남극해가 바다의 15%를 차지하고 지구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남극해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계획이 설정되었지만, 2016년 로스해의 해양보호구역 지정 이외에는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시민환경연구소 김은희 연구위원은 “남극해 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가 우리나라 정부에 제대로 전달될 수 있는 경로가 그동안 매우 미흡했던 것은 사실”이라며 “까밀라 회원국이 된지 30년이 넘는 우리나라 정부에게 남극해 보호는 뒷전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해수부는 한술 더 떠 까밀라 관할 수역에서 어업 승인을 받은 우리나라 선박의 숫자를 매년 성과로 보도하는 부끄러운 지경에 이르렀다”며 “이러한 기조를 바꿀 수 있는 것은 남극해 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꾸준한 관심과 강력한 지지이며 환경단체들은 이를 정부에 잘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 이용기 활동가는 “건강한 바다를 지키고 이로 인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직접이해 당사자는 바로 시민”이라면서 “까밀라의 회원국인 우리나라는 국제적 가치가 매우 높은 남극해를 보전하기 위해 이제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남극의 추가로 제안된 해양보호구역은 동남극해, 웨델해, 남극반도 주변이다. 오는 10월 남극 해양생물자원 보존위원회(CCAMLR, 까밀라) 연례회의에서 해양보호구역 지정이 논의될 예정이지만, 25개국 회원국이 모두 동의하는 만장일치 제도로 앞으로 남극해의 해양보호구역이 추가지정 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남극해의 해양보호구역 지정은 2018년에도 논의되었으나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caption id="attachment_198850" align="aligncenter" width="640"]http://kfem.or.kr/wp-content/uploads/2019/04/세계-펭귄의-날-4-환경운동연합-640x428.jpg" alt="" width="640" height="428" /> 세계펭귄의 날 남극해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요청하는 시민들 ⓒ환경운동연합[/caption]

한편 세계 펭귄의 날 행사는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 그린피스가 공동주최했고, “펭귄과 함께 춤”을 퍼포먼스와 함께 “극지연구소 김정훈 박사가 들려주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펭귄 이야기” 강연도 진행되어 시민들의 호응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