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소연 임정기념관건립추진위 자료실장 인터뷰

38년간 독립운동 알리기 헌신
`독립견문록` 3000㎞ 취재 동행

백범일지 영인본 만든 1994년
원본 품고 다니던 감동 못잊어

재산 다 팔고 독립운동 떠났던
이명서·명선 형제 기억됐으면

◆ 3·1운동, 임시정부 100주년 / 독립견문록, 임정을 순례하다 ◆

0413-1

사진설명홍소연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건립추진위 자료실장이 1949년 6월 백범 김구 선생이 네 발의 총탄을 맞고 서거한 경교장 2층에서 당시 상황을 설명하고있다. [이승환 기자]

툭 치면 와르르 쏟아졌다. 중국 상하이에서 충칭까지 향하는 길, 한 장의 사진에서 독립운동가 생애가 재현됐고 한 권의 책 표지에서 100년 전 기억이 육화됐다. `독립견문록, 임정을 순례하다`의 마지막 편을 송고한 뒤 만남을 청하자 “독립운동사의 교통순경일 뿐, 그럴 자격도 능력도 없다”며 전화를 끊었다. “진심을 다하는 막후(幕後)의 배후자가 더 많아져야 한다”고 설득해 오래 사양하던 그를 탁자에 앉혔다.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이면을 쫓아 38년간 외길을 걸은 홍소연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 자료실장(61)을 지난 5일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 서울 경교장(京橋莊)에서 만났다.

―첫 출근 날 풍경부터 기억해 볼까요.

▷1982년 가을, 친구 집에 놀러가니 친구 시아버님이 “뭐하는 친군가” 하고 물으셨어요. 그분이 백범 제자 안윤기 선생이었습니다. 얼떨결에 출근했죠. 을지로3가 상지빌딩 3층, 좁은 방에 철제 책상 3개뿐이었어요. 안 선생님이 떠나시면서 맡게 됐습니다. 그 일이 평생 업(業)이 됐네요.

―벅차오르는 한순간은.

▷글쎄…. `백범일지` 영인본을 만든 1994년 기억이 생생해요. `백범일지` 원본(原本)을 품고 인쇄소를 한 달간 오갔어요. 흑백으로 하자는 어른들을 겨우 설득해 컬러로 했죠. 가슴이 두근거려 혼났어요. 시대의 분신(分身)이었으니까요. 아, 그땐 `백범일지`가 보물로 지정되기 전이었습니다(`백범일지`는 1997년 보물 제1245호로 지정됐다).

―보급판 `백범일지`도 만드셨죠.

▷도진순 교수님을 우연히 알게 됐고, 돌베개 출판사를 만나 의기투합했어요. 백범김구기념관 10주년을 맞아 2013년 `백범 김구 사진 자료집`을 만들었는데 잊을 수 없는 기억이에요( `주해본 백범일지`는 스테디셀러이며 현재 55쇄로, 총 63만부가 팔렸다. 역시 홍 실장이 참여한 `쉽게 읽는 백범일지`는 39쇄로, 12만부가 팔렸다).

―임정 길을 20회 밟으셨어요. 비행기에 오를 때마다 설렘과 절망, 어느 쪽입니까.

▷가끔은 거꾸로, 중국이 집 같아요. 그중에서도 충칭의 화상산 묘지는 특히 애착이 가는 임정 유적지예요. 갈 때마다 모습이 달라져요. 이제 죽음과 거리가 멀어진 장소가 돼 버렸어요.

―중국에서 느낀 건데, 이봉창 의사를 특히 존경하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울퉁불퉁하게 살다가 막다른 골목에서 정확한 길을 간 분이니까요. 이봉창 의사는 우리 같은 사람이었다가 결국 시대정신을 알아채고 그 길을 걸은 분이에요. 시대정신요? 그 시대에 해야만 하는 불가능한 일을 실천하는 것이죠.

―조명이 필요한 독립운동가는.

▷이명서·이명선 형제를 꼭 기억해 주세요. 황해도 장연에 살던 형제가 재산을 다 처분하니, 가족은 `우리 서울 가나` 했는데 내려보니 만주더랍니다. 두 형제는 독립운동 기지를 만든다고 떠나고 나머지는 여자들 몫이 되었지요. 훗날 손녀를 만났는데, 할머니가 그러셨대요. “김구의 `김(金)자`도 입 밖에 내지 말라.” 그보다 미운 사람이 있었겠어요?

―서거 전날 이곳 경교장에서 백범과 단둘이 만났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어떤 대화가 오갈까요.

▷역사에 선생님이 계셔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이 말도 하고 싶어요. 결국 `김구(金九)`는 수십만 명의 독립운동가 가운데 하나의 앞선 이름이에요. 그 이면에는, 이름조차 못 남긴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있었습니다. 이 말은, 독립운동을 실천한 모든 분께 올리는 말씀입니다.

―`임정 안내자`로 평생을 사셨습니다. 후회는 없습니까.

▷한참 어려울 때 안윤기 선생이 이런 말씀을 하셨어요. `적어도 우린 이 세상에 나와 뭐가 옳은 길인지 알고 가지 않느냐.` 옳음을 안다는 게 건방진 얘기인지 몰라도, 적어도 나쁜 길을 걷지는 않았으니 후회는 없습니다.

중국 난징의 거리에서 작은 기념품을 사는 홍 실장 옆에 오래 서 있었다.

한자가 새겨진 금속활자를 골라 만드는 기이한 도장이었다. 고심 끝에 그가 선택한 두 글자는 `쟁족(爭足)`이었다. 백범이 던진 화두로 `대가리가 되려 싸우지 말고, 발이 되길 다투라`는 뜻이다. 다들 우두머리를 탐하는 세상, 누군가는 평생 `발의 자리`에 머물러 있었다.

[김유태 기자]

<2019-04-11> 매일경제 

☞기사원문: [독립견문록] “백범은 수십만 독립운동가중 한 분…잊힌 영웅 아직도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