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의병장 허위 선생의 후손이자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손자며느리인 허은 여사(1907∼1997)의 독립운동을 인정해 8월 15일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허 여사는 일본 경찰의 감시를 받던 중 만 6세가 되던 1915년에 일가족과 함께 서간도로 망명, 이후 1932년 귀국할 때까지 서로군정서 대원들의 군복을 만들어 배급하고 군정서 회의 때 식사를 조달하는 등 공적을 세워 서훈을 받게 됐다. 당시 이상룡 선생은 경학사, 한족회, 신흥무관학교, 서로군정서 등 항일 투쟁 단체를 조직·운영하는데 앞장서고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상룡 선생의 집은 항상 독립운동가들의 회의 장소로 쓰였다.

02
따라서 의식주 해결 등 독립투사들의 뒷바라지에 허은 여사의 공은 남달랐다. 광복 후 독립투쟁의 후유증이 남아 위로 4남 1여를 저세상으로 먼저 보내야 했고, 아들과 외동딸을 고아원에 보내야 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꿋꿋하게 생활고를 이겨가며 자녀와 손자·손녀들을 돌보며 임청각을 지켰다. 말년에는 독립운동 회고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의 바람소리가〉(1995년 초간, 2010년 개정판 발간)라는 수기를 출판해 독립투쟁 때 의식주에 대한 생활사를 담아내기도 했다. 이 수기는 〈서간도 시종기〉 〈장강일기〉와 더불어 여성의 시각에서 독립운동의 뒷모습을 사실적으로 기록해 독립운동사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8월 14일 문재인 대통령과 만난 허은 여사 아들인 이항증 선생(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공동대표)은 “여성들의 의식주 해결 덕에 독립운동이 가능했다”고 말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정부는 올해 광복절부터 독립유공자 포상 기준을 개선한 결과 177명 중 여성이 65명(36.7%)에 달하게 되었다.

• 방학진 기획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