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살림 짓는 사람들

함평 천지공동체 조윤형·조성천 생산자

 

 

조윤형 생산자는 스물 한 동의 하우스 가득 무화과 나무를 키웁니다.
그의 아들인 조성천 생산자는 3년 전부터 고향 함평에 내려와 아버지의 무화과 농사를 거들며 한살림 생산자가 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몰랐던 무화과 이야기

 

“무화과에는 항암성분이 들어 있어요. 또 알칼리성 식품이라 여성들에게 특히 좋고요. 변비가 있을 때 먹으면 특효약이지.” 얼굴을 마주하자마자 무화과의 효능에 대한 이야기를 쉼 없이 쏟아 내는 조윤형 생산자의 열정은 과연 한살림에도 네 명밖에 없다는 무화과 생산자다웠다.

그는 무화과를 알릴 기회가 절실했던 것 같다. ‘무화과의 효능’을 출력해 물품과 같이 보낼까도 고민했단다. 그도 그럴 것이, 무화과는 사과, 배 만큼 자주 보기 힘든 데다 여름 과일로서도 포도나 복숭아에 비해 존재감이 덜하다.

열대과일인 무화과는 주로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 생산된다. 온도 변화에 민감해 유통이 까다롭고 보관도 쉽지 않다. 전남 지역에서는 여름철 노점에서 흔히 볼수 있지만, 서울에서는 상대적으로 귀한 것도 이 때문. 조윤형 생산자는 무화과가 우리에게 생소한 이유를 과일의 특성만이 아닌 생산 문제에서도 꼽았다.

“관행에서는 유통을 쉽게 하려고 호르몬제로 한번에 익혀서 출하해요. 색은 똑같이 빨갛게 보여도 억지로 익힌 것이라 맛이 덜해요. 그러다보니 예전에는 아주 맛있는 과일이었는데 지금은 소비자들이 덜 찾는 거예요. 제철 과일 먹는 이유가 뭐예요, 맛있으니까 먹는 거지. 무화과 농사짓는 사람들이 반성해야 돼요. 무화과 살리려면 이렇게 하면 안 된다고 봐요.”

무화과의 색상을 머리에 떠올려 보던 찰나, 오늘 딴 것이라며 아들 조성천 생산자가 무화과를 내온다. 크기가 어른 주먹만 하다. 햇빛을 잘 받은 쪽은 적갈색, 덜 받은 쪽은 푸른색이 돈다.

“시중 무화과가 그렇게 호르몬 처리를 한다는데 저는 보질 못해서요. 여기 아저씨들은 다 친환경으로 농사 지으시니까요.” 조윤형 생산자가 무화과 농사를 시작했을 때 전국에 유기농 무화과를 하는 사람은 딱 여섯 명 있었다고 한다. 그 중 네 명이 함평 천지공동체의 한살림 생산자니 조성천 생산자가 말하는 ‘아저씨들의 방식’은 그에게 매우 자연스러웠다.

 

 

투닥거리며 함께 짓는 무화과 농사

 

조윤형 생산자는 2010년 유기농 무화과 생산자로 한살림 가족이 됐다. “자식들 교육시킨다고 도시로 나갔다가 20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왔어요. 시골 살았어도 벼농사 말고는 본 적이 없어 주위에 물어보니 무화과가 일이 없을 거래, 그래서 시작했죠. 한 3년 정도는 판로가 없어서 애를 먹었어요. 그러다 한살림에 내게 됐죠.”

누군가 농사짓기 쉽다고 추천한 덕분에 그는 무화과를 작물로 선택했다. 실제로 무화과는 줄기, 잎 등에독성이 있어 벌레가 덜 타는 작물이다. 뿌리만 살아있으면 다시 싹이 날 정도로 생명력도 강하다. 그런데 막상 농사를 지어보니 농약은 안 하지만 잔손 가는 일이 많다. 갓 달린 열매는 벌레가 해를 끼치기 때문에 친환경 자재로 꼼꼼하게 방제해야 한다. 열매가 달렸던 나뭇가지들도 계속 잘라내야 한다. 새로 돋아난 가지에서만 열매가 열리기 때문이다.

가장 고될 때는 역시 수확철이다. “밤 12시에 일어나 열매를 따고 새벽에 선별해서 아침에 올려 보내요. 무화과는 온도가 높으면 안 되니까 새벽에 작업하는거죠.” 수확이 시작되는 7월 말부터 11월 초까지는 낮밤이 바뀐 생활이 이어진다. 따는 시기를 놓치면 초파리가 번지니 발주량이 적더라도 익은 것은 모두 따야한다. 꺼끌꺼끌한 무화과 잎을 매일 만지다 보면 절로 생채기가 나고 쓰리다.

어릴적 시골을 떠나 도시에서만 자란 조성천 생산자에게는 더 힘든 일이다. 처음 그는 아버지의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왜 굳이 새벽에 작업해야 하는지, 비합리적이라 생각했죠. 아침 7시 정도만 돼도 좋잖아요. 빛도 있고, 서늘하고. 그래서 작년에 그렇게 해봤거든요. 그랬더니 조합원들이 단번에 다르다고 알아보시더라고요. 너무 잘 익은 열매들은 공급할 즈음 되면 물러버리거든요. 아버지가 오랫동안 이리 한데는 이유가 있구나, 잔머리를 쓰면 안 되겠구나, 겪어 보니 알게 됐어요.”

아는 것이 느는 만큼 마음 쓰이는 것도 많다. 남은 무화과가 아까워 공판장에라도 내다 팔려는 아버지를 보며 아들은 ‘제값도 못 받는데 그 시간에 차라리 쉬셨으면’ 하고 답답해 한다. 아버지 역시, 무화과 말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작물도 해보자며 이것저것 시도하는 아들이 못미덥다. “그래도 어떡해요. 열심히 일만 하고 산 우리 세대와는 다르니까. 아들 농사는 자기 몫이니 하고 싶은 거 하게 해야죠.”

거기에는 아들에 대한 안타까움도 묻어 있다. 조성천 생산자는 경기도 연천에서 직업군인으로 17년간 복역하다가 사고로 무릎을 다쳤다. 그렇게 4년 전, 아내와 두 아이를 데리고 아버지 곁으로 왔다. 안정적인 직장 대신 택한 것이 농사라 부모님 마음은 내키지 않았겠지만, 조성천 생산자는 계획했던 일이다.

“원래 퇴역하면 고향에 내려가 농사짓겠다고 생각해 왔어요. 다친 것이 계기는 됐지만, 그 전부터 좀 더 자유롭게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왔거든요. 안정적인 삶을 살고 싶어 군 생활을 시작했는데 그것만이 다는 아니더라고요. 전방에서 근무한 탓에 아이들 자라는 것도 못 보고 살았는데, 고향에 내려와서 항상 가족과 함께 지낼 수 있어서 좋아요.”

 

 

올해는 무화과 농사가 잘 됐다. 처음에는 수확량이 적었지만 이제는 주렁주렁 열매가 달리는 무화과 나무를 아들에게 물려주어도 좋을 성 싶다. 한살림 생산자 모임에도 아들을 보낸다. 아들은 아들대로 새로운 작물에 도전하며 한살림 생산자로서의 미래를 꿈꾸고 있다. 조성천 생산자는 재작년 한살림 생산자 교육을 받았고, 올해 정식 생산자로서 이름을 올릴 예정이다.

세대와 방식은 달라도 한살림 짓는 이야기는 계속될 것이다. 그의 이름을 달고 생산된 무화과를, 그리고 또 다른 그만의 작물을 한살림에서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글·사진 윤연진 편집부

 


 

 

자연의 시간으로 익은 한살림 무화과

“ 우리도 덜 익은 것에 호르몬제로 색만 내고 따면 유통이야 좀 더 길게 할 수 있겠지만, 맛이 없어요.
가장 맛있을 때 따서 바로 보내드리는 게 바로 한살림 무화과입니다.”

 

 

 

[한살림 무화과 맛있게 먹는 법]

• 꼭지 부분을 잡고 아랫쪽으로 당기면 껍질을 쉽게 벗길 수 있습니다.
• 흐르는 물에 먼지만 씻어내고 껍질째 먹어도 맛있습니다.
• 냉장 보관 기간은 3일. 오래 두고 먹으려면 냉동실에 보관해 샤베트처럼 먹어도 좋습니다.
• 피부가 민감하면 ‘펩티드’라는 성분으로 입이 얼얼할 수 있습니다.

생산자님이 알려주는 무화과 먹는법! ☞무화과 먹방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