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결정이나 객관성과 냉정함이 우선됩니다. 하지만 이 역시 당사자의 이해관계와 경험의 주관성에 의해 좌우될 수밖에 없지요. 그래서 앞으로는 기계대리자가 판단을 하게 되는 시대가 온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간이 만들고, 만든 이의 주관적 생각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면 과연 우리는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 판단자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까요? 진정한 의미의 중립과 객관성이 가능할지 생각해 봅니다.
요일마다 정해진 색이 있는 나라, 왕의 생일과 기일에 맞춰 정해진 색의 옷을 입어야 하는 나라. 자유에 대한 얼마간의 통제가 가능한 나라. 한편으론 어떤 상황에서건 생명에 대한 소중함이 우선시 되는 나라.
이번 여행자의 학교에서는 일상의 색상과 어떤 사건으로 본 태국의 매력을 이야기합니다.
우리는 항상 정해진 공간에서 정해진 일을 해냅니다. 학교도, 일터도 어떤 정형화된 공간의 이미지가 있지요. 그 이미지가 어쩌면 일상에서의 행동과 생각의 유연함을 제약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우리의 학습 공간은 어떤 모습인가요? 자유로운 상상과 사고, 유연한 연결, 발상의 전환이 가능한 공간인가요? 학습관은 이런 공간의 제약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