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의 먹거리정의센터와 서울시가 주관하는 마을부엌 운영자 네트워크 워크숍(이하, 워크숍)이 가톨릭청년회관에서 5월29일(화) 10:30부터 15:30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처음으로 ‘전체 인사 및 워크숍 목적 나누기’로 환경정의 먹거리정의센터 김순영 센터장의 인사말로 워크숍이 시작되었습니다.
다음으로 2018 마을부엌 협치사업 소개로 서울시 식생활개선팀 배진선 팀장의 이야기로 이어졌습니다.
워크숍의 오전 첫 번째 발제로 [마을부엌의 개념과 의미, 국내외 마을부엌 사례 소개] 내용으로 원광대 사회적경제센터 김소연 박사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국외 사례 중, 페루와 볼리비아 마을부엌 학술연구에서 페미니즘 관점으로 시작된 마을부엌은 ‘여성의 무급노동 전제로 여성 소진, 국제개발기구의 지원 혜택이 극빈층 사람보다는 특정여성과 가족에게 편중, 국가의 책임 면피, 신자유주의 시스템 전파의 공간으로 전용’으로의 사례 소개가 있었습니다.
또한, 마을부엌(커뮤니티 키친) 활동이 활발한 캐나다 사례의 경우, ‘기존의 푸드뱅크가 주는 이미지로 나쁜질, 제한성, 굶주림의 비정지화, 수혜자들의 낙인감, 고립감을 전환하여 마을부엌 참여과정을 통해 참여자 자존감, 지역사회 연계망 확충을 중시하는 형태로 마을부엌이 운영’되고 있는 사례를 알 수 있었습니다.
환경정의 먹거리정의센터는 지난 서울시 마을부엌 구술사례 연구로 지역주민 기반 모범적인 마을부엌인 신나는 마을 공동부엌, 고시원 지역 거주민 등을 위해 이웃나눔밥상, 봄꽃밥차를 운영하는 갤러리카페봄봄, 비혼청년, 공동육아, 대안교육 등을 운영하는 밝은누리 공동체 안의 아름다운 마을밥상, 소통이 있어 행복한 주택 1호의 저녁해방모임, 쪽방촌 동자동 사랑방의 식도락, 다문화 교육에서 출발한 이주여성들이 꾸리는 다문화 식당 타파스, 청년들이 함께 먹거리를 매개체로 일상을 소통하는 동네형들, 비건들을 위한 혼밥 네트워킹, 전통시장과 연결하는 루비마로(소셜다이닝 집밥 우수지기)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사례 발표 중 지난 서울시 마을부엌 구술사례 연구 인터뷰에 참여한 아름다운 마을밥상 고경환 대표의 농도상생을 기반으로 마을밥상운동 이전에 마을공동체운동을 하는 것을 토대로, 농사를 하늘땅살이로 대체해서 부르고 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또한, 이주여성을 기반으로 다문화밥상을 운영하고 있는 마을무지개 전명순 대표의 이야기 나눔으로 이어졌고, 일하는 여성으로, 사회에서 주체로 활동하는 마을부엌 운영자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단단한 힘이 느껴졌습니다.
워크숍의 오전 두 번째 발제로 [푸드뱅크의 경험에서 바라본 마을부엌] 이라는 내용으로 성공회푸드뱅크 김한승 신부의 발제로 이어졌습니다.
‘푸드뱅크 운동은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태동하였고, 1980년대 유럽, 호주로 확산되기 시작’되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성공회푸드뱅크의 경우, 이레이바지 사업으로 한 사람이 1주일 분(간식, 쌀, 김치), 모니터 제공 활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마을부엌의 ‘시간은행’에 도입에 대한 부분을 말씀해 주셨습니다. 시간은행의 본 취지는 당당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노노케어의 경우 건강한 노인이 아픈 노인들을 대상으로 약 복용 등 관리를 해줌으로써 건강이 호전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시간은행을 통한 봉사가 적립이 되면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도라고 덧붙여 말씀해주셨습니다.
강연 중간에 의문이 나거나 질문 사항과 관련하여 참여자들의 열띤 질문이 있었고, 이에 워크숍 현장은 마을부엌 운영자들의 열정어린 관심과 질문으로 훈훈한 현장이었습니다.
마을부엌 오전 워크숍 후 인근에서 점심 식사를 마치고, 오후 발제는 [마을부엌의 운영- 모든 마을부엌은 서로 다르다] 라는 주제로 영양과 미래 정해랑 대표의 발제가 이어졌습니다. 미국형 마을부엌은 공동조리, 식생활, 수익추구를 지향하며, 미국에서는 푸드스탬프, 식생활영양플러스개선 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마을부엌은 6~10명이 적당하며, 마을부엌의 유형 분류보다 오너십, 파트너십, 리더십의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식품의 안전과 먹거리 보장에 대해서 건강, 환경, 경제, 공동체, 가족 등 고려할 수 있는 부분 등에 대해서 말씀해주셨고, 뉴욕 푸드뱅크는 영양소별 골고루 가져갈 수 있는 색깔스티커를 배분한다고 합니다.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푸드뱅크 사례 소개를 해주셨습니다.
오후 마지막 발제는 [신나는 마을 공동부엌 사례 소개]로 신나는 마을 공동부엌 박정희 대표의 소개로 이어졌습니다. 박정희 대표의 ‘반조리를 위한 공유부엌’을 위해 초창기 스시집 개조에서부터 시작된 마을부엌 설립 배경에 대해서 이야기하셨습니다.
독거어르신들을 위한 공동부엌의 중요성과 공유도우미에 대한 필요성도 말씀해주셨습니다. 특별한 레시피가 없어도 공동부엌을 통해서 회원들이 자주 조리를 하다 보니 레시피가 없어도 조리를 잘 하게 되었고, 회원들이 행복해하는 분위기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이번 제2, 3차 마을부엌 운영자 워크숍은 산학계 전문가, 마을부엌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는 분들을 모시고 다양한 영역에서 마을부엌의 의미와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듣고, 궁금한 점은 나눌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였습니다.
오는 5/31(목)에 개최하는 제4, 5차 마을부엌 운영자 워크숍은 마을부엌 사례발표와 더불어 [함께 나누고 더불어 성장하는 마을부엌] 이라는 주제로 종합 토론과 서울형 마을부엌 모듬별 토론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서 마을부엌 운영자들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마을부엌 안에서 모두가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나눌 수 있는 가치가 잘 실현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