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 사태와 우리 내부의 파시즘
.
이 번 한겨레신문의 성주주민 해돋이 기사와 관련된 사태는 운동하는 세력들 내부에 파시즘이 얼마나 깊숙이 들어와 있는지를 바라볼 수 있는 시금석 이다. 물론 무엇인가 자신들의 생명을 해치거나 삶을 파괴한다고 느낀다면 그것을 방어하거나 비판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그 기사에 대한 SNS상의 글들을 살펴보면 사드투쟁의 중심인 소성리를 다루지 않고 성주를 다루었다는 것이 중심내용을 이룬다. 여기에는 매우 당연하다는 듯이 하나의 중심에 대한 사고가 자리 잡아 있다. 모든 것은 중심으로 집중되어야 하고 그 중심을 가장 중요하게 떠받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들은 매우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이런 당연한 생각들이 바로 파시즘의 중심을 이룬다. 그것은 중심이 하나여야 한다는 사상이다. 지구촌에서, 한국사회에서 민주주의의 중심을 이루어 나가는 지점들이 하나라는 생각은 가능한 것이 아니다. 민주주의의 중심은 다양하다. 사드투쟁이 민주주의의 한 요소를 이루는 투쟁이라면 이 역시 동일하다. 그것은 누군가가 어느 지역에서 사드반대 일인시위를 할 때조차 그 한 사람이 중심이 되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하나의 중심으로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중심을 통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것은 중심이 없다고 생각하는 다원주의와 다르게 여러 개의 중심이 존재한다는 다양성이 핵심을 이루며 그 중심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민주주의가 풍부해지고 힘을 가질 수 있다는 사유로부터 출발한다. 그러기에 연대는 이 수 많은 중심들의 관계이다.
.
한겨레신문의 기사와 관련된 불만들을 보면 이처럼 ‘하나의 중심’이라는 사고 속에서 사두투쟁의 중심인 소성리를 조명하지 않았다는 것이 주를 이룬다. 물론 그곳에서 헌신하고 있는 분들이야 그곳이 중심일 것이고 또한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 문제는 그것을 전체에 강요한다는 것이다. 한겨레 신문에 강요하고 성주에 강요하고 한반도에서 사드투쟁을 하는 모든 이들에게 강요한다는 것이다. 사드는 소성리에 배치된 것이기도 하지만 한반도 전체에 배치된 것이라는 점은 모두가 동의하는 것이다. 사드는 소성리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지만 한국의 모든 사람들에게 해를 입히는 사안이다. ‘하나의 중심’이라는 생각 속에서 “사드는 소성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문제다.”라고 하는 말은 실재로 사드가 한반도 전체의 문제이니 모든 곳에서 싸워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중심을 소성리로 집중시키고자 하는, 그곳을 권력화 하여 그 힘을 장악하고자 하는 전술일 뿐이다. 투쟁을 소성리로 집중시켜야 한다는 생각이 당연한 듯 보이지만 투쟁의 집중이 곧 권력의 집중이라는 것과 다르지 않음을 느끼지 못한다. 그것은 권력화 대한 욕망일 뿐이다. 거부해야 할 것으로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무의식에 자리 잡아 있는 것들이기도 하다.
.
소성리가 한반도 전체로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 전체가 소성리로 좁혀지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지점으로 집중시키고자 하는 것이 ‘우리 내부의 파시즘’이라는 것의 핵심을 이룬다. 예전에 파시즘은 우파에 의해서만 가능했던 것처럼 이야기 되었다. 하지만 스탈린주의, 모택동의 문화혁명 등 ‘좌파파시즘’은 역사에서 분명히 있었고 지금 우리들 내부에도 변형된 모습으로 여전히 존재한다. 민주주의의 문제는 이런 것들과 투쟁하는 문제이다. 파시즘을 이룬 것들과의 투쟁이기도 하지만 주체 내부에 스며들어 오는, 끊임없이 우리의 몸을 잠식하며 부정적 감각을 만들어내는 파시즘적 요소들에 대한 거부이기도 하다. 하나의 중심으로 모으는 방식에서 보자면 사드가 한반도 전체의 문제라는 표현은 다중심적 사유에서 말하는 동일한 표현과는 전혀 언어의 의미가 전혀 다른 것이다. 그것은 하나의 중심을 전체의 문제로 강제하는 방식일 뿐이다. 이것을 우리는 ‘전체주의’라고 한다. 진보적 운동의 내부를 면면히 흐르는 소위 ‘통속적 맑스주의’, 즉 스탈린 식으로 해석되고 적용되어온 진보적 이념들은 사회운동 내부에 바로 이런 ‘좌파파시즘’을 가능하게 하는 것들이다.
.
이런 방식들의 생각과 투쟁이 우리사회에서도 매우 많은 시간 흘러오고 굳어져 있다. 그것들은 한 시기 분명 많은 역할들을 했다. 하지만 그것은 그 때의 일이다. 진보주의 세력이 가지고 있던 근대적 이념들과 사상은 전근대적 요소들이 지배하던 한국사회에서 의미를 형성하고 저항의 동력을 만들어 냈다. 해방이후 한국사회는 전(前)근대적 요소들과의 혼재 속에서 흘러왔지만 기본적으로는 근대적 교육과 생활방식이 관철 되었다. 권력의 구성, 법의 내용, 교육의 형태 등이 앞선 근대국가들로부터 유입된 것들 이었다. 그러나 박정희, 전두환, 이명박, 박근혜 등 전근대적 요소를 통해 유지되었던 정부의 행태들 또한 존재했다. 이는 근대국가 ‘국민’들의 근대적 의식에조차 반하는 권력의 형식이자 통치방식 이었다. 교육과 훈육은 근대적 시민을 양성했다. 그것은 의식과 무의식의 측면에서 그러하다. 이런 괴리가 저항을 만들어냈고 전근대적 정부의 몰락을 가져오게 하였다. 진보세력의 투쟁동력도 사상적, 이론적, 형식적 면에서 볼 때 이런 근대성의 내부에 있다고 할 것이다. 더욱 분명한 것은 ‘진보’라는 개념 자체가 사회가 발전한다는 부르주아 사상가들의 근대적 사상에 기반 하는 개념이다. 이전에는 근대적 방식들로 투쟁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는 것들이 될 것이다.
.
현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많은 것들이 이런 전근대적인 요소들로부터 이별하고 있다는 점이다. 소우 ‘적폐청산’이라는 것도 사회 구석구석에 산재해 있는 이런 전근대적 요소들과의 청산을 의미한다. 어쩌면 한국사회는 박근혜의 탄핵을 거치면서 온전한 근대혁명을 지금 수행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여기에는 근대적인 요소들과 탈근대적인 요소들이 혼재한다. 주지해야 할 것은 파시즘이 전(前)근대성이 아니라 근대성 속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아도르노가 “근대의 합리성의 끝자락에서 파시즘을 만난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고 했던 것의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이성, 합리성, 과학성 같은 의미들은 선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나치즘은 진화론중 생물의 우성학이란 과학주의와 합리주의에 기초한다. 또한 국가주의의 기초인 민족주의, 이로부터 파생된 쇼비니즘이 파시즘의 기초를 이루기도 한다. 이처럼 파시즘은 이성과 합리성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
이러한 것들이 근대성에 기초한 혁명이론, 사상을 통하여 사회운동의 내부에 파시즘을 형성하게 되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근대의 시대는 이성, 합리성, 논리, 과학 등에 기초한 지식의 시대이다. 그러한 것들이 의식의 구조를 이룬다. 한 편으로 행동의 양식들, 언어의 구조, 담론의 체계들로부터 만들어지는 무의식의 구조들이 있다. 하나는 뇌의 구조를 이룰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몸의 구조를 이룬다. 행동의 양식을 비틀고, 언어의 구조를 파괴하고, 표현의 감각들을 변화시키고, 담론을 거부하면서 그것들로부터 벗어나는 새로운 몸이 만들어진다. 성주의 주민들이 그동안 싸워오면서 만들어 놓은 것들이 아닐까 생각한다. 행동의 양식을 비틀었다. 투쟁을 비장하거나 슬픈 것이 아니라 축제로 만들어 버렸다. 주어중심의 언어구조를 파괴하며 중심을 내가 아니라 다양성 속에 존재케 해버렸다. “님비? 맞다. 그래서 어쩌라고?”라는 대답은 ‘님비’라는 언표를 통해 움츠리게 하던 무의식의 몸을 전복시켜 버렸다. 현재를 즐기는 성주의 투쟁은 숭고주의, 목적적 미래주의와 같은 오래된 담론들을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들로 만들어 버렸다. 더 이상 성주사람들 에게는 근대적 방식의 사유와 의식, 무의식이 별 의미가 없는 것이 되어가고 있다.
.
다른 몸과 감각들의 사이에서 화해란 별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어떤 면에서 그것은 이해하지 못하는 것들과의 화해일 수 있으며 벗어나고자 하는 근대성, 파시즘과의 화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화해는 민주주의라는 범주 안에서만 가능하고 의미를 형성한다. 민주주의라는 전제 안에서 다시 만나기를 기대한다.

(RSS generated with FetchRss)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