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보이지않는끈으로연결되어있다

세상은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 환경과 생태를 이해하는 인문학적 상상력 | 아우름 16

최원형 지음 / 샘터사 / 2016년 12월

“우리는 모두 하나하나 개별적 독특성을 지닌 존재이면서 동시에 깊이 연결된 존재입니다. 그러니 개별 존재의 건강한 생존은 지속가능한 공존과 다르지 않습니다. 사과 한 알이 절로 붉어질 수 없는 이치라 하겠습니다.”

-위의 책, p.52-

어느 가을날 맑은 하늘이 보이는 숲에서 책 한권을 펼친다. 책 속의 저자는 독자에게 나지막이 다음을 얘기한다. “버스 기사가 마스크를 쓰고 있는 걸 보니 최근 발생한 미세먼지 영향이었던 것, 가장 많은 공급처는 석탄화력 발전소와 경유 차량입니다. 미세먼지로 인한 고통은 어느 누가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무지한 우리가 일상에서 만들어 내고 힘들어하기를 반복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에 빼앗긴 도로를 자전거와 맞바꾸는 것은 파란 하늘과 맑은 공기를 돌려받는 일, 조금 불편할지라도 내 안의 욕망을 거둬 내는 일이야말로 근본적인 대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맛있는 밥을 먹고, 따뜻한 집에서 지내고, 여행하고 영화를 보는 등 우리의 일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행위에 환경과 생태 문제가 연결되어 있다. 저자는 비질로 청소를 하면서 찾게 된 마음의 여유, 이사를 하면서 깨닫게 된 공간에 대한 성찰 그리고 물건을 버리지 않고 고쳐 쓰는 일 등 생태적으로 살기 위한 노력과 경험을 책의 곳곳에서 들려준다. 이렇듯 환경과 생태 문제를 이성과 논리로만 접근하기보다 나와 내 주변을 살피는 생태 감수성을 기르자 말한다. 이 책은 우리와 다음 세대가 건강히 숨 쉬고, 마시며, 걸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환경과 생태 교과서이다.

 

신경준
한국환경교사모임 대표, 숭문중학교 교사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생명에서 생명으로 : 인간과 자연, 생명 존재의 순환을 관찰한 생물학자의 기록> / 베른트 하인리히 지음 / 김명남 번역 / 궁리 / 2015년 11월

-<우리들의 하느님 : 권정생 산문집> / 권정생 지음 / 녹색평론사 / 2016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