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의 먹거리정의센터는 마을부엌 연대를 위한 방안으로 먼저 지역적으로 가까운 마을부엌 운영 이야기를 직접 듣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첫 번째로 작년에도 선배활동가 분들이 탐방한 적이 있는 오늘공작소 안의 우리마을사랑방 문을 두드리게 되었습니다.
인터뷰를 진행한 날 오늘공작소 신지예 선생님이 갑작스런 사고에도 몸이 불편하셨을 텐데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오늘공작소는 이미 환경정의 회원이시기도 하셨어요~~
현재 마을부엌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신가요?
작년부터 월마다 한 번씩 운영합니다.
서울시 마을부엌사업은 운영 중이신 건가요?
우리마을사랑방은 자체적으로 2년 전에 서울시 마을부엌사업을 중단하였어요. 마을부엌 사업에서 사람들이 많이 오고, 적게 오고는 파도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지역에서 1년에 2~3명이라고 하더라도 돌멩이나 조약돌처럼 곳곳에서 우직하게 발굴 되는 것이 큰 자원이라고 생각해요.
현재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마을부엌에서 참여자들과 운영 강사들 사이에 힘든 점은 없었나요?
그런 것은 딱히 없었어요. 저희는 강사분들을 웬만하면 지역 사회에서 참여 하기 위해 오색오미 밥상과 우야식당 운영자 등을 초청하여 진행을 했었구요. 공간이나 사람들을 웬만하게 발 닿는 곳에서 모시려고 했기 때문에 힘든 점은 없었어요.
초청하려면 강사비나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셨어요?
처음에는 재료비를 받지 않았구요. 재작년부터 참여자들에게 회당 10,000원씩 받았어요. 예를 들어, 피자 만들기 등을 해서 재료비가 남으면 강사비로 드렸구요. 모자를 때는 사실 다 걷었어요. 15명이 오시면 사실 다 할 수 있거든요. ㅎㅎ
마을부엌 이용시 참여자의 연령층 및 비율이 어떻게 구성이 되었나요?
주로 2~30대 였어요. 여성분들이 많았고, 비교적 활발하게 잘 참여해 주셨고, 이곳을 찾아오시는 남성분들은 부드럽고, 서포트를 잘 해 주셨어요.^^
마을부엌을 운영하는 원재료는 어떻게 수급하나요? 로컬푸드라던지 체계적으로 공급받는 곳이 있는지요?
첫 회에는 울림두레생협을 이용 했었어요. 자기 밥도 해먹기 힘든 2~30대 분들을 대상으로 하려다 보니 몇 만원씩 되는 것을 부담하기 어려워서 이후에는 망원시장을 이용 했어요~
그런 것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요새 채식주의자 이외에 육식하시는 분들 중에 동물권 이야기하시는 분들의 근거가 재미있더라구요. 동물권 이야기를 하시는 거에요. 왜 그러냐면 인간의 몸 자체가 육류를 섭취할 때 오메가 3, 오메가 6가 나오는데. 오메가3가 훨씬 더 좋은 오일 이잖아요. 그런데 방목해서 키운 소랑 비교했을 때 공장식 사육한 소의 경우 오메가 6가 훨씬 많게 섭취한다는 거에요. 이렇게 되면 오메가 3와 오메가 6의 균형이 안 잡힌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육식하는 분들이 동물권이 보장된 방목된 사육된 가축을 섭취하자는 거에요. 흥미로웠어요~ 공장식 축산, 동물 사육 반대를 채식주의자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요새 또, 알러지 검사하는 게 먹거리 하시는 분들 중에 유행이더라구요~ 바로 즉각적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고 지연성 알러지라고 하더라구요. 그걸 먹으면 2~3일 정도 후에 나타나는데요. 증량, 두통, 발열.. 이게 미세해서 모르는데 축적되면 장누스 증후군이 된다고 해요. 이게 장에서 융털이 찢어지면서 독소들이 발생되는 것인데, 한의약 쪽에서 나왔데요. 인간의 피로, 만성 피로가 왜 발생되느냐 등이 장누스 증후군에서 근거가 된데요. 제가 얼마 전에 검사를 해보니까 계란, 돼지고기, 우유, 요거트 등에 알러지가 발생 되더라구요. 전 엄청 맛있게 먹었거든요~^^
알러지 검사를 어디에서 하나요?
보통 일반 내과에서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런것도 있더라구요ㅎㅎ 자가진단 키트도 있었어요.먹거리 하니까 제가 관심 있는 게 생각나서요^^
그럼 초반에 먹거리 활동을 하셨던 것이 먹거리를 이야기하기 보다는 무언가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 필요하셨던 건가요?
네, 커뮤니티 중심이었어요. 먹거리를 하셔서 잘 아시겠지만 엄마들이 나보다 약자인 아이들을 위해서 잘 챙기게 되잖아요. 그런데 혼자 먹으면 사실 아무렇게나 먹게 되고 가리지 않게 되잖아요. 사실 커뮤니티를 하면서 어떻게 하면 잘 먹을지 거기에 집중을 하게 했죠. 그게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바른 먹거리에 대한 시작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을 했지요~
그럼 이후에 먹거리에 대해 관심이 많이 생겼나요?
꾸준히는 아니더라도 집에 가서 연두를 쓴다거나 천연다시마물을 쓴다거나 하게 되었죠~
저도 잘 몰랐는데 이렇게 준비해 놓으면 음식 만들기가 수월하게 되더라구요. 자연스럽게 입맛도 변해가는 것 같아요.
앞으로도 마을부엌 계속 운영하실 계획이 있으신지요?
지금 4년차가 되었는데, 고민을 많이 하고 있어요. 조약돌 같은 사람을 찾아내는 것이 어렵고, 망원동 주민이라는 의식이 사실 있지는 않잖아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주거 문제가 잘 개선되지 않는 이상 마을부엌을 유지 하는 게 쉽지는 않은 것 같아요.
무거울 수도 있겠지만 먹거리에 대한 철학이 있으신가요?
제가 채식주의자는 아니지만 웬만하면 밖에서는 육식을 안하려고 해요. 인간의 생명도 중요하지만 공존해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동물들도 중요하지 않나 싶어요. 자연이 최대한 보호되는 먹거리가 중요하지 않나 생각이 들어요.
제가 사실은 채식을 시도했다가 중간에 실패했어요. 약간 몸이 안 좋아지는 거에요. 몸에 영양소가 빠져나간 다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손톱이 잘 부러지고, 머리가 좀 빠지고.. 푸석푸석해 지는 느낌이 들었어요. 채식을 한 기간은 20대 초반에 6개월 정도 했어요. 채식을 하면서 내 몸에는 맞지 않다는 것을 느꼈어요. 인간이 채식을 위해서 태어난 것은 아니지만, 누군가는 노력을 해서 채식을 할 수 있고, 피치 못할 사정이지만 자연을 보호할 수 있는 바람직한 육식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by 먹거리정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