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말까지 매주 진행되는 서울환경연합의 5대강기행입니다.

지난 8월 5일에는 5대강기행의 두 번째 강낙동강 탐방이 진행되었습니다.

5대강기행단은 폭염을 뚫고 이른 아침부터 모여 대프리카’ 대구로 떠납니다!

첫 일정은 화원유원지입니다
약속된 장소에 도착하자 대구환경연합의 정숙자 사무처장님이 반겨주셨습니다.

으쌰으쌰 화랑유원지의 언덕길을 오르고 올라 전망대에 도착하니,

이런 풍경이 펼쳐집니다!

사진의 왼쪽에 흐르는 강은 낙동강입니다이름의 뜻은 낙양의 동쪽으로 흐르는 강

사진 상 끄트머리 즈음에는 강정보가 보이네요

낙동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강입니다강원도 태백에서 발원해서 대구를 거쳐 바다로 가는데요

대구를 거쳐가는 이 지점은 전체의 중간 지점 정도입니다.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깊어진 강이 보입니다

그래도 보수위 개방이후로 50cm 정도 수위가 낮아졌다고 하네요.

오른쪽에 흐르는 강은 금호강입니다호수처럼거문고처럼 잔잔하게 흐르는 강이라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금호강의 오른쪽편에 보이는 녹지는 오늘의 기행의 두 번째 목적지인 달성습지입니다

대구시가 지정한 습지보호구역이며흑두루미 도래지로 유명했습니다.’

 4대강 사업으로 수위가 올라 더 이상 흑두루미의 적절한 서식처가 아니게 된 달성습지입니다

근래에는 가끔 몇 마리가 관측될 뿐예전만큼은 아니라고 하네요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강의 수위가 변하고 본래 습지와 강의 주인이던 생물들은 살 곳을 잃었습니다.

달성습지 너머로 보이는 풍경은 영락없는 도심공업단지입니다

낙동강과 금호강그리고 달성습지는 대구시를 크게 흘러 지나칩니다

그리고 개발을 원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이 자연물들은 언제든 개발을 할 수 있는 노는 공간으로 받아드려지겠지요

실제로 4대강 사업이후이 공간들은 각종 개발과 관광사업의 먹잇감이 되었습니다.

 달성군의 유람선 사업이라든지, 대구시의 달성습지나루터 사업각종 수상레포츠 사업 등등.

4대강 사업은 끝난 게 아닙니다지자체 단위에서의 4대강 사업은 계속 진행 중입니다

강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만 치중된 강을 보는 관점의 한계입니다.

 
달성습지에 들어가기 전대명유수지를 지나쳤습니다
 
 

도심과 습지강 사이에 조성된침수위험을 줄이기 위한 큰그릇같은 지역입니다

이곳에서도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수위상승으로 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본래는 푸른 은빛의 물억새가 자라던 이곳은수위상승으로 인해 물가의 사는 특징을 가진 갈대들이 자라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지금에 와서는 물억새 군락보다는 갈대 군락지로 보여 진다고 합니다

맹꽁이 축제가 열릴 정도로 맹꽁이 서식지로 유명한 곳이지만정작 맹꽁이 또한 그 개체수가 줄어가고 있다고 하네요.

 

달성습지.

달성습지는 습지에서 육지화가 진행되는 중이라고 합니다

대구환경연합의 활동가 분들께서 달성습지의 모습을 ‘진짜 습지’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고 당부해주셨습니다.

그 말에 맞게 달성습지의 초입에는 인위적으로 심어진 단풍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서있습니다

조금 걸어가니 강 속의 강 샛강이 눈에 띄고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에 흐드러진 버드나무도 눈에 띕니다

적은 인원이 고요한 탐방을 한다면고라니와 남생이도 만나고 맹꽁이 울음소리도 들을 수 있을 것만 같습니다.


작은 강이라도 많은 생명에게 도움이 됩니다

대구환경연합의 활동가분들이 삶과 이어진 강이라는 말을 해주신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낙동강은 대구 취수의 70%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강과 삶이 단절된 사람들에게 강물을 이용하고 마신다는 것은 너무 먼 얘기이며,  

자연스럽게 낙동강의 수질문제도 본인들의 문제가 아니게 됩니다

어린 시절의 놀이 공간그리고 쉼의 공간경제활동의 터전으로 사람들의 삶과 이어져 있던 강입니다.

 4대강 사업은 맹꽁이와 철새들처럼 강을 누릴 권리가 있는 강유역의 사람들에게서도 강을 빼앗았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중요한 것이 강의 원래 모습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생태감수성을 잃지 않고현재 강의 모습을 기록하며 미래에 다시 재자연화가 되는 강을 상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달성습지에서는 습지 생물종 그림그리기 시간을 가지고그린 그림을 나누는 것으로 일정을 마쳤습니다.

다음 이동지는 감천 합수부입니다.

낙동강과 작은 감천이 만나는 지점을 감천 합수부라고 합니다.

이곳을 가기 위해서 풀숲을 헤치고 정신없이 대구환경연합의 활동가님들을 따라갑니다

목표지점에 도착하니 이곳으로 왜 안내해준 것인지 알 것 같았습니다.

4대강 사업은 부드러운 모래와 얕고 맑은 물이 흐르던 강을 쑤시고 파헤쳐서 댐을 세우며 강바닥을 6m깊이 까지 준설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낙동강과 작은 감천이 만나는 감천 합수부에서는신비한 일이 일어납니다

깊이 파헤쳐 강바닥 위로 다시 모래들이 쌓이기 시작한 것이죠

이 현상을 역행침식이라고 합니다

물은 보통 상류에서 하류로 흐릅니다.

상류에서 내려오는 물의 흐름에 의해 흙과 자갈 등이 무너지는 것이 일반적인 침식이지만, 

역행침식은 이 현상이 정반대로 이뤄지는 것입니다. 이 현상은 폭포와 같이 낙차가 큰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강바닥을 무리하게 깊이 준설하고, 그로 인해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이죠.

사진으로 보다시피 이제 감천합수부 지점은 모래가 쌓이고 쌓여 지금은 발목무릎정도까지의 수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위적으로 땅을 파고 콘크리트를 뒤덮는 일어 새로운 환경을 조성하는 일은

자연이 가진 회복력을 이기지 못한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듯합니다.

 

 

 ▲ 기행을 함께 해주신 대구환경연합의 계대욱 활동가님

▲ 감천합수부에서 보이는 구미보와 사진을 찍는 참가자
 
 
 

무더운 여름날 쉽지 않은 일정이었으나, 5대강기행의 두번째 탐방도 끝이 났습니다.

금강기행은 4대강사업의 부실점을 콕콕 찝어 볼 수 있었다면,

낙동강기행은 4대강사업 이후 재자연화의 희망을 본 것만 같아 마음이 들뜹니다.

 앞으로 가게 될 영산강, 섬진강, 한강은 또 어떤 모습일까요?

궁금하시다면 5대강 기행에 함께 해주세요!

>> 클릭하시면 신청링크로 이동합니다

1. 섬진강(8/19) 신청하기

2. 한강(8/26)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