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경연합 5대강기행
강의 생명과 역사를 만나러 떠나는, 올여름 아주 특별한 여행!
5대강 기행은, 4대강 사업 이후 변화된 강의 모습을 직접 확인하는 생태·역사 기행입니다.

 

무더웠던 지난 7월 29일 토요일, 서울환경연합의 5대강 기행이 시작되었습니다.
매주 토요일마다 금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한강을 탐방하는데요,
그 첫번째 탐방지로 금강에 다녀왔습니다.
이른 아침부터 만나 버스를 타고 달린지 1~2시간!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을 달려 드디어 금강에 도착했습니다.
sally_special-18
이번 금강기행은 40명에 가까운  시민분들과 함께 했습니다.
낯이 익은 회원분들도 계셨고, 어린아이의 손을 잡고 오신 분들도 눈에 띕니다.
이번 오대강기행을 통해 처음 서울환경연합과 만나게 되신 분들도 계시구요^^
예상보다 더 무더웠던 날씨에  빡빡한 일정이었음에도
함께 끝까지 잘 따라와 주셔서 참가자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번 기행의 가이드가 되어주신
김종술 시민기자님(왼쪽)과
대전환경운동연합의 이경호 국장님(오른쪽)이십니다.
이번 기행을 통해 첫 방문하게 된 금강의 첫 느낌은 ‘아, 한강같다.’라는 것이었습니다.
기자님이 준비해 주신 자료(위 사진 참고) 속에서 볼 수 있는
 모래톱과 함께 얕고 맑게 흐르는 과거 금강의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지요.
4대강 사업이 각 강의 개성과 생태에게 얼마나 파괴적인 사업이었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 기웃기웃, 기자님의 사진을 호기심있게 보는 어린이 참가자
▲ 금강요정 김종술 기자님의 생생하고 현장감 넘치는 금강 이야기를 경청하는 참가자분들의 모습
5대강 탐사대! 금강의 첫 번째 목적지는 공주보였습니다.
강을 가로막는 저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바로 공주보입니다.
참고로 김종술 기자님이 손에 쥐고 계시는 꽃은 우리나라 토종의 꽃도 아닌,
뜬금없는… 아프리카의 들꽃이라고 합니다.
단지 보기에 좋다는 이유로 4대강 사업지의 조경용 꽃으로 쓰이고 있는데요,
앞으로 5대강을 돌아다니면서, 어느 강을 가더라도 이 꽃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신 게 인상 깊었습니다.
김종술 기자님은 금강을 쭉 걸으며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하나하나 짚어주셨습니다.
이 사진의 장소는 많은 세금을 들여 조성한 수상공연장입니다!
공연장이라고 말하지 않으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풀로 뒤덮여진 엉망의 모습이었습니다.
기자님의 말에 따르면 지어진 이래로 단 한번! 공연이 진행됐다고 합니다.
4대강살리기의 주요 사업 중 하나는 강 주변을 인위적인 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수상공연장이 상징적으로 보여주 듯, 대부분의 지역은 방치가 되고 있다 합니다.
적지 않은 유지비와 관리비가 들어가는 공원들이 제대로 관리가 되고 있는지,
실질적으로 강 유역의 주민들에게 혜택으로 돌아가고 있는지는 한 번 살펴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이런 방치된 공간을 실제로 보고 오니 5대강 탐사대의 제 역할을 한 것 같아서 뿌듯하더군요!
moon_and_james-23
▲ 공주보가 보이는 강변에 서서, 김종술기자님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탐방대의 모습
김종술 기자님이 장화와 삽을 챙겨드시고는 금강으로 저벅저벅 들어가십니다.
몇번의 삽질을 하자, 썩은 뻘이 나옵니다.
▲ 타는 듯 뜨거웠던 태양 밑에서 설명에 열중하신 김종술 기자님과 경청해주신 참가자분들
여기서 잠깐 퀴즈!
이 물체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moon_and_james-83
정답은 ‘마이크로버블기’입니다.
강이 흐르지 않게 되면서 녹조가 발생하고, 산소부족으로 인한 물고기 폐사가 일어나자
적지 않은 돈을 들여 장만한 장비라고 해요.
그나마도 큰 비 한 번에 망가져서, 탐방 당시에는 저런 모습으로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사실 가장 간단하고, 명확하며, 제대로 된 해결책은
‘강을 흐르게 하는 것’입니다.
기자님의 말에 따르면 녹조가 발생할 때마다 인력을 써서 배로 강을 휘젓고 다니게 한다고 해요.
물결을 일으켜 녹조를 흐트러뜨리면서 단기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서 말이죠.
하지만 흐르지 않는 강에서 녹조가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단기적이고 단발적인 대책으로는 영영 해결될 수 없습니다.
moon_and_james-80
▲ 첫번째 탐방지 공주보에서 단체사진 한 번!
맛있는 점심으로 기력을 보충하고 다시 으쌰으쌰!
다음 일정은 공산성이었습니다.
▲공산성에서도 이어지는 금강요정 김종술 기자님의 설명시간
백제의 고대 성곽인 공산성입니다.
성곽을 따라 걷는 길이 이색적이기도 하고, 금강과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는 점에서 관광지로도 인기인 곳입니다.
하지만! 5대강 탐사대가 공산성을 탐방한 이유는,
비교적 최근인 2013년. 기나긴 시간을 견뎌온 공산성의 성벽이 무너지는 일이 발생했었기 때문입니다.
성곽을 따라 걷다 보면 복원한 듯, 다른 색으로 눈에 띄는 성곽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김종술 기자님과 몇몇 전문가들은 이 사건의 원인을
4대강 사업 중 공산성 외곽의 지반이 침하된 것으로 꼽습니다.
당시에 해당 관청은 빗방울이 침투되어서(?) 라는 납득이 가지 않는 이유를 핑계로
빨리 현장을 덮어버렸다고 합니다.
▲공산성에서 단체사진! 강은 흘러야 한다
공산성 탐방을 마치고 마지막 탐방지로 이동을 했습니다.
금강 기행의 마지막 목적지는 세종보!
세종보는 서울의 신곡수중보, 잠실보와 같이 물속에 있어서 눈에 잘 띄지 않았어요.

처음에 세종보가 있는 곳에 도착해서 ‘보가 어디 있다는 거지?’ 갸우뚱 했지만,

사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시피 확연한 물색의 차이를 힌트로 세종보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아이들과 풀잎배를 만드는 법을 배워서 강에 띄우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4대강 사업을 거치지 않은 강의 모습을 보지 못한 저는,

그리고 아이들은 이대로  영영 오늘 본 모습으로만 강을 기억하게 될까요?

4대강 사업은 금강이 가진 생태적 특징과 지역성을 모두 획일화시켰습니다.

멋들어진 이름만 눈에 띄고 실상은 방치된 수상공연장 같은 ‘경관’들,

일직선으로 정비된 콘크리트 수로와 같은 강,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강변의 인공적인 공원들!

이런 특징들은 진짜 강이 가진 힘이 아니기 때문에

강의 개성이 아니기 때문에

강이 아이들에게 이런 모습으로 기억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강은 흘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