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이래경 페이지

결과: 1 - 17 of 17

직접민주주의 뉴스 발간의 축하 인터뷰

‘직접민주제’는 대의적 제도정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보적 경쟁과 견제를 통해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 이래경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지난 12일 제1기…

조회수: 12

제3섹타 경제론 – 형제애적 실천에 대하여

신이 있다면 박뱅을 통하여 우주를 창조하시고, 자연적 법칙을 부여하여 만물이 운행토록 하였을 것이다. 이에 성서에서는 태초에 말씀(법칙)이 있었다 기록하였고, 아시아의 현자들은…

조회수: 135

평창에서 평화로 나가는 로드맵

문재인 대통령이 9일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과 악수하고 있다(사진: 연합뉴스).프레시안 박인규 대표에 의하면 ‘워싱턴 룰’이란 것이 있다…

조회수: 214

문재인 정부, 북한 비핵화 넘는 담대한 구상 보여라

<아래의 글을 전개하기 전에 막장드라마 같은 한국의 현재 정치판에 문재인만한 인물이 새로운 19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것은 한국 국민들에게는 축복과 행운임에 분명하다. 인간…

조회수: 234

10일, 이래경 이사장 출판기념회

오는 10일 저녁 6시30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산다미아노 카페(☞ 여기)에서 이래경 (사)다른백년 이사장의 신간 ‘다른 백년을 꿈꾸자’의 출판기념회가 열립니다. …

조회수: 181

이래경 이사장, 신간 ‘다른 백년을 꿈꾸자’ 출간

이래경 (사)다른백년 이사장의 신간 ‘다른 백년을 꿈꾸자’가 출간됐다.  이번 책은 이 이사장이 지난 1년 동안 이곳 다른백년 홈페이지에 올린 글들을 다듬고 보완한 것이다.…

조회수: 296

사드 배치, 왜 위험한가

“누가 대통령이 되냐 보다 사드 배치 반대가 더 중요하다” 지난 3월 27일, 이래경 다른백년 이사장이 유나킴이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에 출연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조회수: 154

촛불혁명 이후 반동을 막으려면…

일요일 아침 조선일보 온라인 판에 실린 주간조선 편집장의 글 (혁명이 지나고 나면…)을 읽고 나서, 필자는 그동안 써왔던 ‘다른백년을 꿈꾸며’라는 미래구상적 칼럼을 일단 중단하고…

조회수: 351

‘강한 시민사회’ 없이 민주주의도 없다

현재 세계는 민주주의 정치체계가 위기를 맞는 시대로 돌입했다. 서구 민주주의 본산인 영국은 역사적 흐름에서 뒤쳐진 상황의 구실을 정치인들이 무책임하게 외부에서 찾다가 ‘브렉시트’…

조회수: 301

기본소득, “한 번 해볼만 하다”

지난 7월초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제16차 대회가 전 세계인들이 모인 가운데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불과 한달 전에 실시하여 전세계 매스컴을 달구었던 스위스의…

조회수: 558

‘제2의 박근혜’에게 두 번 속지 않는 방법

19대 대통령선거를 일년 남직 남겨놓은 현재 시점에서 주요 정당들은 당대회를 통해 선거체계를 갖추기 시작했고, 야당을 중심으로 잠룡후보군의 정치인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조회수: 209

행복한 나라에선 아이가 자란다

최근 정부의 발표에 의하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지난 3년간 박근혜 정권에서만 수 십조원의 관련 예산을 쏟아 부었지만, 2015년기준 역시 세계최저수준인 1.2에 머물렀다 한다…

조회수: 431

경제성장과 행복…”뭣이 중헌디?”

국가와 사회를 평가하는 지수는 해당 조직을 이끌어가는 데 매우 중요한 핵심동력이자 좌표이다. 조그만 기업을 30년간 경영해 본 필자의 경험에서 보면, 일상적인 지시와 감독으로…

조회수: 511

‘코닥’처럼 망하고, ‘후지’처럼 혁신하라!

지난번 칼럼 ‘한국경제, 죽어야 산다’에서 현재 한국산업구조의 근육질적 경직성을 지적하고 격변하는 외부환경에 응동할 수 있는 유연한 연성구조로 전환하여 급작스런 실패와 외부적…

조회수: 863

한국 경제, 죽어야 산다

최근 한국경제성장률의 저하를 우려하는 소리가 높다. 내용인즉 IMF 위기이전에는 7 % 이상의 고도성장을 유지하던 성장률이 국민의정부 시절에는 5.0%, 노무현정부에선 4.2…

조회수: 470

아직도 ‘일왕의 나라’에 사는 ‘오야붕’

아침신문을 읽다 보면 없던 두통이 느껴진다. 지난 세월도 늘 그러했지만 박근혜정권의 말기적 현상이 심해지면서 아픈 정도가 점점 더 강해진다. 때마침 평소 존경하는 채현국…

조회수: 370

‘서별관회의’에서 벌어진 일

해운과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이 한국산업의 화두가 되었다. 시야를 넓혀서 보면 세계적 규모의 금융과 경제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과정이 겹쳐서 미증유의 산업구조적 변동이라는…

조회수: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