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과 개혁
한국 사회의 개혁을 방해하는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혁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민중이므로 개혁을 지체시키고 있는 기본 원인은 외적인 객관적 조건보다는 민중…
편집인의글 https://www.peoplepower21.org/index.php?mid=Welfare&document_srl=1813685... rel="…
편집인의 글 이주하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복지동향 편집위원 코로나 시대에 막 오른 대선 레이스에서 ‘기본’이라는 단어로 채색된 다양한 정책들이…
NIT ‘들’ 은민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초빙교수 무조건적인 기본소득은 모든 사람에게 그 사람의 상황이나 욕구에 상관없이, 근로의무 등의 자격…
기본자산, 정말로 그게 최선입니까 김공회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기본자산제의 매력 ‘성년이 된 모든 시민에게 일정액의 자산을 지급하자!’ 매력적인…
보편적 기본서비스는 기본소득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김보영 영남대학교 교수 보건의료, 교육, 돌봄, 교통, 통신, 주거 등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범주형 기본소득, 사회수당 김태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기초보장연구센터장 코로나19가 여전히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0년 1월 시작된 이후…
복지현장과 정책분야에 십여 년을 직간접적으로 관여해온 필자로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복지정책에 대한 논쟁, 특히 기본소득에 대한 자해적 비난에 대하여 개탄과 경악을 금치 못한다…
편집자 주: 팬데믹 실직수당 지원금(주당 600불)에 대해 미국 내에서 일고 있는 논쟁은 한국에서도 향후 전개될 기본소득 도입여부의 전초전이라는 점에서 비상한 관심을 갖게 한다…
기획연재 ‘코로나19 이후를 이야기하다’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을 대응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소식을 비롯해 전문가와 현장 활동가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이 캠페인은 "차별의 벽을 함께 넘는 시도"입니다. 코로나19, 어느 누구도 질병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럴수록 차별, 편견, 배제가 아닌 함께 살아 갈 방법을 …
약 7조원 규모의 긴급재난지원금 재원은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조달된다. 적자국채 발행을 최소화하면서 코로나19로 집행이 부진한 사업 규모를 줄이는 방식이라 국가채무 비율이 급격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