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가뭄 페이지

결과: 1 - 20 of 20

[참여안내] 제 9회 동아시아기후포럼 온라인 참여자 모집

    ✔️?동아시아기후포럼?은 2010년 제 1회 포럼을 시작으로 한·중·일 NGO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전환 등 실질적인 대안을 논의하며 격년으로…

조회수: 0

[논평] ‘무조건 4대강 보 활용’ 외치는 윤석열 대통령이 우려스럽다

    어제(17일) 윤석열 대통령은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기후 위기로 극심한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재평가를 통해 4대강 보…

조회수: 0

[토론회 후기] 윤석열 정부의 4대강 보 활용한 가뭄대책은 사실의 왜곡, 근본적 대책 아니야

자료집 : 윤석열 정부 중장기 가뭄대책 진단과 우려     시민환경연구소,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은 4월 14일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윤석열 정부의 ‘중장기…

조회수: 0

[보도자료] 윤석열 대통령의 기본도 안 갖춘 4대강 보 활용 지시 규탄한다!

첨부 : 서울 / 금강 / 낙동강 / 영산강 기자회견문     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는 오는 4월 10일(월) 오전 11시 광화문광장에서 윤석열 정부의 4대강 보 활용을 통한…

조회수: 0

[논평] 세계 물의 날, 모두가 안전한 물을 누리는 물관리 정책 펼쳐져야

    오늘은 1992년 유엔 총회에서 선포한 세계 물의 날이며, 이번 2023년 세계 물의 날의 공식 슬로건은 물과 식수 위생 위기에 대한 ‘변화의 가속화(…

조회수: 1

[토론회 후기] 기후위기 시대 홍수재해 진단과 개선 포럼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이수진(비례) 국회의원과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 한국수자원학회 등은 11월 18일 국회의원회관 제7세미나실에서 ‘기후위기 시대 홍수재해 진단과 개선…

조회수: 0

[보도자료] 세계야생동식물의날(3.2)_도심속 도롱뇽 산란 첫 확인

도심 속 도롱뇽 산란 본격 시작 내일(3.3)은 세계 야생 동·식물의날 ○ 서울환경운동연합(이하 서울환경연합)은 3월 1일 서울도심 인왕산자락 계곡일대에서 올해 첫 도롱뇽 산란을…

조회수: 154

스마트폰 개발보다 더 중요한 걸 놓치고 있는 한국

지난 한달 동안 핵무기 이야기만 듣다 보니까 핵무기만이 유일한 위험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오지는 않지만 훨씬 더 위험한 문제가 동시에 우리 눈앞에 다가와 있다…

조회수: 271

[보도자료] “충남서부 가뭄 심화 주범은 화력발전소” 얼마나 쓰길래?

태안.당진 화력발전소 물사용량이 태안군.당진시보다 많아 석탄화력발전소 봄철 추가 셧다운으로 가뭄과 미세먼지 극복해야   6월 30일, 환경운동연합과 이용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조회수: 368

누상동+수성동계곡 모니터링 참가자 박소민님 후기

  토요일 오전 11시 서울환경연합 사무실에 모여서 서울환경연합에서 하는 활동들과  현재 우리가 참여한 도롱뇽 생태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출발했습니다.  집들 사이를…

조회수: 538

[논평] 정부와 언론의 가뭄 주장 부정확하고 부풀려져

정부와 언론의 가뭄 주장 부정확하고 부풀려져 - 합리적 정책과 보도로 불필요한 논란과 예산 낭비 막아야 1. 가뭄 현황 정부가 어제(5.29.) 발표한 보도자료 「정부, 가뭄…

조회수: 244

[기고] 환경부의 이상한 예산

국회가 심의 중인 2016년 정부 예산 중에서 가장 특이한 사례는 환경부의 대구 물산업클러스터 예산 1,036억원일 듯싶다. 14만 5,209㎡의 면적에 물 기업들을 집중…

조회수: 710

[기고]엉터리 물 정책

한국의 최상위 물 계획은 국토교통부가 5년마다 작성하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이다. 2001년의 이 계획에 따르면, 10년 뒤 국민 1인에게 하루 공급하는 양은 410ℓ에 달할…

조회수: 515

[성명서] 제2의 4대강 사업은 안된다

제2의 4대강 사업은 안 된다. -부족한 것은 물이 아니라 정책이고, 토목이 아니고 생각이다- -사업 전에 타당성 검토 / 사회적 합의 안 하면 또 갈등 난다-   ◯…

조회수: 567

[성명서] 충남 물 부족은 물정책 실패 사례, 지속가능한 가뭄대책 마련해야.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전화 02)735-7000 팩스 02)730-…

조회수: 412

[토론회] 가뭄과 홍수 – 4대강 사업 이후 물관리

[caption id="attachment_152207" align="alignleft" width="672"] ⓒ오일[/caption] 지난 7월 22일, 환경재단…

조회수: 421

CNN, 유례없는 가뭄으로 북한에 기근 초래할 전망

CNN, 유례없는 가뭄으로 북한에 기근 초래할 전망-국제 사회 북한 가뭄 지원 및 협력 의사 전해 -대규모 구제 노력 없으면 아사 상태 올 수도CNN이 북한의 유례 없는 가뭄에…

조회수: 187

[논평]가뭄/녹조 사태 대책 없는 정부, 앞으로가 더 문제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전화 02)735-7000 팩스 02)730-1240 가뭄/녹조…

조회수: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