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개인이 행복은 공정한 사회규범속에 타인과 관계를 통해 실현된다
“행복은 기본적으로 개별적이고 주관적 요소가 강하지만, 국가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들의 행복에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것은 인간다움이 가능한 사회적 분위기를 유도하는 제도와 규범…
“행복은 기본적으로 개별적이고 주관적 요소가 강하지만, 국가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들의 행복에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것은 인간다움이 가능한 사회적 분위기를 유도하는 제도와 규범…
지난 4월 8일 오후 1시, 청년참여연대 회원 월례행사로 "청년참여연대, 하자센터가 함께 하는 <사회변화게임 : 헬조선 리셋>"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사회변화게임 '…
청년참여연대, 하자센터가 함께 하는 <사회변화게임 : 헬조선 리셋> 민주주의를 플레이하다! 게임을 통해 사회를 상상하고, 진행하고, 다시 만든다! "…
세월호, 메르스, 백남기. 지난 4년 동안 한국 사회는 수많은 죽음을 지켜봐야 했습니다. 박근혜 정부는 늘 ‘창조’란 말을 반복했으나 오히려 ‘헬조선’을 탄생시켰습니다.…
헬조선, 그래도 희망은 20대였다 청년들의 정치 참여가 대한민국을 바꾼다 정태석 전북대학교 교수 20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많은 사람들이 야권이 패배할 것이라고…
<민선영(청년참여연대 운영위원장), 구현모(청춘씨:발아), 이가현(알바노조), 박상훈(정치발전소) ⓒ청년참여연대> 청년유권자파티 <이생망, 이대로 죽을…
헬조선이라 불리는 우리 사회. 청년들이 가만히 앉아 자조에 빠져있을 수만은 없는 때입니다. 지난 여름과 가을 활동했던 체인지리더 5기에 이어 1월부터 새로 시작한 체인지리더…
2016년. ‘붉은 원숭이의 해’ 병신년 새해가 밝고 한달이 지났습니다. ‘4.13 총선’은 두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19대 국회가 4년의 임기를 채우는 동안 시민들의 삶은…
또다시 등록금의 계절입니다. 설 연휴를 앞뒀지만, 많은 대학생들의 마음은 편치 않다고 합니다. 여전히 아르바이트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비싼 등록금 때문입니다. 등록금 관련해서…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지난 4년 동안 19대 국회가 청년 정책을 제대로 진단하고 해법을 제시했는지, 각 정당의 관계자를 만나 물었다. 새누리당(김용태 의원),…
최근 청년들 사이에서 ‘수저 계급론’이라는 게 유행하고 있습니다. 부모의 재력에 따라 자녀들의 계급 역시 결정된다는 걸 ‘금수저’부터 ‘흙수저’까지로 나눠 풍자하는 내용입니다.…
자상한 인상의 아버지가 운전을 한다. 옆 자리엔 성인이 된 딸이 앉아 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대뜸, 딸이 말한다. “나도 아빠랑 같이 출근하고 싶다”. 말 없이 딸을…
헬조선을 이야기하는 것이 위험한가? 남기철 l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10월~12월까지 남기철 교수의 칼럼이 연재됩니다. 2015년 우리나라를, 그리고…
지난주에 이어 뉴스타파 목격자들이 추석 특집으로 마련한 <건달할배 채현국을 만나다> 그 두번 째 편, 이번주는 채현국 할배가 과거 1960년대 광산 등 흥국재단을…
지난 달 19일 홍대 카페에 건달 채현국 할배가 떴다! 지난 주 방송된 추석특집 <건달할배 채현국을 만나다> 1부에서는 명절에 가족 간 싸움을 방지하는 법부터 꼰대와…
[성명] 노사정 야합은 노동의 지옥문을 열었다. 이미 한국사회는 밀림이다. 고통의 등급을 매기는 사회의 안전망은 부재하다. 노동권이 생존의 밧줄이다. 그런데 노동자로…
얼마전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담화를 통해 ‘노동 시장 유연성 제고’가 필요하다며 독일의 사례를 내세웠습니다. 독일은 노사간 협력관계 구축과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등의 개혁을 이뤄내…
'헬조선', '일베'와는 다르다 한국 사회 변화의 새로운 에너지 정태석 전북대학교 교수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 '헬조선'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져나가고 있다. 헬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