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철이 없었죠. 푸른 물길 프로젝트가 그린뉴딜이라고 생각한 것 자체가.
51번째 지구의날입니다! 올해는 탄소중립과 기후위기의 해, 그린뉴딜의 한 해가 될 것 같은 만큼 의미가 남다릅니다. 코로나19와 기후위기로 지구도 사람들도 모두…
51번째 지구의날입니다! 올해는 탄소중립과 기후위기의 해, 그린뉴딜의 한 해가 될 것 같은 만큼 의미가 남다릅니다. 코로나19와 기후위기로 지구도 사람들도 모두…
[지구를 파괴하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 전면 백지화하라!] ⓒ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4월 15일(목) 환경운동연합은 2021년 지구의 날 주제인 “…
후쿠시마 원전사고 대참사 10주기입니다. 2011년 3월 11일부터 지금까지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파괴와 고통의 잔해는 아직도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후쿠시마 핵사고…
조용준 국장님께서 TJB 생방송 투데이-클릭프리즘에 출연하셨습니다! 코로나19로 급증하고 있는 쓰레기 문제에 대해서 말씀해주셨는데요! 시민들이 잘 알지 못했던 올바른 분리배출부터…
2020년 하반기, 짧은 시간 동안에도 너무나 고퀄리티의 성과물을 만들어낸 청소년 기후위기 대응활동의 작품을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조용준 국장님과 촬영부터 편집까지!…
기후위기를 극복하는데에 필수적인 에너지 전환… 에너지전환 대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접근하기 어려워 하시는 주제인 만큼 핵심 내용만 모아모아 ~ 카드뉴스로 만들어…
2021년 2월 3일 수요일! 회원님들의 응원과 사랑속에서 제 29차 정기총회를 무사히 마무리하였습니다. 사전에 공지드렸던 바와 같이 계속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좀처럼…
[성명서] 월성 삼중수소 누출 사건, 원자력안전위 자체 조사로 제대로 검증할 수 없어 – 지역, 시민사회, 전문가 참여한 민관합동조사 실시해야 월성핵발전소…
잘 보존된 자연도 ‘핫플’이 될 수 있다 새를 보는 사람들에게 하천과 숲의 보전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전시의 하천관리는 그야말로 엉망이다. 사람을 위한,…
참고: 대전시는 원칙없는 3대하천 준설사업 중단하고 생태자연성 보장하는 지속 가능한 하천 계획 수립하라!
11월 21일 토요일 오후 2시, 은행동 으능정이거리에서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촉구하는 퍼포먼스 기후행동이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대전도 피켓팅과 다이인(…
빨갛게 노랗게 곳곳을 물들였던 가을이 지나 이제는 겨울이 성큼, 코앞으로 다가온 것 같습니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의 금강, 대전천 플로킹을 보시고 많은 분들께서 하천 플로킹에…
아주 그냥 가을 내내 플로킹에 빠져버린 플로킹 삼총사… 이번주에도 어김없이 플로킹 한판 치르고 왔는데요! 지구사랑 회원사랑~ 자원봉사하러 오신 대학생 회원님 이준호님께서…
번개로 모집, 결성된 금강 줍깅 원정대! 11월 5일 오전 10시 공주보 상류에 위치한 공주시 쌍신공원에서 집결했습니다~ 이번 줍깅은 특별하게도 금강의 수호요정 김종술…
Q. ‘탄소 중립’이 뭔가요? A. 같은 말로는 ‘온실가스 넷제로’라고 하기도 합니다. 전력난방·교통 분야 같은 에너지나 산업시설, 농·축산 등과 같은 부문들을 온실가스…
10월 15일 목요일 19시에 진행된 청소년 기후위기 대응활동 온라인 비대면 오리엔테이션! 총 활동인원의 절반을 넘은 21명의 높은 참석률을 보이며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1.5도 목표의 ‘걸림돌’을 찾아가다 – 이번에는 정부다 -기후위기비상행동- 23일(수) 세종시 산업통상자원부 정문 앞. 대전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을…
-성명서 전문- ◯ 2000년 6월 30일,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실효제에 따른 도시공원일몰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다. 2020년 7월 1일 전국에서 여의도 면적의…
성명서 바로가기 백제보의 수문개방으로 기쁜 마음도 잠시 서천군, 부여군, 논산시, 익산시의 행정협의회인 금강수상관광상생발전협의회가 금강 뱃길 조성사업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폭염에 녹조 곤죽된 백제보, 재난인정하고 개방해야! ○ 대전환경운동연합은 8월 3일 백제보, 공주보, 세종보 녹조현장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수문을 개방한 공주보와 세종보의…
*신청하기:신청서 작성(클릭 -> http://goo.gl/SSVaKB ) * 아직 신청자리가 남아있어요~ (선착순 80명) * 순서는 신청서 작성순이 아니라…
*신청하기: goo.gl/SSVaKB * 7월 23일 (월) 오전9시부터 신청받습니다.^^ (선착순 80명)
아래 사진은 대규모 공원을 조성한 4대강 사업 이후의 모습니다. 사람 키보다 높이 자란 잡초들이 우거졌다. 4대강 사업 때 막대한 세금으로 조성했지만, 관리가 되지 않는다. 강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