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홍선기의 섬이야기 페이지

[홍선기의 섬이야기] 일본 섬의 두 얼굴, 연륙연도와 섬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caption id="attachment_211587" align="aligncenter" width="567"]…

[홍선기의 섬이야기] 인도네시아 발리의 힌두철학 ‘트리 히타 카라나(Tri Hita Karana)’…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풍수지리는 오래전부터 땅의 형상과 주변 환경, 방향을 고려하여 대지의 특성을 읽어내는 일종의 지리학의 하나로 발전해 오고…

[홍선기의 섬이야기] 섬과 그린뉴딜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홍수와 범람은 관리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서 치수가 되고, 저수가 되기도 한다. 한여름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홍선기의 섬이야기] 인도네시아의 다대기 양념문화, 삼발(Sambal)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caption id="attachment_208155" align="aligncenter" width="441"] 삼발의 재료…

[홍선기의 섬이야기] COVID-19와 섬 세계의 대응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할 때, 우리는 인류의 여러 흥망사 속에서 섬의 멸망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하게 된다. 갑작스러운…

[홍선기의 섬이야기] 섬의 전통지식의 변화와 미래가치 재발견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섬의 지식, 섬 속의 지식 최근 섬은 기후위기에 의한 해양환경의 변화, 고령화·인구감소에 의한 사회변화, 접근성 증가에…

[홍선기의 섬이야기] 2020년대, 자연과 공존의 기로에 선 인간

2020년대, 자연과 공존의 기로에 선 인간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2020년대를 시작하면서 쓰는 첫 칼럼이다. 늘 연말 연초에 쓰던 글처럼 희망을…

[홍선기의 섬이야기] 2019년 기후위기와 함께한 섬의 해를 보내며

2019년 기후위기와 함께한 섬의 해를 보내며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2019년 한해를 돌이켜 보면, 우리나라는 섬의 해라고 할 만큼 ‘섬’을…

[홍선기의 섬이야기] 인도네시아 바뉴왕기(Banyuwangi Regency)의 커피 이야기

인도네시아 바뉴왕기(Banyuwangi Regency)의 커피 이야기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세계 커피의 종류와 방법을 이야기하자면 인도네시아를…

[홍선기의 섬이야기] 섬의 미래는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다

섬의 환경보전이 곧 생물문화의 보전이며 계승이다   홍선기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기후변화, 식량문제, 자원고갈 등 전 지구적 변화에 대해 생존에 대한…

[홍선기의 섬이야기] 과연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섬 연구인가

과연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섬 연구인가   홍선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2019년 8월 8일 우리나라 최초, 세계 최초의 국가기념일 행사가 목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