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원재입니다.

얼마 전 청년들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정직원’이라는 용어를 들었습니다.
‘비정규직’과 ‘정규직’ 대신 ‘정직원’과 ‘정직원이 아닌 사람들’로 나눈 표현입니다.
‘정직원’은 그 회사의 주인, 또는 주인에 버금가는 구성원이라는 느낌을 줍니다.
나머지는 그렇지 않은 사람, 딸린 사람이라는 의미가 내포된 표현이겠지요.
이런 생각이 들면서 마음이 서늘해졌던 기억이 납니다.

정규직이란 무엇일까요?
법적으로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이라는 개념만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에서 정규직이란 ‘고용안전이 보장되고, 연공주의에 따른 임금인상, 승급, 승진 및 기업복지의 혜택을 누리는 근로자’라는 통념이라고 말합니다.
대체로 ‘안정되어 있고 성장하는 일자리’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정규직은 좋은 일자리이고, 비정규직은 그렇지 않은 것일까요?
사실 이런 생각은 이미 무너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불안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모두 성장에 목마르기 때문입니다.
대기업 정규직 직원도 40대 중반이 지나면 퇴직 이후를 걱정해야 합니다. 45세 이후 재취업자의 처우는 이전 직장에서보다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현실이 어깨를 짓누릅니다.
정규직 신입사원은 ‘저녁이 없는 삶’을 살아가며 일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맙니다.
작은 회사에서는 사장부터 말단 직원까지 정규직과 비정규직 구분 없이 불안하고 초조합니다.
‘무기계약직’ 입사자는 해고 위험은 적지만 여전한 차별에 서럽습니다.
불안하고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는 점에서, 우리 모두는 사실상 비정규직일지도 모릅니다.

모두가 우리 사회의 ‘정직원’이 되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요?

그러려면 모두에게 ‘좋은 일’이 주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좋은 일’이 무엇인지 아직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월급을 많이 주면 좋은 일인가요?
월급보다는 ‘칼퇴근’이 보장되는 게 중요한가요?
성과에 따라 공정한 보상이 주어지는 것이 나은가요?
보상은 엇비슷해도 오랫동안 다닐 수 있는 게 먼저인가요?

기준이 있어야 요구와 대안 마련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희망제작소가 ‘좋은 일’의 기준을 찾고자 나섰습니다.
‘좋은 일, 공정한 노동’ 기획을 연재하며 설문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사다리포럼’을 통해 ‘막다른 일자리’ 해법을 연구한 데 이어, 희망제작소가 두 번째로 진행하는 일자리 관련 프로젝트입니다.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글을 살펴보시고, 설문에 응답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 ‘일자리’와 ‘좋은 일’의 개념을 다시 정립하는 데 힘을 보태주시면 좋겠습니다.
(‘좋은 일, 공정한 노동’ 연재글 보기)

늘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희망제작소 소장
이원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