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온실가스 페이지

독일의 탈핵 돌아보기. ‘완전한 탈핵’을 위해.

독일의 탈핵 돌아보기. ‘완전한 탈핵’을 위해. Annabelle Schönherr   2023년 4월 15일에 독일에서는 마지막 3개의 가동이 중지되면서 독일 탈핵이…

유럽과 한국의 9월 기후행동,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달랐을까

유럽과 한국의 9월 기후행동,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달랐을까 Annabelle Schönherr   지난 9월 전세계에서 기후정의를 요청하는 제13차 기후 행동이 벌어졌다. 이…

[보도자료] 923 기후정의행진, 태양과 바람의 나라를 위한 환경운동연합 6대 요구

  923 기후정의행진, 태양과 바람의 나라를 위한 환경운동연합 6대 요구   9월 23일 서울 세종대로에서 기후정의행진이 열린다. 기후위기가 더이상 미래의 일이 아니라 현재의…

[보도자료] 석탄발전소 공사를 멈춘 2시간

석탄발전소 공사를 멈춘 2시간   - 기후환경단체 활동가, 포스코 삼척석탄발전소 건설 중단을 요구하며 공사장 입구를 막는 직접행동 진행 - 석탄육상운송 등 건설 공사 2시간…

[토론회] 태양광, 어디에 지을 수 있을까? – 주차장 태양광 설치 입법을 중심으로

  ■ 일시: 9월 14일 목요일 오후 2시 ■ 장소: 국회의원 회관, 제5간담회실 ■ 세부내용 [발제 1] 주차장 태양광 설치 의무화 제도 필요성 및 해외 사례 – 권우현…

[성명] 혁파(革罷)의 대상은 환경부와 환경부 장관이다

혁파(革罷)의 대상은 환경부와 환경부 장관이다 오늘(8월 24일) 환경부는 ‘제4차 규제혁신전략회의’ 결과를 발표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의 보고 내용은 참담하다. 환경부의…

[보도자료] 신규석탄발전소 건설 중단을 위한 탈석탄법 제정방안 토론회 개최

*첨부1. 발제∙토론 자료(클릭) *첨부2. 사진자료(클릭) [보도자료] 신규석탄발전소 건설 중단을 위한 탈석탄법 제정방안 토론회 개최 - 탈석탄법의 제정의 최종 결과는 21대…

2023 석탄발전소, 원자력발전소 전국 현황 지도

[caption id="attachment_232070" align="alignnone" width="5625"] 석탄화력 발전소 전국현황지도 (제작: 환경운동연합, 편집:…

[논평] 윤석열 정부 1년 평가, 생태⋅에너지⋅자원순환 등 환경보전에 역행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1년 평가, 생태⋅에너지⋅자원순환 등 환경보전에 역행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취임 1년 된 윤석열 대통령의 생태⋅에너지⋅자원순환 정책을 총체적 난국의 환경…

[논평]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은 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포기 선언이다.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은 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포기 선언이다. 오늘 정부의 ‘제1차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이하 탄기본)’ 정부안이 발표되었다. 처음으로…

2023 기후변화대응지수, 한국 60개국 중 최하위

  윤석열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와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를 준수하겠다고 밝혔지만,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성적은 여전히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

[보도자료] 오염물질 유출, 포스코 항의 기자회견

고로가스를 통한 대기오염물질 무단 배출, 강알칼리성 침출수 무단 유출 즉각 중단! 주민피해, 환경오염 상관 않는 오염물질 배출 피해,...

“미세먼지 주범 석탄발전 그만!” 노후 석탄발전소 폐쇄 캠페인 선포

“미세먼지 주범 석탄발전 그만!”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노후 석탄발전소 폐쇄 캠페인에 동참을 호소합니다 2019년 1월 25일, 환경운동연합은 미세먼지 주범인 석탄발전소 폐쇄를…

‘석탄 중독’에 빠진 한국의 기후 정책 “지구온도 4℃ 상승”

‘석탄 중독’에 빠진 한국의 기후 정책 “지구온도 4℃ 상승” 국제분석기관, 한국 2030 온실가스 감축정책, 파리협정 목표 달성에 “매우 불충분” 블룸버그 “유연탄세 인상…

[카드뉴스] 미세먼지 줄인다더니, 석탄발전소 10년 더 운영한다고?

    [카드뉴스] 미세먼지 줄인다더니, 석탄발전소 10년 더 운영한다고?   연중 내내 우리를 괴롭게 하는 미세먼지! 그 미세먼지 주범이 ‘석탄발전소’라는…

석탄화력 30기 수명연장, 국민은 조기사망

석탄발전은 수명 연장, 국민은 조기 사망   미세먼지와 석탄발전소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 동안 고농도 미세먼지가 지속되었습니다. 수증기와 결합된 미세먼지는 우리의…

[논평] 경유차 비중 2018년 42.8% 역대 최고, 정부의 강력한 결단이 필요하다

  [논평] 경유차 비중 2018년 42.8% 역대 최고, 정부의 강력한 결단이 필요하다 오늘 국토교통부는 2018년 국내 자동차 대수가 전년 대비 3% 늘어나 2,300만 대를…

[논평]미세먼지 주범 석탄발전소, 40년 가동 수명연장 웬 말인가

논평 미세먼지 주범 석탄발전소, 40년 가동 수명연장 웬 말인가 대기오염과 온실가스 증가시키는 당진화력 1~4호기 성능개선 사업 중단하라 과다한 석탄발전소 설비투자 대신…

1.5도 특별보고서의 의미와 한국의 과제

IPCC는 지구 온도 상승 1.5도 목표를 위해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을 제로로 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지구온도 상승 억제를 위해...

폭염으로 펄펄 끓는 지구, 한국은 온실가스 펑펑

10대 '최고 기온의 해' 모두 1998년 이후 발생... 빨라지는 지구 온난화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7위국 한국, 산업계 눈치로 온실가스 감축 살살 [caption id="…

[보도자료] 정부가 적극적 탈석탄 정책 편다면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가능하다

신규 석탄발전소 백지화, 노후 석탄발전소 추가 폐쇄 통해 72백만톤 감축 분석   정부가 적극적인 석탄발전 감축 정책을 편다면,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국내 감축을…

[논평]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 기본로드맵 수정(안)에 대한 공동논평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 기본로드맵 수정(안)에 대한 공동논평 지난 6월 28일 정부가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 기본로드맵 수정(안)을 발표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해 대단히…

[논평] 온실가스 감축로드맵 수정안, 문재인 정부에 기후변화 대응 의지 있나

논평 온실가스 감축로드맵 수정안, 문재인 정부에 기후변화 대응 의지 있나 관계부처간 눈치보기로 미미한 진전에 그쳐, 파리협정 이행 역부족 2018년 6월 28일 — 오늘 정부가…

에너지 플래너 – 대기전력 측정과 에너지 진단 컨설팅

에너지 플래너~두 번째 만남❤️이 5월 11일 인천업사이클에코센터에서 있었습니다. 기후변화전문강사 정미란 선생님의 재미난 강의로 온실가스진단 컨설팅을 알아보는 시간~ 직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