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해양 페이지

결과: 1 - 24 of 44

우리 삶과 밀접할 수 밖에 없는 해양보호구역

우리 삶과 밀접할 수 밖에 없는 해양보호구역   환경운동연합은 해양 생물의 다양성과 인류와 바다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해 해양보호구역 확장과 관리의 질 향상을 위한 활동을…

조회수: 0

[토론문] 생물다양성의 주요 목표를 중심으로 본 해양 생물 다양성 복원

생물다양성의 주요 목표를 중심으로 본 해양 생물 다양성 복원   환경운동연합은 8월 24일 국회에서 기후위기·생물다양성 위기 시대 극복(적응)을 위한 자연복원법 제정 토론회를…

조회수: 0

[토론회] 자연복원법 제정 토론회

  환경운동연합은 우원식 국회의원, 이수진 국회의원, 윤건영 국회의원, 풀씨행동연구소,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 국제환경법정책학회, 하천연구소와 함께 기후위기·생물다양성 위기…

조회수: 0

[후원후기] 고정순 회원님께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반대 티셔츠 판매 수익금을 후원해주셨습니다.…

2023년 7월 25일, 환경운동연합의 회원이신 고정순 회원님께서 <생명을 입어요> 티셔츠 판매를 통해 모인 수익금 1,500,000원을 환경운동연합에…

조회수: 0

[기고] 日 방사능 오염수, 어업인·환경단체가 함께 힘 모을 때

日 방사능 오염수, 어업인·환경단체가 함께 힘 모을 때 이용기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팀장 *해당글은 2023년 5월 30일 한국수산신문에 게재됐습니다.   2011년 3월 11일…

조회수: 0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진전 개최 안내

  환경운동연합과 우원식 국회의원은 5월 22일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이해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진전>을 개최합니다. 우리 인류는 약 71%의 바다와 약 29%…

조회수: 0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진전

  환경운동연합과 우원식 국회의원은 5월 22일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이해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진전>을 개최합니다. 우리 인류는 약 71%의 바다와 약 29%…

조회수: 0

[기자회견]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말고 ‘장기 보관’ 윤석열 대통령은 일본 정부에 요구하라!…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말고 ‘장기 보관’ 윤석열 대통령은 일본 정부에 요구하라!   2023년 3월 16일 윤석열 대통령은 한-일 정상회담을 위해 도쿄로 출국하셨습니다.…

조회수: 0

[기고][함께사는길] 바다 점령한 어구와 부표는 어디로 가나?

바다 점령한 어구와 부표는 어디로 가나? 이용기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 해양 활동가 yklee@kfem.or.kr ※ 해당글은 함께사는길 11월 호에 실렸습니다.   우리나라는…

조회수: 0

[보도자료] 국내 최초 제주 산호안내서 출간

녹색연합, 국내 최초 제주 산호 안내서 출간 제주 바다의 산호 및 산호 생태를 다룬 첫 대중서 연구자, 다이버와의 공동작업으로 에세이, 산호 30종의 도감과 지도를 친근하게…

조회수: 0

[행사후기] 오늘의 산호는 오늘부터 지켜요, 내일의 산호는 없을지도 모르니까요.

8월의 어느 여름 밤, 시민들과 (아쉽지만 온라인에서) ‘산호초를 따라, 제주 바다로’ 떠나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산호초를 찾아서’를 함께 보고, 녹색연합…

조회수: 0

제주바다 산호 안내서 < ㅈㅈㅅㅎ> 출간 북펀딩 오픈

제주바다 산호 안내서 출간 북펀딩 녹색연합의 활동가, 연구자, 다이버, 예술가와 함께 만든 제주바다산호안내서 가 드디어 출간됩니다. 제주바다의 산호에 대한 이야기와 사진을 그득…

조회수: 0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에 대한 한국환경회의 입장문

어제(26일)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갯벌 보전을 위해…

조회수: 0

2020 세계 물고기 이동의 날 “새만금을 열어라”

하늘은 하나인데, 바다가 둘이 되어 한쪽은 호수가 되었습니다. 방조제를 열고 해수를 유통하여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드나들고, 바다도 살아나야합니다.오는 10월 24일 “…

조회수: 1

[논평] 강은 흘러야 하고, 바다와 만나야 한다

강은 흘러야 하고, 바다와 만나야 한다. 지금이라도 해수유통을 통한 새만금 살리기 적극 나서야 서울 면적의 2/3 가량 된다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간척사업 새만금 사업이 첫삽을…

조회수: 0

[논평] 전북도는 혹세무민 중단하고, 새만금 해수유통 앞장서라!

오늘 안호영 국회의원이 언론사를 통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새만금호의 수질은 해수유통을 통해서만 개선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정부의 보고서는…

조회수: 0

[카드뉴스]연근해 불법어업 유형

그 많던 명태는 다 어디로 갔을까? 연근해 불법어업 유형 그 많던 명대틑 다 어디로 갔을까? 연근해 불법어업 유형 포획 및 체장 위반. 암컷 대게와 특정 크기 이하의 어종…

조회수: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