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복지동향 2021년 9월호 : 인간의 패러독스와 경계 짓기로 배제되고 있는 이주민의 사회권…
편집인의글 https://www.peoplepower21.org/index.php?mid=Welfare&listStyle=list&docum... rel="…
편집인의글 https://www.peoplepower21.org/index.php?mid=Welfare&listStyle=list&docum... rel="…
편집인의 글 김아래미 복지동향 편집위원,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지난 8월 26일 아프가니스탄에서 ‘특별기여자’ 378명이 한국에 입국하였다.…
복지국가와 이주민의 사회권 김규찬 강릉원주대학교 다문화학과 교수 이 글은 ‘복지국가는 이주민을 위해서도 작동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한…
이주노동자1)의 건강보험 현황과 문제점 곽윤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들어가며 「국민건강보험법」의 제1조에서는 ‘국민의 질병·부상에 대한…
이주노동자1)의 3대 사회보험 현황 및 정책 제언 김기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들어가며 일을 하는 사람은 누구나 다칠 수 있다. 또…
이주민의 사회서비스 이용권 김옥녀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다문화정책전공 교수 본 고는 이주민과 이주민의 사회서비스 전반에 대한 내용으로…
모두에게 평등한 돌봄을 위하여 조희흔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간사 돌봄의 국가 책임 지금은 백세시대. 더 나아가 백이십세 시대라는 말도 나온다…
저소득 한계채무자의 안정적인 사회 복귀를 위해 기준 중위소득 대폭 인상 필요하다 신동화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간사 보건복지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이하,…
실업급여 갑질? 고용보험 실업급여 수급은 사장님이 정하는 게 아니에요! 최혜인 민주노총 법률원 노무사 인터뷰 및 정리 김경희 사회복지위원회 활동가 …
불평등사회에 갇힌 청년을 먼저 구하라1) 김승연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장 요즘 정치권에서 청년 표심 잡기위한 노력이 눈물겹다. 지난 6월 청와대는 대통령…
비급여의 급여화 전략 긍정적이나 새로운 비급여 통제 못해 신의료기술평가 규제완화, 공·사보험연계방안 추진으로 보장성 역행 건강보험 누적 흑자 발생, 치적 아니라 국민…
개인 민감정보 제공은 절대 안돼 국민건강보험법상 명백한 위법한 행위이며 민간보험회사에 자료 제공시 국민건강보험공단 고발할 것 민간보험회사들이 보험 상품 개발 목적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8/5(목) '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 보고대회'를 주재하고, 글로벌 현안으로 떠오른 국가 간 코로나19 백신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의…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오늘(8/5) 보건복지부에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에 대한 의견서를 제출했습니다. 참여연대, 「…
편집인의글 https://www.peoplepower21.org/index.php?mid=Welfare&document_srl=1813685... rel="…
편집인의 글 이주하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복지동향 편집위원 코로나 시대에 막 오른 대선 레이스에서 ‘기본’이라는 단어로 채색된 다양한 정책들이…
보편적 기본서비스는 기본소득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김보영 영남대학교 교수 보건의료, 교육, 돌봄, 교통, 통신, 주거 등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기본자산, 정말로 그게 최선입니까 김공회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기본자산제의 매력 ‘성년이 된 모든 시민에게 일정액의 자산을 지급하자!’ 매력적인…
NIT ‘들’ 은민수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초빙교수 무조건적인 기본소득은 모든 사람에게 그 사람의 상황이나 욕구에 상관없이, 근로의무 등의 자격…
범주형 기본소득, 사회수당 김태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기초보장연구센터장 코로나19가 여전히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0년 1월 시작된 이후…
최저주거기준 문제점과 개선 과제 - 청년주거운동 경험을 중심으로 지수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최저주거기준이 말하는 주거권 최저주거기준은 주거권에 대한…
혁신을 가장한 불공정, 쿠팡의 사회적 책임을 촉구한다 김은정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간사 쿠팡은 ‘로켓배송’과 ‘쿠팡맨’ 등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한국은 복지국가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까 김진석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위원장 인터뷰 및 정리 조희흔 사회복지위원회 활동가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고…
탈원화를 막고 있는 몇 가지 장치들 김도희 서울사회복지공익법센터 변호사 흔히들 거주시설과 병원은 다르다고 인식한다. 탈시설 담론에는 공감하면서도 탈원은 낯설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