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자본주의 페이지

결과: 1 - 10 of 10

[모임후기] 10월 '기후위기·코로나19 시대의 건강한 식생활 바른 먹거리'

10월의 분과모임은 환절기인 만큼 서로 안부를 물으며 시작했습니다. 모두들 건강히 잘 지내셨나요? 파푸아섬 토착민들이 숲을 빼앗기게 된 안타까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조회수: 0

[모임후기] 10월 '기후위기·코로나19 시대의 건강한 식생활 바른 먹거리'

10월의 분과모임은 환절기인 만큼 서로 안부를 물으며 시작했습니다. 모두들 건강히 잘 지내셨나요? 파푸아섬 토착민들이 숲을 빼앗기게 된 안타까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조회수: 0

자본주의 대안으로서 연대경제SE의 밑그림

편집자 주: 막다른 길에 선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다른백년은 시민경제론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에, 미국의 진보시민단체들은 연대경제론을 주장하고 있다. 시민경제와 연대경제의 공통점은…

조회수: 0

중국의 자긍심과 완고함의 결합이 세계의 위험을 될 수 있다

편집자 주: 하버드대학의 국제관계학 권위자인 Walt 교수는 서구사회가 중국 등 제3세계에 민주적 가치를 일방적으로 강요해서는 안되며 개별국가의 역사적 배경에서 오는 상황과…

조회수: 0

팬데믹 자본주의

우리 삶은 죽은 경제학자들의 삶에 얽매여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인간의 시스템을 변화시키려면 시간과 노력,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는 힘을 얻고 지배력을…

조회수: 0

미국의 합법성 위기 – 자본주의와 경찰 강제력

미국합중국은 코로나 팬테믹을 대응하는 과정에서 봉쇄정책과 인종차별의 폭력이 발생하면서 합법성의 위기를 겪고 있다. 조지 플로이드의 살해, 그리고 확인되지 않은 몇 건의 경찰에…

조회수: 0

국내기고문[8] 팬데믹 이후의 경제와 사회 03

찰스 디킨슨은 『두 도시 이야기』에서 산업혁명의 이중성을 날카롭게 지적하였다. “최고의 시절이자 최악의 시절이었다….빛의 계절이면서도 어둠의 계절이었고, 희망의 봄이지만 절망의…

조회수: 0

‘중국바이러스’가 아니라 ‘자본바이러스’이다

편집자 주: 코로나바이러스가 전세계에 창궐하자, 초기에는 방관으로 일관하던 구미 지도자들이 트럼프를 중심으로 중국에 대해 비난의 포문을 열기 시작했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조회수: 0

자본주의에서 해방된 세계를 상상하라

아테네 : 반-자본주의 운동은 끔찍한 한 해를 보냈다. 그러나 자본주의 상황 또한 마찬가지였다. 제레미 코빈(Jeremy Corbon) 영국 노동당 대표가 지난 달 선거에서…

조회수: 0

[3] 산업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

생태계 파괴는 산업문명의 후유증이다 현재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산업문명은 인류 역사상 그리 오래된 문명 형태가 아니다. 16세기 유럽에서 근대적 사고방식이 시작된 것을 기점으로…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