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이드바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는? - World after COVID-19 페이지

결과: 1 - 24 of 30

국내기고문[11] 코로나세계화와 새로운 세상과 가치관

가. 코로나 세계화의 특성=인류와 지구 전체의 위기 1. 위협의 원천 1) “9.11”, 1-2차 세계대전 등 특정 사람들의 의식적인 계획에서 발생 2) 코로나 위기는 인간과…

조회수: 0

해외칼럼[19] 죽어가는 신자유주의를 대체하기 위한 경쟁 속에

편집자 주: 지난 4월초부터 진행해온 기획특집 은 이번주 다음 세 개의 글을 소개하면서 일단의 매듭을 짓는다.1)피켓티 교수와 가디언지의 인터뷰 내용2)글로벌 남반부의 지성을…

조회수: 0

해외칼럼[18] 코로나 바이러스가 더욱 공정한 사회를 불러올 것인가?

편집자 주: 지난 4월초부터 진행해온 기획특집 은 이번주 다음 세 개의 글을 소개하면서 일단의 매듭을 짓는다. 1)피켓티 교수와 가디언지의 인터뷰 내용2)글로벌 남반부의 지성을…

조회수: 0

해외칼럼[17] 새로운 질서를 향해 간다고? 천만에!

편집자 주: 미국대학 교수출신으로 IMF와 세계은행의 컨설턴트로 일하다가, 이들의 패악과 제국주의의 폐해를 직접 체험한 Chossudovsky교수는 거주지를 밴쿠버로 옮겨…

조회수: 0

국내기고문[10] 팬데믹 이후의 경제와 사회 04

1. 황열병, 나폴레옹, 아메리카 권력지도의 재편 1802년 나폴레옹은 중남미에서 가장 부유한 식민지였던 세인트 도미니크를 다시 프랑스 식민지로 편입시키기 위해 카리브해에 프랑스…

조회수: 0

해외칼럼[16] 코로나로 인해 현존의 세계질서가 바뀌지 않는다

편집자 주: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Nye와 같은 세계적인 학자조차도 중국의 대국굴기에 대해서 편견과 잘못된 정보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절감하다. 포린 폴리시에 게재되는 주요…

조회수: 0

국내기고문[9] 신코로나 역병이 세계를 어떻게 바꿀까

신코로나 폐렴역병이 왜 세계를 개변시키는가? 이는 현실문제일 뿐 아니라 더욱더 이론의 문제이기도 하다. 현대 국제관계 이론과 역사 서술 중에서, 바이러스 전염병의 각도에서,…

조회수: 0

해외칼럼[15] COVID-19는 세계화라는 연결구조의 복잡함을 노출시켰다

역사적으로 보면 전쟁으로 인한 사망보다 질병과 전염병으로 더욱 많은 사람들이 죽어 갔다. Clausewitz의 표현에 의하면, 인류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서 해당사회가 치루어야 할…

조회수: 0

해외칼럼[14] 코로나사태는 기업이 이해관계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경기가 추락하는 상황에 처하면서 이해관계에 친화적인 기업들은 무엇을 느낄까? 기업여론조사에 따르면, 기업경영자들이 다음 회기의 주주총회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종업원, 소비자,…

조회수: 0

국내기고문[8] 팬데믹 이후의 경제와 사회 03

찰스 디킨슨은 『두 도시 이야기』에서 산업혁명의 이중성을 날카롭게 지적하였다. “최고의 시절이자 최악의 시절이었다….빛의 계절이면서도 어둠의 계절이었고, 희망의 봄이지만 절망의…

조회수: 0

해외칼럼[12] 코로나바이러스가 국제적 연대를 촉진할 것인가? – 제3세계의 시각

COVID-19는 지구적 주제인데 반하여, 이를 대처하는 과정에 개별국가들은 다양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초기 발생과정에 혼란과 문제가 있었지만, 중국은 광범하게 대응하여…

조회수: 0

세계적 불황이 세계대전을 불러올 것인가?

올해는 여러 측면에서 지난 수십 년을 통해 인류가 처한 가장 최악의 한 해가 될 것 같다. 우리는 팬데믹 진행의 과정에 있으며 이미 삼십만 명이 희생당하고 수백만 인구가 질병에…

조회수: 0

국내기고문[7] 팬데믹 이후의 경제와 사회 02

코로나 팬데믹이 어디서 출현했는가를 둘러싸고 미중 간에 정치적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역병의 발원지를 둘러싼 논쟁은 코로나 팬데믹의 원인을 밝히는데 중요하지 않다.…

조회수: 0

해외칼럼[11] 현재 위기의 도전에 응답하는 창조적 파괴

오스트리아 출신의 경제학자였던 슘펙터는 창조적 파괴가 자본주의에 대한 본질적 요소라고 주장했다. 자본주의라는 기제는 새로운 생산과 시장 그리고 전통적인 방식을 바꾸는 새로운…

조회수: 0

식량 안전에 관해 UN & G20에 보내는 공개서한

편집자 주: 코로나사태로 인한 봉쇄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아프리카를 우선으로 식량 공급체계에도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에 세계의 전직 정치지도자들과 주요 명사(50+)…

조회수: 0

국내기고문[6] 포스트 코로나19 글로벌 리더십의 실종

글로벌 스탠더드, 미국? 봉준호 감독은 미국 매체 ‘벌처’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영화는 지난 20년 동안 큰 영향을 발휘했음에도 왜 단 한 작품도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지 못했다고…

조회수: 0

해외칼럼[9] 바이러스 격리 이후 세계는 개선될 수 있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최근 1939년에 유행했던 노래를 회상시키며 ‘우린 다시 만날 거예요, We will meet again”라고 말했다. 우리를 고무시키는 발언이며 정말 필요한…

조회수: 0

해외칼럼[8] 코로나 바이러스와 문명 : 서구문명에 대한 비판

방역격리가 오래 지속되면서 폐쇄된 공간에서 사랑하는 사람들조차 서로에게 싫증을 내기 시작할 지경이 되었다. 사회적으로 크게 확대하여 보면, 이러한 미친 짓 같은 대규모 봉쇄 속에…

조회수: 0

국내기고문[5] 판데믹 이후의 경제와 사회 01

편집자 주: 한국정치학계의 큰 기둥역할을 하고 계신 임혁백 교수님이 코로나 사태에 대하여 문명사적 시각으로 매우 소중한 글을 남겨 주셨다. 아래의 글은 첫 번째로 현재의 팬데믹…

조회수: 2

해외칼럼[7] 팬데믹 이후의 농업 – 미국, 서유럽 그리고 남아공의 경우

편집자 주: 전체적인 식량의 수입의존이 70%가 넘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 팬데믹 이후 세계농업의 지형변화와 수급상황은 매우 중대한 사안이다. 아래의 칼럼은 남아공 전문가의…

조회수: 0

해외칼럼[6] 잠재적인 식량위기에 대처해야 한다

편집자 주: 식량수요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해온 한국사회는 기후위기와 더불어 팬데믹 사태를 통하여 자급적 농업기반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깨달아야 한다. 지난친 상업주의에…

조회수: 0

과거식 정상의 경제는 돌아오지 않는다 (미국 및 서구경제 편)

코로나 사태가 돌출하자 첫 번째로 확인해야 할 작업은 역사적 유사성을 검색하는 것이었다 – 1914년, 1929년 아니면 1942년? 현재까지 몇 주가 지나면서, 그리고 앞으로도…

조회수: 0

국내기고문[4] 코로나19가 낳은 새로운 선진국 판별기준

세월호와 메르스 참사가 대통령 탄핵과 촛불혁명으로 이어진 한국의 당대 정치사를 배경으로 하여, 한국 정부는 코로나19에 매우 기민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했다. 정부의 관심은 오로지…

조회수: 0

팬데믹에 대처하는 지구적 전략의 4가지 우선순위 (EU편)

유럽의 주요 거리와 광장은 텅 비워가는 중에, 수많은 병원들은 혼잡과 고통 속에 빠져드는 것을 지켜 보노라면 가슴이 무너진다. COVID-19가 유럽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