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폐기물 페이지

결과: 1 - 21 of 21

[자원순환] 정부의 ‘그린 워싱’을 우려한다

자원순환 없는 기후대책은 허구 [caption id="attachment_217901" align="aligncenter" width="640"] ▲ 국내 온실가스 폐기물 분야…

조회수: 0

[자원순환] 산업폐기물 업계 이익 대변하는 윤준병 국회의원 ‘폐촉법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caption id="attachment_216343" align="aligncenter" width="640"] 폐촉법 개정안 철회를 촉구하는 지역주민 및 활동가들이 ‘…

조회수: 0

[자원순환] 내가 버린 것들은 어디로 가나

쓰레기로 버릴까? 자원으로 순환할까?  오늘은 일주일에 한 번 분리배출을 하는 날. 지구를 살리는 사람들의 잡지에서 일하는 만큼 쓰레기에 민감한 편이다. 장바구니에 텀블러는…

조회수: 0

[성명]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종료에 따른 ‘4자 합의 이행’ 실패를 인정하고, 적극적이고 구속력 있는 매립량 감축 대책을 마련하라

수도권 매립지가 2025년 종료를 앞둔 가운데, 환경운동연합은 환경부와 서울시·경기도·인천시의 무책임한 정책과 안일한 행정이 ‘수도권 매립지 정책 4자 협의체 최종 합의’…

조회수: 0

[자원순환] 환경연합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 아무런 대책없이 오히려 폐기물 늘어”

환경운동연합,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종료 대책 마련 공개 토론회 개최   [caption id="attachment_213181" align="aligncenter"…

조회수: 0

[취재요청서] 환경운동연합, 2025년 수도권 매립지 현황 및 대책 마련을 위한 공개 토론회 개최

환경운동연합, 2025년 수도권 매립지 현황 및 대책 마련을 위한 공개 토론회 개최 ○ 일시 및 장소 : 2021년 3월 3일 (수) 14시~, 환경운동연합 회화나무홀 ※ 본…

조회수: 0

[토론회]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따른 현황 및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수도권 매립지 종료를 앞두고 경기·인천·서울 지역조직과 함께 환경운동연합 차원의 대응 방향과 대책을 논의하고자 합니다. 직매립 금지 및 매립량 감축, 나아가 전반적인 폐기물…

조회수: 0

[자원순환] 수도권 매립지 종료에 따른 현황 및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_3/3(수)14시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종료에 따른 현황 및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안내》 2025년, 수도권 매립지가 종료됩니다. 이에 환경운동연합은 토론회를 개최하여…

조회수: 0

[논평] 서울시장 후보는 다가올 폐기물 폭탄에 대한 해법이 있는가

서울시장 후보는 다가올 폐기물 폭탄에 대한 해법이 있는가 자원회수시설 추가 설치 외 대체매립지 조성 불투명, 발생지처리원칙에 입각한 서울시 폐기물 감량・처리 시급하다 ○…

조회수: 0

[2021 예산안 카드뉴스] 아니, 우리 세금이 이런 사업에? -자원순환 분야-

아니! 우리 세금이 이런 사업에!? -자원순환 분야- 2021년도 환경부의 자원순환 예산은 어떨까요? 2021년 자원순환 예산안을 확인한 결과, 환경부는 지정폐기물 공공…

조회수: 0

[논평] 수도권 팽창 가속화 하는 주택용지 공급보다 폐기물 처리시설 확충이 시급하다

태릉골프장 부지, ‘상부 공원화–지하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검토하라 ○ 수도권 주택 공급을 명분으로 그린벨트 해제 관련 논쟁이 거듭된 끝에 대통령이 미래세대를 위한 그린벨트…

조회수: 0

[자원순환]코로나19, 자원순환경제를 요구하다

[caption id="attachment_206847" align="aligncenter" width="372"] ▲일회용비닐장갑과 일회용 마스크 Ⓒ함께사는길 이성수[/…

조회수: 0

[1회용기_Out] 1회용품 없는 마켓

2020년 상반기 자원순환 활동에도 코로나 19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근래 선거시 사용된 비닐장갑 논란 사례처럼 안전의 위협 vs 환경의 보전이라는 첨예한 가치의…

조회수: 0

[1회용기_Out]지속가능한 친환경 행사, 1회용품 안쓰는 행사를 통해

2020년 시작부터 우리를 힘겹게 한 코로나19는 곧 종식될 것입니다. 어느새 꽃 피는 봄이 되어 어김없이 각종 축제와 행사 소식들이 들려오고 행사장에서는 각종 1회용품 사용과…

조회수: 0

금지된 1회용품, 다시 부활하다

 코로나19, 1회용품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예방 가능 [caption id="attachment_204809" align="aligncenter" width="640"]…

조회수: 0

[성명서]매년 118억개 이상의 페트병이 생산된다.페트병 재활용보다 우선해야할 것은 감량이다.

매년 118억개 이상의 페트병이 생산된다. 페트병 재활용보다 우선해야할 것은 감량이다. 오늘(2월 5일) 환경부는 음료‧생수 투명 폐페트병 분리배출을 시행해...

조회수: 0

[1회용기_Out] 1회용컵 보증금제 도입을 요구하는 국회 기자회견 진행

환경단체들이 규제의 사각지대인 매장 밖 테이크아웃되는 1회용컵들에 대한 최소한의 방안으로 ‘1회용컵 보증금제’ 재도입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습니다. 기본적으로 1회용컵을 사용하는…

조회수: 0

2019 플라스틱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공론장_배달은 용기를 싣고

모두가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꺼내기 힘든 배달음식 일회용품 이야기! 당장 해결할 순 없더라도 더 많은 사람, 더 많은 얘기...

조회수: 0

[공동체상영]영화로 환경이야기를 나누다 ‘불편해도 괜찮은 극장’

지구에게 불편함과 미안함을 느끼는 그대! 매일 아침 출근길 1회용 플라스틱 컵에 커피를 테이크아웃하며, 2주마다 출시되는 신상 의류들을 보며 지구에 불편함과 미안함을 느끼신 적…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