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환경운동연합 페이지

2021 제13회 SBS물환경대상 접수중

    물과 생태환경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한 ‘2021 SBS 물환경대상’ 을 진행합니다. ‘2021 SBS 물환경대상’은 지구촌의 물과 생태환경을 지키고자 애쓰는 사람과…

[보도자료, 자료집] 「기후위기 대응 시민사회 비전 포럼」 5회차

「기후위기 대응 시민사회 비전 포럼」 5회차_ 에너지전환, 구체적인 계획과 정의로운 전환의 관점 필요해   https://www.youtube.com/watch?v=…

생태와 인권의 관점에서 바라본 기후위기

환경운동연합이 주최·주관하는 연속 토론회 「기후위기 대응 시민사회 비전 포럼」이 9월 13일(월) 네 번째 회차를 진행했다. ‘기후위기 시대, 생명의 가치는 무엇인가’를 주제로…

[보도자료, 자료집] 「기후위기 대응 시민사회 비전 포럼」 4회차

「기후위기 대응 시민사회 비전 포럼」, 생태와 인권 관점에서 기후위기 바라보다 https://www.youtube.com/watch?v=RkY7P_bK3KU 자료 다운로드…

[Love Flows] 모두의 강, 모두를 위한 회복

  강의 의미   강이 여러분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산책공간? 캠핑장소? 강은 생명을 이루는 공간입니다. 사람만이 아닌, 다양한 생명이 살아가는 공간. 우리는 종종…

[성명서] ‘녹조라떼’ 10년, 국민건강 위협 외면하는 환경부

    ‘녹조라떼’ 만 10년 동안 환경부는 무엇을 했는가?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녹조라떼의 환경 위해성 관련 연구가 쏟아지는 가운데 환경부는 고장 난 낡은 녹음기처럼 ‘…

[보도자료, 자료집] 「기후위기 대응 시민사회 비전 포럼」 1회차

「기후위기 대응 시민사회 비전 포럼」첫 개최 - 배출 책임, 공정하게 분담되어야 - 기후 대응의 원칙과 점검 지점 재확인해   포럼 1회차 자료 링크 : https://bit…

[성명서] 내성천 숨통 조이는 영주댐 담수 중단하라

      2019년 7월 시작한 영주댐 시험담수가 만 2년을 넘기고 있다. 환경부는 2019년 종료되는 영주댐 하자보수기간 중 시설 점검이 필요하다며, 시민사회와 최소한의…

[성명서]수입산 목재펠릿 REC 발급 중단은 바이오매스 혼소 일몰이 아니다

수입산 목재펠릿 REC 발급 중단은 바이오매스 혼소 일몰이 아니다    기후솔루션-환경운동연합,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수입산 대 국내산 프레임에 반대 정부는 대형화력발전소…

[토론회 후기 / 보도자료] 4대강 남세균 국민건강 위협 현황과 해결 방안

    ○ 더불어민주당 이수진(비례) 국회의원과 무소속 양이원영 국회의원,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 낙동강네트워크는 8월 31일 오후 2시 “4대강 남세균 국민건강 위협…

국정원 불법사찰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

아쉬운 국정원장의 대국민 사과, 특별법 제정 통해 전모를 밝혀라 늦었고, 진정성 부족하며, 떠밀려서 한 사과 전모 아직도 밝혀지지 않아 특별법 제정 서둘러야 진상규명위원회 설치…

[토론회 안내] 4대강 남세균 국민건강 위협 현황과 해결 방안

  8월 31일(화) 오후 2시 “4대강 남세균 국민건강 위협 현황과 해결 방안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주최 * 더불어민주당 이수진(비례)…

[성명서] 국민건강 위협하는 녹조문제, 정부는 책임 있는 대응과 해결책을 마련하라

    ○ 8월 24일 환경운동연합과 MBC PD수첩이 공동으로 조사한 4대강 녹조(시아노박테리아. 남세균)문제 분석 결과에 따르면, 4대강사업으로 지어진 보로 인해 발생한…

[보도자료]산림청이 자랑한 해외 탄소 감축 활동, 알고 보니 대규모 산림 파괴

산림청이 자랑한 해외 탄소 감축 활동, 알고 보니 대규모 산림 파괴   - 산림청 캄보디아 REDD+ 시범사업지에서 여의도 면적의 24배에 달하는 산림 파괴 - 산림청, 부실한…

[보도자료] 낙동강·금강이 아프면 우리 국민은 병난다!

  ■ 일시 및 장소 : 2021년 8월 24일(화) 오전 11시 환경운동연합 회화나무홀 ■ 주최 : 더불어민주당 이수진(비례) 의원, 양이원영 의원, 대구환경운동연합,…

[보고서] 착한 기름은 없다; 한국 바이오연료 정책 현황과 개선과제

https://issuu.com/ushas88/docs/20210818_   환경운동연합, 사단법인 기후솔루션, 공익법센터 어필은 본 보고서를 통해 바이오연료에 관한 국내외…

[토론회] 기후위기 대응 시민사회 비전 포럼

    기후위기로 인해 인류를 포함한 모든 생명이 현재를 위협받으며 불확실한 미래에 내던져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시나리오와 ‘2030…

[보도자료] 바이오연료, 건전한 재생에너지 확산 방해하며 기후 위기 악화시켜 

바이오연료, 건전한 재생에너지 확산 방해하며 기후 위기 악화시켜   - 정부 지원으로 경유차를 위한 바이오디젤과 화력발전소를 위한 바이오중유 생산량 증가 - 바이오디젤과…

[토론회 안내] 낙동강 재자연화 방안 마련 국회토론회

    8월 18일(수) 오후 2시 “낙동강 재자연화 방안 마련 국회토론회” 를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주최 * 양이원영 국회의원, 이수진(비례)…

[성명서] 영국·EU도 탄소중립 실패 검토? 탄소중립위원회는 시민 기만하지 말라

영국·EU도 탄소중립 실패 검토? 탄소중립위원회는 시민 기만하지 말라 - 영국·EU의 시나리오는 탄소중립 선언하기 전 검토보고서일 뿐 - 탄소중립 선언 이후엔 모든 경로에…

[기자회견 안내] ‘착한 기름은 없다; 한국 바이오연료 정책 현황과 개선과제’

  ‘착한 기름은 없다; 한국 바이오연료 정책 현황과 개선과제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화석연료를 대체할 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정책 지원과 투자가…

[논평] 불충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논의를 중단하라

불충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논의를 중단하라 - 탄소중립 달성 실패하는 ‘탄소중립 시나리오’ 어불성설 - 대량소비 체제와 다배출 산업 규모 유지하면서는 기후위기 대응 필연적 실패…

[자원순환] 아시아에서 확산되고 있는 “탈 플라스틱 운동”

아시아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문제에 신음하고 있으며, 생산과 수입 등으로 인해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스리랑카를 포함한 대부분의 남아시아 및…

[활동기사] “자유롭게 숨을 쉬는 게 얼마나 큰 복인가요”

가습기살균제와 지은씨의 잃어버린 15년   [caption id="attachment_217872" align="aligncenter" width="640"] ©환경운동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