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개인/그룹
요 약
나라살림연구소는(소장: 정창수) 정부가 발표한 청년 일자리 대책이 자산이 많거나 부양가족이 없는 청년에만 혜택이 몰려 정책적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지적함.
정부가 밝힌 소득세 감면 혜택 액수는 연 45만원임. 그러나 부양가족이 있거나 의료비 등의 지출 수요가 많은 계층은 지금도 소득세 납부 금액이 0원임.(소득세 미납 비율 32%, 평균 소득세 납부액 13만원) 연 13만원을 절약하고자 중소기업에 취업할 것을 기대하기 어려움.
또한, 저축에 매칭해서 지원하는 ‘내일채움공제’도 역진적인 정책임. 중소기업의 적은 소득에도 수 년간 저축을 유지할 수 있는 여력이 존재해야 함. 빚이 있거나 부양가족이 있는 청년은 꾸준히 저축하기 어려움.
특히, 내일채움공제 17년 본예산은 903억원, 추경에서 1311억원으로 크게 확대했음. 반면 17년 집행액은 689억원으로 추경편성의 의미가 없음.
소득세 감면은 면세점을 축소하는 국가정책에도 위배되며 저축매칭 지원은 경제적 선택을 왜곡한다는 점에서 사중손실이 발생함. EITC와 두루누리 확대가 정공법임.
(단위: 만원) | 소비수요 적고 저축여력 있는 청년 A | 소비수요 많고 저축여력 없는 청년 B |
급여총계(연봉) | 2500 | 2500 |
소득 지원(세금감면) 혜택 | 45 | 0 |
자산 지원(내일채움공제)혜택 | 800 | 0 |
주거비 지원 혜택 | 70 | 70 |
교통비 지원 혜택 | 120 | 120 |
전체 혜택 소계 | 1035 | 190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지역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