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기업살인 : 2018년 기업살인 – 원하청 관계에서의 사망을 중심으로
특집 기업살인 2018년 기업살인– 원하청 관계에서의 사망을 중심으로 한지훈 / 노동건강연대 기업살인모니터링 팀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특집 기업살인 2018년 기업살인– 원하청 관계에서의 사망을 중심으로 한지훈 / 노동건강연대 기업살인모니터링 팀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가족과 함께하는 기업처벌 이야기마당> 하루가 멀다하고 노동자 사망 소식이 들립니다. 그 이면에는 기업의 탐욕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위험을 방치해 사람을 죽여도…
젊은 노동자의 목숨이 싼 값에 거래되는 진짜 이유 [인터뷰] 직업환경의학 전문의 이상윤 노동건강연대 공동대표 [프레시안 허환주 기자] 어미는 62일 만에야 겨우…
<성명서> 반복되는 사망사고는 살인이다 KCC 산재 사망사고 사업주를 엄중 처벌하고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하라 2월 11일 KCC 여주 공장에서 대형…
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사회적 타살 진상규명위원회 역할과 과제 일시 : 2019년 1월 15일 화요일 오전 10시장소 :…
"김용균의 죽음은 시스템의 실패로 인한 기업살인" 이상윤 / 노동건강연대 대표, 고 김용균 시민대책위 공동대표 어떤 이유에서건 하지 않아서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1. 부산 사상구 폐수처리업체 황화수소 누출사고 – 대기업연구소 위탁업체 소속 노동자(52세) 사망 부산 사상구 학장동 폐수처리 업체 2층 집수조에서 11월 28일에…
현대중공업에서 2016년 한 해 동안 열세번에 이르는 산재사망이 일어났습니다. (기사 보기) 사망자 중 열명은 현대중공업의 사내하청 노동자였습니다.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1. CJ대한통운 대전물류센터 또 사망 - 33세 청년노동자 사망(8월 6일 아르바이트 노동자 감전사 동일 장소) 10월 29일 오후 10시경…
취 재 요 청 서 반복되는 물류센터 사망사고, 이젠 진짜 책임져라 CJ대한통운 박근태 사장 고발 기자회견…
『그 기업 그 사고』 2015년 9월 2일, 현대중공업 크레인 블록 충돌으로 인한 하청노동자 추락사고 - 주요책임자 벌금형 1. 사고 개요 2015년…
『그 기업 그 사고』는 주요 산재사망사고 판결문을 통해 정부와 법원이 노동자를 살해한 살인기업에게 얼마나 '솜방방이 처벌'을 해왔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 기업 그…
『그 기업 그 사고』 2014년 10월 23일, 현대중공업 플레어팁 추락사고 - 주요책임자 집행유예 1. 선정 이유 2006~2015년(10년간)…
『그 기업 그 사고』 2014년 4월 7일, 현대미포조선 협력업체 노동자 테이프 제거작업 중 추락사고 - 주요책임자 집행유예 1. 선정 이유 현대미포조선은…
1.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공장 질식사고 9월 4일 오후 1시 55분,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공장에서 소화용 이산화탄소가 유출되어 협력업체(창성에이스산업- …
노동건강연대 기업살인법연구팀에서는 현대중공업과 현대중공업 계열사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으로 인한 노동자 사망사고 판결문을 공유하여 재조명하고자 합니다…
1. CJ대한통운 알바노동자 감전사 – 아르바이트 노동자 김군(23) 사망 2018년 8월 6일 대전시 대덕구 문평동의 CJ대한통운 물류센터에서 택배 상·하차…
『그 기업 그 사고』 2016년 “구의역 스크린도어 청년노동자 사망사고” : 기업처벌 결과 – 원청 서울메트로 공소기각, 책임자 전원 벌금형…
1. 폭염 속 잇따른 노동자 사망 - 7월 중 4명 사망 기록적인 폭염으로 역대 최고수준의 사망자와 온열질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5월 20일부터 7월 …
기관지 전체를 pdf 파일로 다운받아 보실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하기 - 노동과건강_2018_봄_94호.pdf ) 편집위원회로부터 김명희 대담 문재인 정부의…
4월 28일은 세계산재사망노동자 추모의 날입니다. 일터에서 돌아가신 수많은 노동자들을 기리며, 노동건강연대에서 만든 카드뉴스를 공유합니다…
2017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식 2017. 4. 26. 10시, 광화문 광장 *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 근거 - 고용노동부가 국회 환경노동위 한정애…
삼성전자 핸드폰 부품 생산 공장 메탄올 중독으로 인한 실명 노동자 추가 확인 - 고용노동부의 사건 대응 허점 드러나, 부실 조사 및 대응 비판 면하기 어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