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생태지평

우리가 지켜온 한국의 갯벌. 이제는 세계자연유산이다.

지난 7월 26일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번에…

[0]

[김기범 기자의 사람과 자연] 고아롱, 루이, 안덕이, 달콩이, 낙원이, 화순이

지난해 7월 뉴스레터를 통해 안타까운 소식을 전했던 것을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울산과 여수의 수족관에서 고래류 한 마리씩이 폐사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당시 저는 ‘두…

[0]

[흰목물떼새가 사는 법] - 내성천과 낙동강 자연성 회복 소고 #4-1

4. 참회도 사과도 없었다 ● 강의 자연성을 회복하는 정책이 힘을 얻으려면 4대강사업 책임자를 고발하는 용지에 서명하는 시민들. 2013년 9월. 사과란 잘못에 대해…

[0]

CH, 05라는 신호

7월 16일, 에어컨 (air conditioner)에서  CH, 05 라는 자막이 돌아가면서 깜박인다. 인터넷을 통해 확인해보았더니,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 연결부문이…

[0]

[흰목물떼새가 사는 법] - 내성천과 낙동강 자연성 회복 소고 #3-3

● 4대강 조사·평가단과 영주댐 협의체 ○ 같은 4대강사업인데 4대강 조사·평가단 목적에서 제외한 영주댐 문제 문재인 정부가 4대강 자연성 회복을 국정과제에 포함하였고,…

[0]

[조성주의 정경유착] #3_‘정의로운 전환’과 ‘사회적 대화’

'정경유착은 정치와 환경의 만남, '정(치와 환)경유착'을 꿈꾸는 조성주 회원님의 연재칼럼입니다. Markus Spiske 의 사진, 출처: Pexels 기후변화에…

[0]

[김기범 기자의 사람과 자연] 어떤 달걀을 드시고 계십니까?

 지난 6월 4일 방문했던 경기 양평의 한 동물복지인증 산란계 농장은 최근 수 년 간 방문했던 동물 관련 취재현장 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인 현장이었습니다. 꼬불꼬불한 농로를 지나…

[0]

[흰목물떼새가 사는 법] - 내성천과 낙동강 자연성 회복 소고 #3-2

○ 댐을 막고 장마가 지나자 회룡포가 자갈밭으로 변했다. - ‘10년 한겨레 보도 “‘가을동화’찍은 회룡포, 동화 같은 풍경 위태”  현실로. 21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첫…

[0]

[흰목물떼새가 사는 법] - 내성천과 낙동강 자연성 회복 소고 #3-1

3. 영주댐을 살리면, 내성천은 죽는다. - 불가능한 공존 ● 영주시가 결사반대했던 영주댐과 정상가동하라는 영주댐의 차이 ○ 영주댐과 국내 유일한 모래강 중 어느 것이…

[0]

[김기범 기자의 사람과 자연] 2021년, 강정마을은 지금 - 무너지는 주상절리대, 쫓겨나는 천연기념물 원앙

 “천연기념물 원앙의 서식지이자 용암으로 인해 형성된 독특한 주상절리대가 지반을 이뤄 한반도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비경이 잠자고 있는 곳.”  이런 설명을 들었을 때…

[0]

[조성주의 정경유착] #2_‘정의로운 전환’에서 우리가 아직 말하지 않는 것들

'정경유착은 정치와 환경의 만남, '정(치와 환)경유착'을 꿈꾸는 조성주 회원님의 연재칼럼입니다. ‘그린뉴딜(Green New Deal)’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정부도…

[0]

[새와 사람 사이] #11_교동제비 Mr. 박(박씨)

교동도 대룡시장 강화도에는 크고 작은 유인도와 무인도가 부속도서로 딸려 있다. 그중 서북단에 있는 교동도라는 섬이 가장 큰데,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배를 타야만 들어갈 수…

[0]

유스토리(Youth Story) - 4부. 가볍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이야기

 ‘환경오염’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키워드 중 하나인 플라스틱, 이 친구에 대한 두려움이 생긴 건 지난 2020년 5월이었다. 누구든 두 팔 벌려 환영하는 황금연휴 기간에…

[0]

[흰목물떼새가 사는 법] - 내성천과 낙동강 자연성 회복 소고 #2-2

● 영주댐 건설 그리고 흰수마자 수난사 -2 ○ 치어방류는 계속되어야 한다. 살아남을 가능성? 一將功成萬骨枯! 한국수자원공사는 올해 5월 29일, 내성천 흰수마자 치어방류…

[0]

[새와 사람 사이] #10_함께 먹고 사는 법

‘지구가열(glob al heating)’로 기온이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중위도 이상 지역의 겨울은 여전히 춥다. 모든 것을 얼려 버리고 눈으로 덮어 버리는 혹독한…

[0]

2021년 신축년, 마음이 가까운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2021년 신축년,몸은 멀지만 마음만은 언제나 가까운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생태지평의 모든 연구원은 생태사회를 향해 올해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현장과 이론이…

[0]

[김기범 기자의 사람과 자연] 미세플라스틱의 소리 없는 위협

  소화기에 두꺼운 비닐 재질의 대북 삐라(전단)가 들어있던 바다거북, 수염과 내장 등 곳곳에서 폐그물 조각 등 크고 작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견된 참고래 새끼.  …

[0]

[흰목물떼새가 사는 법] - 내성천과 낙동강 자연성 회복 소고 #2-1

2. 댐을 짓고,     흰수마자 치어를 계속 댐 하류에 방류하고 ● 54일간의 장마가 보여준 내성천과 금강의 극명한 차이 ○ 금강에서는 모래톱이 살아나고, 내성천에서는…

[0]

유스토리(Youth Story) - 3부. 청년,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환경보호를 찾다

청년,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환경보호를 찾다   대학 다닐 시절, 기말고사 대체 레포트 공지 도중 교수님께서 하신 말씀이 있다. - 여러분의 과제물을 인쇄할 종이에게…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