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건강 웹진 234호] 천만 서울시민의 발, 서울시 지하철 안전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G:\234\234_webzin
정신질환 산재 인정 비율 4년만에 2배 껑충 (세계일보) 28일 고용노동부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 ‘정신질환에 의한 산재신청과 승인비율’을 보면 2011년…
감정노동자 해법은 보호 아닌 권리보장 (매일노동뉴스) 결국 감정노동 발생요인에 초점을 맞춰야 실마리가 풀린다. 보호의 관점에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특히 제669조…
"간호사 감정노동 심각, 10명중 1명 성희롱·성폭력 경험" (오마이뉴스)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간호사 등 병원 노동자들의 열악한 상황이 주목받은 가운데, 이들이 대규모 참여한…
감정노동자 인권, 법적 보호 강화해야 (연합뉴스)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조사를 보면 감정노동자의 30.6%가 자살 충동을 경험했고 4%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다고 하니 이 정도면…
No.231 l 대학생 기자단 특집 2015.08.05 BLISS 조 대구 영남도금 사고, 그 이후 2014년 12월 10일 낮 12시 23분께…
[대학생 기자단] 아르바이트생의 감정노동 실태 따뜻한 말 한마디면 됩니다. 글 : 미쁘조 (일과건강 대학생 기자단) 2014년 대학생…
소비자는 폭언ㆍ관리자는 사과 강요… 감정 노동자 '이중 상처'(한국일보) 소비자를 응대하는 것이 주요 업무인 고객센터 등에서 일하는 감정노동자들은 매일 블랙 컨슈머와 전쟁을…
지난 7월 14일 (화) 오전 11시 ~ 정오 12시 강남역 인근에서 '감정노동자보호입법을위한네트워크 2015 캠페인'이 열렸다. 감정노동을 알리는 홍보물 배포하는 한편으로,…
지난 5월 27일 (수) 오전 11시 ~ 정오 12시 서울역 인근에서 '감정노동자보호입법을위한네트워크 2015 상반기 캠페인'이 진행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