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북한인권 페이지

사라진 사람들 – 북한 내 강제실종

바람에 나부끼는 국제형사재판소 깃발 ‘강제실종’이란? 강제실종은 세계인권선언에 명시된 인간이 가지는 기본적 자유와 권리를 침해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 훼손을 야기한다.…

북한의 식량난, 그리고 식량권

2020년 8월 태풍으로 가옥과 농경지가 침수된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수해현장 북한은 심각한 식량 위기에 마주하고 있다? 최근 국제사회는 북한의 식량 부족에 큰 우려를 표해…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조사관 아놀드 팡을 떠나보내며

7년간 국제앰네스티의 국제사무국 소속 동아시아 조사관Researcher으로 일했던 아놀드 팡Arnold Fang 조사관이 5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앰네스티를 떠났습니다.…

인권의 사각지대, 북한의 구금시설

인권유린의 온상 북한의 인권 상황은 그 어느 나라보다 열악하다. 그 중에서도, 북한의 구금시설은 각종 인권유린이 일상적으로 자행되는 곳으로 악명이 높다. 북한 당국이 자국민을…

북한의 감염병 대응에서의 격리와 인권침해

북한의 코로나19 격리기간 연장 보도 코로나19와 그 영향 코로나19 방역 조치의 일환으로 취해진 북한의 국경 봉쇄가 어느덧 17개월을 넘어섰다. 북한은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대북전단금지법을 둘러싼 논란 – 국제앰네스티의 접근법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 비난 후 폭파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옆 훼손된 개성공단지원센터 대북전단금지법 2020년 12월 14일 한국의 국회 본회의에서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약칭…

잔혹성과 불공정성 – 북한의 사형제도가 폐지되어야 하는 이유

북한의 최고 사법 기관인 중앙재판소 전경 2020년 북한의 사형 관련 정보 2021년 4월 21일 국제앰네스티는 전 세계 사형 현황을 담은 국제앰네스티 연례사형보고서- 2020…

북한의 일상생활 속 감시 – 비밀 정보원

감시가 일상인 삶 망원경으로 김일성광장을 내려다보는 김정은 위원장 조지 오웰의 저서 『1984』는 감시가 일상이 된 독재 국가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가상의 국가 ‘오세아니아’…

제46차 유엔 인권이사회 –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상호 대화

유엔 인권이사회 회기에 열리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상호 대화 현장 국제앰네스티는 올해 2월 22일부터 3월 23일까지 약 한 달간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제46회 유엔…

해외의 북한 노동자 – 본국으로부터 착취당하는 자, 파견국으로부터 외면받는 자

해외로 파견된 북한 노동자의 인권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부터이다. 탈북인의 증언을 통해 해외의 북한 노동자가 처한 열악한 노동 환경이 알려지면서…

북한의 열악한 노동권 실태 – 국내편

세계인권선언 제23조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 중 하나로 노동권을 명시하고 있다. 노동은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을 만큼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악화일로의 2020년 북한인권

코로나 19와 북한인권 2020년은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인권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홍콩 인권 탄압, 미국 대통령 선거, 기후위기의 심화 등과 같이 역사의 한 획을 그을…

[북한 보건의료와 건강권 ⑤] 모두가 잇대어 있는 보건의료 문제

이번 글에서는 저번 글에 이어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남북 모두가 잇대어 있는 북한의 보건의료 문제를 들여다보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북한 보건의료와 건강권 ④] 최근 북한 보건의료가 직면한 어려움

앞서 상반기 연재되었던 1~3화에서는 탈북인 보건의료 전문가 2인과의 대화를 실었습니다. 이어지는 4, 5화에서는 새로운 북한 보건의료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최근 북한…

북한의 코로나19와 정보 접근권

신속한 코로나19 대응, 그러나? 북한은 2020년 1월 말 세계에서 가장 빨리 국경을 봉쇄함으로써 신속하게 코로나19 대응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경 봉쇄 이후…

북한군의 민간인 사살에 대한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의 입장

9월 24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22일 밤 북한군에 의해 한국 국적의 민간인이 사살되었다고 밝혔다. 9월 25일, 북한 당국은 청와대 앞으로 보낸 통지문을 통해 불법 침입자 단속…

[북한 보건의료와 건강권 ③] 지향점과 개선 방향

이번 글에서는 저번 글에 이어 2명의 탈북 보건의료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북한 사람들이 누리는 건강권과 보건의료 개선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인권적…

[북한 보건의료와 건강권 ②] 보건의료 제도 속 변화의 모습

이번 글에서는 저번 글에 이어 2명의 탈북 보건의료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북한 보건의료 제도 속 변화의 모습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화려한 겉모습 속에 어두운 면이…

북한인권, 탈북인과 함께 이야기하다

북한인권,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나요? 일상속에서 북한, 특히 북한인권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는 드물다. 탈북인을 만나게 된다면 왠지 모를 어색함이 느껴질 수도 있다.…

황원 선생님께 보내는 편지

‘1969년 KAL기 납북사건’… 어느덧 사건이 발생한 지 50년이 되었다. 강릉에서 출발하여 서울로 향하던 대한항공 여객기는 목적지를 밟지 못한 채 북쪽으로 기수를 돌렸고 북한…

북한 남성 2명 강제송환에 대한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의 입장

“북한 남성 강제북송, 국제인권규범 위반” 북한 남성 2명 강제송환에 대한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의 입장 11월 7일, 한국 정부는 북한 선원 2명이 한국 해군과 맞닥뜨리기 전…

KAL기 납북피해자 가족의 외침, 국제앰네스티가 손을 내밀다

1969년 12월 11일, 승객 47명과 승무원 4명 등 총 51명을 태운 강릉발 서울행 대한항공 국내선 여객기(이하 ‘KAL기’)는 이륙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강원도 평창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