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기후위기 시대, 걷고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자연기반 그린인프라 제안
환경정의연구소는 ‘기후위기 시대의 도시전환과 환경정의’룰 주제로 2021년 첫번째 환경정의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첫번째 발제를 맡은 박창석 KEI 선임연구위원은 본격적인…
환경정의연구소는 ‘기후위기 시대의 도시전환과 환경정의’룰 주제로 2021년 첫번째 환경정의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첫번째 발제를 맡은 박창석 KEI 선임연구위원은 본격적인…
본 연구는 국회의원 서형수 의원의 2017년 국정감사 정책 연구 수행 결과 보고서입니다. 화학물질 배출량 및 급 발 1 암물질 배출량과 대비한 경제 사회적 약자 특성 및 · 건강…
지역사회 환경정의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지수와 지표를 만들고 지역사회의 환경위험을 지도화하여 환경위험이 집중된 취약지역을 찾기위한 연구의 보고서 입니다. 환경정의 툴킷(…
2020년 서울시NPO지원센터의 활동가 연구지원사업에 참여한 고정근 환경정의연구소 부소장의 “환경정의 운동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결과 보고서입니다.…
정보공개청구제도 정보공개율 95%, 그러나 정보공개청구로 받은 정보에 환경단체 활동가 56.3%가 불만족환경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정보공개율’ 뿐 아니라…
환경정의포럼 창립 20주년, 기대와 고민과 성찰의 20년! 환경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열정 그대로 다음 20년을 약속합니다. 지난 1999년 7월 15일…
‘환경민주주의’는 환경문제에 있어서 시민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되도록 보장해야 한다는 개념으로 환경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 환경의사결정에 의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우리나라 환경민주주의 평가 발표회 ‘우리시대 환경민주주의 진단과 과제’ 개최 환경문제의 시민참여 권리를 보장하는 환경민주주의는 투명한 환경정보의 제공과 이용에 관한 권리…
자연과 동물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모의법정 해외에서는 동물의 권리와 이를 보호할 수 있는 환경단체의 원고자격이 인정됩니다. 유럽에서는 ‘오르후스 협약’ 가입을…
그린인프라위원회 두 번째 포럼 기후위기 시대, 환경정의와 그린인프라 위기와 전환의 시대, 그린인프라와 그린뉴딜의 조우 지난 9월 전 세계 시민들이…
동북아 환경정의 실현을 위한 한중일 공동의 노력 국제심포지엄 “한중일 환경정의 실현을 위한 방안” 개최 지난 9월 27일 환경정의는 국회의원 우원식,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