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를 살아가는 당사자이자, 더 최악의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갈 미래세대의 자격으로 묻습니다.
“기후위기를 막을 수 있었던 기회는 정말 없었던 걸까요? 지금의 기후위기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었던 기회를 기성세대가 놓쳐버렸던 아닐까요? 그 결과 기후위기 피해는 우리 현실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요?”
이 질문에 답을 얻고자 스물여덟 명의 소명여고 학생들이 모였습니다. 청소년 기후정의 기록단이라는 이름으로 기후위기의 책임과 피해,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된 결정적 하루를 찾아 ‘그날’로 명명하고, 미래세대의 이름으로 평가해보았습니다.
기후정의 기록단 각자가 생각하는 기후위기와 관련된 ‘결정적 하루’는 언제이고, 그날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일본정부, 후쿠시마 오염수 바다 방류 계획 (‘20.2.10)
–
안녕하세요? 저는 청소년 기후정의 기록단 보라돌이 임수현입니다.
작년 오늘인 2020년 2월 10일, 일본 경제산업성 오염수처리대책위원회 전문가 소위원회는 일본 정부에 방사능 오염수 처리에 대한 최종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약 120만t에 달하는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권고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이슈에서 보듯이 핵발전은 결코 안전하지 않습니다. 지속가능성이라는 기준에서 볼 때 기후위기의 대안이 되어서도 안 됩니다.
저는 이 이야기를 들려드리고 싶어요.
–
[탈핵시민행동,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9주기 기자회견, ‘20.3.11]
2020년 2월 10일 일본 경제산업성 오염수처리대책위원회 전문가 소위원회는 일본 정부에 방사능 오염수 처리에 대한 최종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약 120만t에 달하는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권고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일본은 오염수를 펌프로 끌어올려 ‘일부’ 방사성 물질을 걸러낸 뒤 원전 부지 내 물탱크에 보관 중인 상황인데, 물탱크가 2022년 8월에 포화상태(약 137만 톤)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일본 정부는 그 후속처리 방안을 고민해왔습니다.
2020년 3월 26일 일본 국무조정실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대응 관계부처 TF’ 회의를 개최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분 안 검토와 관련한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 관계부처 간 대응 체계를 점검했고, 이후 일본 정부는 4월 6일과 13일, 5월 11일, 6월 30일, 7월 17일 총 다섯 차례 공청회를 열면서 후쿠시마 오염수 바다 방류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당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현 일본 총리)은 2020년 9월 2일 집권 자민당 총재 경선 출마를 선언하는 기자회견에서 ‘다음 정권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늦어도 내년 중엔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실행에 옮길 것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핵발전소에서 우라늄을 채광, 정련 과정을 거쳐 핵발전소를 운영, 폐기하고 사용후 핵연료 처분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1KWh당 66g이 배출되며, 이는 재생에너지 발전보다 훨씬 높은 양입니다. 더군다나 ‘안전’이라는 측면에서 핵발전은 결코 기후위기의 해법이 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2011년 후쿠시마 사고를 통해 원전이 되돌릴 수 없는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10만 년 이상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할 고준위 핵폐기물은 물론 끊임없이 배출되는 오염수에 대한 해결책도 없습니다. 온실가스나 핵 모두 현재와 미래의 안전과 일상을 심각하게 위협합니다.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위기를 선택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더 많은 분노와, 더 많은 반성과, 더 많은 감사를 느꼈던 시간이었습니다. 기후위기는 더이상 남의 일이 아닙니다. 이제는 모두가 지구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임수현 / 청소년 기후정의 기록단, 소명여고
환경정의는 청소년 기후행동 주체를 발굴하고, 지원합니다. 작년에는 부천 소명여자고등학교 1~2학년 28명의 학생들과 ‘미래세대 기후위기 기록, 그날’ 프로젝트를 1년간 함께 하였습니다. 올 3월 2기 ‘청소년 기후정의 기록단’을 모집합니다. 미래세대 이름으로 기후정의 운동을 함께 할 청소년, 교사, 활동가를 기다립니다.
*조건: 수도권, 1년 장기 프로젝트 가능한 10~30명 소규모 모임(마을, 지역, 학교 단위), 17세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