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과 밀접할 수 밖에 없는 해양보호구역
우리 삶과 밀접할 수 밖에 없는 해양보호구역 환경운동연합은 해양 생물의 다양성과 인류와 바다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해 해양보호구역 확장과 관리의 질 향상을 위한 활동을…
우리 삶과 밀접할 수 밖에 없는 해양보호구역 환경운동연합은 해양 생물의 다양성과 인류와 바다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해 해양보호구역 확장과 관리의 질 향상을 위한 활동을…
육·해상 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세미나 [caption id="attachment_236022" align="aligncenter" width="640"] ⓒ환경운동연합[/…
[caption id="attachment_235861" align="aligncenter" width="640"] ⓒ환경운동연합[/caption] 지난 5월, 여서도 주민들의…
[caption id="attachment_235639" align="aligncenter" width="640"] 2030년까지 30%의 보호구역을 지정해 보전해야할 해양…
플라스틱 협약, 정부 간 협상 INC-3를 앞두고 열린 아시아태평양 NGO 회의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022년 3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개최한 유엔환경총회에서 해양폐기물에…
해양수산부의 광포만 습지보호지역 지정 고시 환영한다 정부는 어제저녁 보도를 통해 경상남도 사천 광포만(3.46㎢)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한다고 고시했다. 사천 광포만은 끊임없는…
바다 죽이는 유해수산보조금 철폐 중국도 결의했는데 한국은? *해당 글은 함께사는길에 기고한 문장입니다. 2023년6월 27일 세계경제포럼은 중국이 오랜 시간 동안…
[논평] 매년 반복되는 고래 불법 포획 근본적인 원인 해결해야 [caption id="attachment_234104" align="aligncenter" width="640…
생물다양성의 주요 목표를 중심으로 본 해양 생물 다양성 복원 환경운동연합은 8월 24일 국회에서 기후위기·생물다양성 위기 시대 극복(적응)을 위한 자연복원법 제정 토론회를…
나, 캡틴 북극고래! 잘 지냈소? P.S. 방사능 오염수는 먹고 싶지 않아~ [caption id="attachment_233758" align="aligncenter"…
중국과 일본도 동의한 WTO 유해수산보조금 철폐, 한국 정부의 빠른 대응을 촉구한다 [caption id="attachment_233746" align="aligncenter…
섣부른 어업 규제 완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파괴 우려된다 - 여당과 정부 어업규제 완화와 TAC 제도 전면 도입 발표해 - 해양생태계와 어족자원에 영향을 점검하지 않은 조급한…
[caption id="attachment_232967" align="aligncenter" width="640"] 파파하노모쿠아키아ⓒMark Sullivan, NOAA…
지속가능한 어업, 후쿠시마, 식품 안전의 키워드를 품은 수산물이력제 [caption id="attachment_233010" align="aligncenter" width="…
자르고 죽이는 샥스핀 판매 호텔 늘어나 - 잔혹한 요리로 불리는 샥스핀 판매하는 호텔 작년보다 늘어나 - 샥스핀 산업은 해양생물종의 멸종과 해양생태계 파괴를 일으켜 […
드디어 봤다..! 점박이물범 점박이물범에게는 따라다니는 수식어가 많다. 천연기념물 제 331호, 멸종위기 2급, 해양보호생물, 하트 콧구멍과 커다란 눈망울 등. 그리고…
여서도의 바다는 왜 이상해졌을까? 완도에서 청산도까지 1시간, 또다시 청산도에서 꼬박 1시간 배를 타고 들어가면 ‘여서도’라는 섬이 나온다. 들어가기가 워낙 어렵지만 사계절…
쓰레기로 가득 찬 해변 지난 일요일, 환경운동연합은 시민들과 함께 태안의 한 해변을 찾았습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해변은 사람의 손길은 닿지 않았지만, 사람이 버린…
日 방사능 오염수, 어업인·환경단체가 함께 힘 모을 때 이용기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팀장 *해당글은 2023년 5월 30일 한국수산신문에 게재됐습니다. 2011년 3월 11일…
환경운동연합에서 고래를 위한 해양 플로깅을 진행합니다! 우리나라 해역에 35종의 해양포유동물이 살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웃는 돌고래로 잘 알려진 상괭이부터, 제주…
생물다양성의 날, 해양 생물을 지키기 위한 방법은? [caption id="attachment_231619" align="aligncenter" width="800"]…
올해 울산에서는 27번째 고래축제가 열렸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도 역시 고래축제에 고래는 없었습니다. 고래를 캐릭터로 만들고 홍보물로 사용할 뿐, 축제장 어디에서도 고래의 생태와…
환경운동연합과 우원식 국회의원은 5월 22일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이해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진전>을 개최합니다. 우리 인류는 약 71%의 바다와 약 29%…
환경운동연합과 우원식 국회의원은 5월 22일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이해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진전>을 개최합니다. 우리 인류는 약 71%의 바다와 약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