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번방’ 1년, 남은 질문들 ④ “누구에게나 안전한 온라인 공간을 위해 디지털 시민성이 시급하다”…
“누구에게나 안전한 온라인 공간을 위해 디지털 시민성이 시급하다” 추적단불꽃과 국제앰네스티는 ‘n번방’으로 불리는 텔레그램 성착취 사건이 공론화된 2020년 3월을 되돌아보며…
“누구에게나 안전한 온라인 공간을 위해 디지털 시민성이 시급하다” 추적단불꽃과 국제앰네스티는 ‘n번방’으로 불리는 텔레그램 성착취 사건이 공론화된 2020년 3월을 되돌아보며…
국제앰네스티의 오랜 후원회원, 배우 김선영 후원 캠페인 영상 참여 “두려워해야 하는 사람은 생존자가 아닌, 폭력을 행사한 자와 폭력을 방치한 이들” 사진자료: BRAVE 캠페인에…
피해자의 일상회복을 방해하는 자, 누구인가 ‘n번방’ 사건 이후 입법·사법·행정적으로 여러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법촬영과 지인능욕, 온라인 성착취, 비동의 유포 등 디지털…
초고속 ‘n차’ 유포 불붙이는 ‘클라우드’ 지난해 말, 150명 이상의 피해자를 양산한 끔찍한 불법 촬영 유포 범죄가 발생했다. 한 명의 가해자가 수백 명의 여성들과 성관계를…
사진자료 1. 국제앰네스티 x 추적단불꽃, 추적기 연재 캠페인 전개 작년 대비 다양한 플랫폼을 넘나들며 유통되는 디지털 성착취물 디지털 성폭력은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국경없는…
더욱 은밀하고 악랄하게 활개치는 가해자의 플랫폼 세상 ‘n번방’ 1년, 굵직한 사회적 사건과 변화가 있을 때마다 온라인 내 가해자들은 술렁였다. 그러나 이내 고도화된 수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