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식량 페이지

북한의 식량난, 그리고 식량권

2020년 8월 태풍으로 가옥과 농경지가 침수된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수해현장 북한은 심각한 식량 위기에 마주하고 있다? 최근 국제사회는 북한의 식량 부족에 큰 우려를 표해…

북한의 식량문제를 감안하여 유엔 제재는 보류되어야 한다

2016년과 2017년에 걸친 북한의 핵미사일 시험에 대하여 유엔안보리UNSC는 기존의 제재를 더욱 강화하였다. 종래에는 핵과 미사일에 관련된 상품거래와 개인 그리고 조직에만…

해외칼럼[9] 바이러스 격리 이후 세계는 개선될 수 있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최근 1939년에 유행했던 노래를 회상시키며 ‘우린 다시 만날 거예요, We will meet again”라고 말했다. 우리를 고무시키는 발언이며 정말 필요한…

해외칼럼[7] 팬데믹 이후의 농업 – 미국, 서유럽 그리고 남아공의 경우

편집자 주: 전체적인 식량의 수입의존이 70%가 넘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 팬데믹 이후 세계농업의 지형변화와 수급상황은 매우 중대한 사안이다. 아래의 칼럼은 남아공 전문가의…

해외칼럼[6] 잠재적인 식량위기에 대처해야 한다

편집자 주: 식량수요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해온 한국사회는 기후위기와 더불어 팬데믹 사태를 통하여 자급적 농업기반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깨달아야 한다. 지난친 상업주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