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블로그 페이지

연대 액션: 아프간 사람들을 위해 연대의 메세지를 올려주세요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을 위해 연대해 주세요 8월 31일 아프가니스탄의 미군 철수를 앞두고 아프간 사람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국제앰네스티는 전 세계 회원과 지지자와 함께…

특별하고 감사한 인연, 김선영 배우와 함께한 BRAVE 촬영

김선영 배우와 함께한 BRAVE 촬영 현장 두근두근, 촬영의 시작 2021년 5월 26일 강남의 한 스튜디오가 조명과 카메라 세팅으로 분주합니다. 바로 오늘이, 국제앰네스티의…

“미얀마 위해 뭐라도 하고 싶다”는 시민들, 앰네스티의 답변

이 글은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사무처장이 오마이뉴스에 게시한 기고글입니다. 평화적으로 시위를 이어가는 미얀마 시민들 700명이 넘는, 평화시위에 참여한 사람들과 무고한…

인터뷰: 여성 청소년, ‘불법이기 쉬운 삶’을 거부하다

여성 청소년, ‘불법이기 쉬운 삶’을 거부하다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정지원 활동가 인터뷰   여성 청소년들은 성적 권리 Sexual Rights의 ‘주체’로…

[웰컴투유스 ①] 앰네스티 유스 모임을 소개합니다!

유-하!유스 하이라는 뜻앰네스티 유스 모임입니다! 코로나가 종식된 세상을 그린 그림을 들고 있는 앰네스티 유스 멤버들   유스 모임은 만 14~24세 유스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북한 보건의료와 건강권 ③] 지향점과 개선 방향

이번 글에서는 저번 글에 이어 2명의 탈북 보건의료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북한 사람들이 누리는 건강권과 보건의료 개선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인권적…

[북한 보건의료와 건강권 ②] 보건의료 제도 속 변화의 모습

이번 글에서는 저번 글에 이어 2명의 탈북 보건의료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북한 보건의료 제도 속 변화의 모습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화려한 겉모습 속에 어두운 면이…

[북한 보건의료와 건강권 ①] 보건의료인의 삶을 통해 본 보건의료 실태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맹위를 떨치고 있는 지금, 북한은 ‘확진자 0명’이라는 발표를 통해 국제사회의 놀라움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북한의 발표를 접한 사람들은 그 신빙성에…

2020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특별상 ‘추적단불꽃’ 인터뷰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는 2020년 앰네스티 언론상 故김복동 평화인권운동가와 함께 추적단불꽃을 특별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 지난 4월 말,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는 서울 시내 한…

더 이상의 죽음은 없기를

5월 25일, 한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다. 영상에는 미니애폴리스의 경찰관이 한 흑인 남성의 목을 무릎으로 짓누르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그는 수갑을 차고 있었고 무장을…

2020년 앰네스티 한국지부 유스 대표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유스 대표, 김지나입니다. 저는 2018년도부터 학교 동아리인 ‘숙명앰네스티’를 통해 국제앰네스티 회원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모두를 위한…

우리는 코로나19를 통해 더 나아갈 수 있다

코로나19COVID-19는 현 시대 속 우리의 삶을 크게 바꿔 놓았다. 이번 사태로 인한 고통은 바이러스가 사라진 이후에도 오래도록 계속될 것이다. 당장의 위기를 넘긴다 해도,…

‘나는 퀴어의 미래를 꿈꾼다’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 기념 활동가 2인의 대화

트랜스젠더 활동가 메흘랍 자밀(좌)과 나이로비 카스티요(우)의 모습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을 기념해 국제앰네스티는 도미니카공화국과 파키스탄 출신의 활동가 2인에게 그간 마주했던…

[전시캠페인 ②] 게임으로 인권을 말하다, 소목장세미 유혜미 작가

‘소목장세미’라는 스튜디오이자 브랜드를 이끄는 유혜미 작가는 가구 장인의 제작 방식을 고수하는 전문 목공을 기반으로 가구 제작에서부터 인테리어, 전시 디자인 등으로 활동 반경을…

‘힙한’ 캠페인이 남긴 진짜 ‘핫한’ 것 <Hit the Ball, Hit the Action…

여기 뭐하는 곳이에요?브랜드 쇼룸인가요?대표적인 도시 재생 사례로 손꼽히는 성수동. 과거 공장 지대이자 전통적인 수제화 제조업의 메카로 통하던 이곳 분주한 길목에 역동적인 ‘공’…

북한인권, 탈북인과 함께 이야기하다

북한인권,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나요? 일상속에서 북한, 특히 북한인권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는 드물다. 탈북인을 만나게 된다면 왠지 모를 어색함이 느껴질 수도 있다.…

홍콩 경찰의 성추행 혐의를 고발한 청년 시위자

대학생인 소니아 응(Sonia Ng)은 자신의 실명을 걸고 홍콩 경찰의 성추행 혐의를 고발한 유일한 시위자다. 다른 시위자들도 익명을 조건으로, 홍콩 경찰이 체포 또는 구금 도중…

여성 활동가 아잠이 야사만에게 쓴 편지

  이란의 히잡 강제 착용법을 거역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수감되어 있는 활동가 야사만 아리아니에게, 이란 활동가 아잠 장그라비가 편지를 보냈다. 안녕하세요, 야사만.어떻게…

편지 쓰는 밤, 레터나잇에 함께한 사람들

스마트폰 클릭 한 번이면 모든 게 가능한 세상이지만 우리는 여전히 ‘편지’라는 전통 매체를 고집하고 있다. 더 놀라운 사실은 매년 이 시간을 잊지 않고 찾아와, 편지만 쓰고도…

낙태 비범죄화, 더블린에세 서울까지: 여성의 투쟁으로 인정된 기본권

지난해 아일랜드에서 낙태를 전면 금지하는 수정 헌법이 폐지되는 기념비적인 승리를 올렸다. 국제앰네스티 아일랜드지부를 비롯한 아일랜드 여성 인권옹호자들의 분연한 투쟁의 결과다.…

인권으로 보는 아카데미 후보작

매년 헐리우드 최대의 관심이 쏠리는 아카데미 시상식이 지난 2월 24일 진행된 가운데, 앰네스티는 이번 아카데미 후보작들에서 다뤄진 인권을 살펴보았다. 아쉽게도 수상에 이르지는…

신념과 힘, 저항과 위대한 용기를 가지세요!

원로 활동가들이 젊은 세대에게 보내는 메시지 1948년 12월 10일 유엔 총회에서 세계인권선언(UDHR)이 채택됐다. 세계인권선언은 인종과 정치적 의견, 성적 지향성 또는…

한국, 진전은 있었지만 예멘 난민 신청자에게 더 지원해야

아놀드 팡(Arnold Fang)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조사관 동아시아의 인기 휴양지인 아름다운 섬 제주도에 가을이 찾아왔다. 갓 수확된 제주 특산물 감귤이 시장 곳곳에서 나오고…

여론의 압박은 예멘 난민들의 안전 위협하는 명분이 될 수 없다

히로카 쇼지Hiroka Shoji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담당 조사관 아름다운 섬 제주도는 매년 관광객 수백만 명이 찾는 한국의 인기 관광지다. 올해 이 제주도를 찾은 방문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