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 저자 오연호와 함께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철학사이다/바로이책3 - 저자 오연호와 함께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안데르센, 인어공주의 나라로 알려진 덴마크는 본토 크기 43,094㎢, 인구 6백만의 북유럽의…
철학사이다/바로이책3 - 저자 오연호와 함께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안데르센, 인어공주의 나라로 알려진 덴마크는 본토 크기 43,094㎢, 인구 6백만의 북유럽의…
철학사이다/바로이책 2 - 『김영란의 열린 법 이야기』 <철학사이다 바로 이책> 두번째 이야기 입니다. 『김영란의 열린 법 이야기』의 저자인 김영란 교수(전…
톡톡! 철학사이다 7화 - '자유'란 무엇인가 정치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여섯 가지 키워드, 삶과 사회를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는 키워드 두번째 주제 '자유'편…
톡톡! 철학사이다 6화 - '시민'이란 누구인가 철학사이다 테마토크는 1~5화까지 지구적 불평등의 문제, 차별과 혐오, 민주주의 등 철학적으로 사유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를…
철학사이다/바로 그 책 『미국의 주인이 바뀐다』 사유하고 이야기 하는 다정한 민주주의자들의 팟캐스트, 철학사이다. 테마토크, 강좌 새로운 시작에 이어 좀더 깊은…
톡톡! 철학사이다 특집 - 미국 대선 따라잡기 2회 : 미국 대선의 정치, 경제, 사회 배경 철학사이다 특집 미국 대선 따라잡기 2회 입니다. 미국 대선을…
톡톡! 철학사이다 특집 - 미국 대선 따라잡기 1회 : 미국 정당 조직의 역사와 특성 미국의 45대 대통령 선거가 11월 8일에 치러집니다. 톡톡! 철학사이다…
철학사이다/테마토크 "차이, 차별, 혐오" 2회 미국 공화당의 대선후보인 트럼프의 혐오를 부추기는 발언들, 유럽의 이민자들에 대한 차별과 혐오 그리고 극우정당의 득세까지…
철학사이다/테마토크 "차이, 차별, 혐오" 1회 사람은 생김새와 같은 신체적 특징 뿐 아니라 성격, 재능, 종교, 문화, 정치적 견해에 이르기 까지 모두 다릅니다. 이…
철학사이다/테마토크.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당신은? 3회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당신은?' 마지막 편입니다. 이번 회는 '자유, 나라사랑, 애국'이라는 단어가 갖고…
철학사이다/테마토크.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당신은? 2회 한국사회의 진보와 보수의 기원은 무엇일까요? 멀게는 구한말 부터 해방이후까지 보수의 기원을 찾는 '설'이…
철학사이다/강좌8. 왜 다시 도덕인가? "윤리적 기반을 잃은 정치야말로 국가와 시민의 공공선에 해악을 끼치는 가장 무서운 적이다. 따라서 공직자와 정치인의 도덕성은…
철학사이다 테마토크 /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당신은?” 1회 요즘 한국 사회에서 '진보, 보수'라는 단어는 공존할 수 없는 상극처럼 취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철학사이다/강좌6. 베버, 지도자의 카리스마를 말하다 책임과 권위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권위 없는 책임이란 있을 수 없으며 책임이 따르지 않는 권위도 있을 수…
철학사이다/강좌5. 마키아벨리, 공화국의 지도자를 말하다 '좋은 정치지도자란 누구인가?' 제5강입니다. 지난번 4강에 이어 마키아벨리의 『로마사논고』에 나타난…
미국 대선의 공화당 경선 선두주자인 도널드 트럼프가 "멕시코 불법 이민자를 막기 위해 국경에 거대한 장벽을 세우겠다"고 하자 미국 국경순찰대가 지지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철학사이다/강좌4. 마키아벨리, 새로운 군주를 말하다 '좋은 정치지도자란 누구인가?' 제4강입니다. 4~5강에서 살펴볼 마키아벨리의 리더쉽은 '누가 가장 효과적인…
3번째 주제 [숨은 '민주주의' 찾기] 2회 - 51:49를 넘어서 숨은 '민주주의' 찾기 두번째 시간입니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주요 정당의 공천 과정을…
3번째 주제 [숨은 '민주주의' 찾기] - 1회. 승자독식, 한방 민주주의? 소수가 다수에 맞서 자신의 생각을 당당하게 펼칠 수 있어야 참된 민주주의다 - 존 스튜어트 밀…
철학사이다/강좌3. 플라톤은 어떻게 지식과 권력을 결합시키려 했을까? 만약 승자들이 스스로 법에 대한 복종을 거부하기 보다 법에 더욱 복종한다면, 모든 것은 안전하고 …
'좋은 정치지도자란 누구인가?' 제2강입니다. 플라톤은 정치지도자의 할 일은 도덕, 올바름, 정의를 정치적 삶에 구현하는 것이라고 보았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