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최병성 목사의 기고문 <산림청이 저지른 엄청난 사건, 국민 생명 위험하다>이 오마이뉴스에 발표된 이후 산림청의 대규모 벌목을 둘러싸고 커다란 논란이 이어졌다. 그리고 김성환 의원은 오마이뉴스에 <[반론] ‘나무를 베면 안된다’는 함정을 넘어>라는 기고문을 발표하한 바 있다.

필자는 이메일 아이디도 나무(namoo)라고 쓰고 있을 정도로 평소 나무에 나름 큰 애정을 가져왔다. 또 그간 10여 년 동안 가로수에 대한 과도한 가지치기를 시행하는 각 구청과 시청에 계속하여 민원을 제기해왔던 터라 김 의원의 기고문과 그것을 둘러싼 동향에 대하여 당연히 주목할 수밖에 없었다.

 

 

김의원 기고문에 대한 여러 구체적 반론들이 제시되었다

김성환 의원의 기고문이 발표된 뒤 그에 대해 원 기고자인 최병성 목사의 반론 기고문도 두 편 발표되었고, 다른 기고자의 반론도 나왔으며 환경단체의 입장도 이어졌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김 의원은 그 뒤 아직 아무런 반응이 없다. 처음 쓴 그 기고문의 입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인지. 그러나 그 기고문의 몇 가지 중요한 팩트(fact)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반론이 제기된 상태이다.

이를테면, 사유림 벌목은 산림청과 무관하다는 주장에 대한 반론을 비롯하여 이른바 ’30년 이상 숲의 탄소흡수량 감소론’에 대해서도 나무와 토지에 축적되어있는 탄소량은 계산하지 않았고, 이밖에도 임도 건설을 비롯해 벌목과 운송, 가공,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탄소 배출 그리고 벌목으로 인해 사라질 수 있는 다양한 생물종에 대한 대책이 없다는 점들이 지적되었다. 그러면서 결국 국민 혈세가 묘목공급, 풀베기, 가지치기 등을 담당하는 산림조합과 산림법인 등의 배만 불려왔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관료사회와의 관계가 정부여당의 유능과 무능을 결정한다

김 의원의 해당 기고문은 5개에 이르는 표와 그림 모두 국립산림과학원 자료를 인용하고 있다. 그만큼 산림청 측의 논리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필자는 공무원들과 ‘정치’의 관계가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가는 우리 사회 운용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판단한다. 물론 공무원들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공무원들을 100% 신뢰할 수는 없다.

우리 공직 사회에 현실을 도외시한 탁상공론이 아직 적지 않고 조직이기주의와 관료주의의 병폐도 여전히 온존하고 있으며, 부정부패의 사슬 역시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직 사회에 대한 올바른 관리 및 적절한 통제는 ‘정치’의 중요한 과제이며, 이러한 문제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운용하는가에 따라 ‘정치’ 그리고 결국 정부의 유능과 무능이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김 의원은 지금도 해당 기고문의 입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지 아니면 부분적으로 수정할 내용이 있는지 그 입장을 제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책임 있는 정치인의 모습이며, 기고문을 발표한 기고자로서도 마땅히 지녀야 할 의무일 것이다.

필자가 이 문제를 중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방식으로 관료들의 보고서에 대한 ‘재점검’ 과정이 반드시 존재해야만 비로소 ‘정치’와 관료사회의 관계가 올바르게 정립되어갈 수 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소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