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경운동연합

지난 금요일(11/20), 이례적으로 쏟아진 가을 폭우 이후 백사실계곡을 찾았습니다. 백사실계곡의 주소는 부암동으로 표기되지만, 서울환경연합은 주로 신영동 자락에서부터 모니터링을 시작합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현통사에 다다르기 직전, 언제나 그렇듯이 인왕산을 바라봅니다. 여기저기 주거시설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습니다. 백사실계곡을 주로 이용하는 이용객들이 지역 주민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새롭게 깔린 야자 매트를 지나 발걸음을 옮기다 보면


©서울환경운동연합

현통사가 나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11월 18일과 19일 가을치고 이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린 탓인지 계곡의 수위가 전체적으로 높아진 것이 눈에 띕니다. 계곡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차분히 살피면서 올라가 보려 했으나 물이 가득 차 발 디딜 곳이 없었습니다. 지난여름 새롭게 시공한 최상류의 사방시설까지 모니터링을 하려면 걸어야 할 길이 멀기에 위에 깔려진 산책로를 통해 이동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산책로를 따라 이동하다 보니 평소에는 눈에 띠지 않았던 말뚝 하나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개발제한구역임을 표시하는 말뚝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듯 백사실계곡 일대는 개발제한구역, 즉 그린벨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의외로 이는 백사실계곡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이유이기도 합니다. 백사실계곡은 생태경관보전지역이자 그린벨트이자 명승지이자 주거지역과 인접하다는 다양한 이해관계가 맞물려 어느 것 하나 쉽게 결정지을 수 없는 양상을 보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산책로를 따라 올라오다 보니 평소보다 금방 별서터에 다다를 수 있었습니다. 별서터에서부터는 군데군데 사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백사실계곡에는 주로 시민들의 이용이 많거나, 주거지역이거나, 텃밭 등으로 이용되는 땅과 가까운 곳에 이런 사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별서터 연못에 물이 가득 찼습니다. 연못에 물찬게 뭐 대단하다고 이러나 싶으실 수 있지만, 이 연못은 좀 특별합니다. 장마철이 아니면 물이 차있는 걸 볼 수 없을 정도로 비가 정말 많이 내려야지만 차오르는 연못이거든요. 11월 18일부터 19일까지 내린 이틀간의 폭우가 어느 정도 수준이었는지를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이 정도 비가 내렸으면 강성 자재를 사용한 사방시설에도 영향이 있겠다 싶었습니다. 위 사진에 사방시설은 이번 비로 부서진 것은 아닙니다만, 저런 식으로 깨지거나 무너진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단 예시로 찍어봤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위 사진 사방시설에 어딘가 어색하게 돌이 쌓여져 있는 것은 지난봄 시설이 무너져 내린 것을 종로구청 녹지과 공무원분들이 직접 다시 쌓아 올려놓은 흔적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강성 자재라는 건 바위나 시멘트같이 단단한 자재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계곡가에 설치되는 사방시설은 그 특징상 일정 수준 이상의 수압(?)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아무리 튼튼하게 시설을 지어도 지속적으로 보수를 해줘야 합니다. 더군다나 시멘트와 같은 강성 자재들은 시공과정에서 수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사방시설의 경사는 생태계의 연결성을 단절시키기에 문제가 아주 많습니다만.. 생태’공원’으로서 이용되는 대부분 생태계보호지역의 특성상 시민안전에 대한 부분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며 사방시설들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안전에 대한 고려가 없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생태계보호지역임에도 생태계를 배려하지 않는 방식의 시공에 대해서는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방시설이 무너졌던 흔적을 지나 계속 걸음을 옮기다 보니 웬 토낭(흙이 담긴 주머니)이 계곡 한가운데에 놓여 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비의 영향으로 쌓여져 있던 토낭이 흘러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무너진 토낭을 옮겨보려 했으나.. 혼자서 나르기에는 너무 무거웠습니다.. 이 부분은 종로구청에 알려놓으려 합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무너진 토낭을 지나 계속 걸음을 옮겼습니다. 비가 많이 온 관계로 평소보다 길이 많이 미끄러웠습니다. 날이 추워진 탓에 도롱뇽도 개구리도 보이지 않습니다. 아마 사진 속 어딘가에서 동면을 준비 중이겠지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생태경관보전지역임에도 이런 것이 버려져 있습니다.. 이것도 누가 일부러 투척한 것이 아니라 비의 영향이라고 믿고 싶습니다. 아무래도 보호 지역 상류에 주거지역이 자리한 것이 이런 식으로 점오염원이 유입되는 등의 영향을 주고 있는듯합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종종 버들치가 보이는 것 외에는 별달리 눈에 띄는 생물도 없고, 평소보다 빨리 능금마을의 입구가 보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다시피 밟을만한 바위에 이끼가 아주 많습니다. 지난번에 한차례 넘어진 적이 있어.. 더더욱 조심해서 올라갑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상류라고 볼 수 있는 능금마을 자락에 다다르니 계곡 수위가 높거나 하진 않지만 물이 아주 셉니다. 많이 추워진 탓일까요? 여기까지 오르면서 탐방객을 한 명도 못 봤습니다. 평소에는 주민들도 오고 가고 탐방객들도 한두 팀은 꼭 있었는데 말이죠.


©서울환경운동연합

하수 정화시설을 지나고 나니, 아까 나왔던 것보다 폭이 넓은 사방시설이 등장했습니다. 여기서부터 최상류 까지는 폭에만 조금 차이가 있을 뿐 계속 이러한 사방시설이 이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했듯 사방시설의 경사는 생태계의 연결성을 단절시키는데 대표적으로 양서류가 받는 영향을 꼽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 양서류인 개구리의 경우 미디어적으로 형성된 이미지상 굉장히 높게 잘 뛸 것 같지만 대부분의 개구리가 앞으로는 잘 뛰어도 위로는 잘 못 뜁니다. 그렇다 보니 계곡과 산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가 없게 되고 갇혀 죽는 경우도 발생하는 것이죠.


©서울환경운동연합

능금마을을 지나 북악스카이웨이를 향해 걸음을 이어갑니다. 여기서부터는 계곡가를 따라 걸어갈 수가 없습니다. 위험하지만 도로가를 따라 걸어가야 하죠.


©서울환경운동연합

멀리 보이는 북한산이 멋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북악스카이웨이를 따라 걸어가다 보면 북악산 탐방로로 진입할 수 있는 입구가 하나 나옵니다. “수십 년 만에 시민에게 개방되었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려있는 것도 볼 수 있는데 입산 시간도 정해져 있고 창의문 안내소를 통해 출입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가용을 통해 이쪽 입구로 입산하는 분들도 있을지는(가능한지도) 모르겠네요.


©서울환경운동연합

보행자라고는 눈 씻고 찾아볼래도 없는 북악스카이웨이의 한가운데에 웬 표지판이 하나 있고 차들이 줄지어 있습니다. 이 길을 따라 들어가면 북악산 둘레를 돌아볼 수 있는 둘레길 같은 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 길을 따라서 걸어걸어 가다 보면~


©서울환경운동연합

요렇게 최상류의 사방시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최상류 사방시설은 다행히도 멀쩡했습니다. 올해 초여름 백사실계곡 최상류의 사방시설이 무너져서 다시금 강성 자재로 사방시설을 재시공하겠다는 구청을 만류하고 보다 생태적인 공법으로 사방시설을 보수할 수 있도록 했는데요.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사진상의 ‘토낭식 옹벽’입니다. 저 토낭에는 백사실계곡 인근의 흙이 채워져 있고 줄사철이라는 식물도 심어져 있습니다. 식물들이 자라서 서로를 얽어매면 더 튼튼한 사방시설로 완성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