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악산 밑자락 백사실계곡 초입에서부터 건너편 인왕산이 뚜렷하게 보이던 어제(5월 21일)! 서울환경연합은 한 달여 만에 다시금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 지역을 찾았습니다.
저는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 지역에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방문할 때 신영동 쪽 출입구를 통해 계곡에 진입하곤 합니다. 비록 부처님 오신 날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취소되었지만 부처님 오신 날이 지나갔다는 흔적이 눈에 확연히 띄네요!
이틀 전까지 내린 세찬 비 덕분인지 계곡의 물살이 꽤나 거세지고 수위도 생긴 것이 느껴집니다. 산란철 끝날 때쯤 돼서야 제대로 된 비가 좀 내린 것 같습니다. 불규칙적인 기후와 이 맘때 면 전국적으로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해 다양한 양서류들이 살아가는 백사실계곡의 양서류 서식환경은 그리 건강하지 많은 못했을 것입니다.
늘 그렇듯 현통 사 아래 부근을 먼저 살피며 출발했습니다. 두 달 전만 하더라도 다양한 난괴들이 자리 잡고 있었는데, 세차게 내린 비가 원인인지, 아니면 그냥 시간이 오래 지났을 뿐인 것인지 유독 양서류의 흔적을 찾아보기가 어려웠습니다.
성큼성큼 걸음을 옮겨 위로 올라왔습니다. 인근에 양봉을 하시는 분들이 계신지 백사실계곡 하류 인근에는 물을 먹으러 날아드는 벌들이 꽤나 많은데요.
날이 뜨거워져서인지 평소보다도 많은 벌들이 모여 물을 먹고 있었습니다. 꿀벌들의 활동 범위는 대략적으로 2km 수준이기에 근방에 꿀벌들이 살아가는 거점 혹은 양봉의 거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시 양봉은 1990년대 초반 런던 등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된 활동입니다. 유럽에서는 이런 꿀벌들이 오염 지수를 나타내는 환경지표종으로도 작용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꿀벌들을 보호하는 다양한 활동들을 진행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각설하고 꿀벌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살금살금 돌아 계곡으로 진입하였습니다. 비가 꽤나 내린 덕분에 물살도 거세지고 물도 많이 들어찼습니다. 백사실계곡에 주로 서식하는 무당개구리, 계곡산개구리, 도롱뇽 중, 도롱뇽과 계곡산개구리는 본디 계곡에 서식하는 종들이기에 계곡 바닥의 계류나 낙엽 등에 붙여 산란하여 난괴가 쉽사리 쓸려내려가지 않고 무당개구리는 아직 본격 산란을 시작할 시기가 아닌 데다가 계곡보다는 위쪽 별서터에 산란을 주로 하는 편이기에 물이 많아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비가 너무 많이 온 것일까요, 아니면 이 녀석들이 너무 잘 숨은 것일까요.. 꼼꼼히 살피면서 올라왔는데도 별서터에 다다랄 때까지도 그 흔한 올챙이 한 마리 만나볼 수 없었습니다. 백사실계곡이 다른 서식지에 비해 생물들의 산란이나 생장이 조금 늦는 편이고 아직 다리가 나올 정도로 성장하지도 않았을 텐데, 지난번 확인했던 청둥오리 등의 외부요인이나 얼마 전 쏟아진 강우로 인해 저~ 하류로 쓸려내려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잠시 쉴 겸 별서터 주위를 살펴보았습니다. 지난번 방문 당시보다 전체적으로 파래진 경향이 있고 난괴 등의 추가 산란 흔적은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무당개구리의 주 산란지인 연못을 살펴보는데, 여긴 아직 물이 다 들어차진 않았습니다. 옛날에도 이 연못은 비가 어지간히 많이 오는 경우가 아닌 이상엔 물이 가득 차지는 않긴 했습니다. 물이 적당히 들어차고 시간이 좀 지나야 무당개구리 소리를 좀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시금 발걸음을 돌려 계곡 안으로 들어섰습니다. 역시나 난 괴도 유생도 보이지 않지만, 지난번 모니터링 당시 발견했던 무너진 석축의 흔적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종로구청에 신고한 뒤 빠르게 복구가 된 것 같습니다. 다만 무너지지 않은 곳과 무너졌던 곳이 명확하게 대비됩니다. 시멘트 등의 다른 재료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만 다시 올려놓은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양옆을 헐고 물길을 넓히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강성 재료들은 결국 생태계의 단절을 보다 빠르게 야기하기에 보수를 명목으로 들이붓지 않고 손으로 쌓아 올려 다행인 것 같습니다.
버들치 같은 민물고기들이 꽤나 눈에 띄고 중간중간 올챙이들과 유생들도 발견했습니다. 너무 잘 숨어서 사진을 촬영하지는 못했는데.. 다음에는 수중을 촬영할 수 있는 도구들을 챙겨서 방문해야 할 것 같습니다..
5월이면 몇몇 종을 제외한 대다수 양서류들의 산란철이 끝나 갈 무렵입니다. 특히나 올해의 경우 평년보다 따듯한 기온으로 인해 산란도 빠른 편이었기에 추가적인 산란은 더 없을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보입니다.
그렇게 계곡을 훑고 훑으며 올라가다 보니 어느새 능금마을 초입까지 다다랐습니다. 여기까지 오면 확인할 포인트 들은 거의 확인을 했다고 봐야 하는데, 특별한 내용이 발견되지는 않았네요.
그래도 마지막에 계곡산개구리 올챙이로 추정되는 3cm 크기의 올챙이 열댓 마리를 만났습니다. 사진을 촬영하긴 했는데, 가까이 다가가니 바위 밑에 숨어버려서 명확하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올해의 경우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해 모니터링단을 모집하지 못한 채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는데요. 유난히 따듯했던 겨울 날씨와 바깥에서 날아든 조류 등의 천적들로 인해 백사실계곡의 생태계가 굉장히 다사다난 한 것 같습니다.
슬슬 아성체가 되어 뭍으로~ 산으로~ 떠나갈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기는 하지만 생각보다 이들의 생존을 직접 확인하기가 어려웁네요.. 이번 모니터링은 백사실계곡 생태계가 단절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가 무엇일지를 고민하게 되는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당장 무엇이 필요한지를 단정할 수는 없겠지만 그동안 꾸준히 얘기되어왔던 안식년제, 탐방 제한 등의 대책 외에도 생각보다 높은 계곡과 산지 사이를 소생물들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