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막바지를 앞두고 있던 지난 23일, 한 달여 만에 다시 백사실계곡을 찾았습니다!
한 달여의 시간 동안 백사실계곡에 어떤 변화가 있었을지를 기대하며, 생태 도시팀 김동언 팀장님과 함께 현통사를 향했습니다.
현통사 입구 근방에 들어서니 백사실계곡을 찾은 방문객들이 먼저 눈에 띄었습니다. 양서류의 산란기에는 될 수 있으면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는 것이 좋으나 종로구에서는 수성동계곡과 백사실계곡을 가보길 권하는 관광지로서 광고도 하더군요..
자연 생태와 경관을 보전하기 위해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서 지정된 만큼 구청에서도 일관되게 보전을 위한 노력을 겸해야 하지만, 아무래도 자연생태과와 관광과(혹은 홍보과?)의 목소리가 일맥상통하지 않는데서 문제가 생기지 않는가 싶습니다.
여차저차 계곡에 들어서서 현통사 아래 부근의 연못으로 내려갔습니다. 지난 모니터링과 특별히 다른 점이 눈에 띄지는 않았는데요, 버들치 몇 마리와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몇 마리가 헤엄을 치고 있었고 도롱뇽 유생은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얼마 전에 한차례 비가 쏟아졌던지라 아래 연못에 굉장히 많이 모여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그리 많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저 아래 홍제천까지 떠밀려 갔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현통사 아래 연못뿐 아니라 계곡 하류부터 별서터 까지는 별다른 소식은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조금 올라가다 보니 계곡 위에 청둥오리가 한 마리 있더군요. 왜 이렇게 유생들, 올챙이들이 안 보이나 했더니, 포식자인 오리가 나타나, 숨거나 도망쳤거나 잡아먹힌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런 와중 발견한 계곡산개구리알! 별서터에 거의 다다라서 발견했습니다. 백사실계곡은 다른 여러 양서류 서식지들과는 다르게 자연발생서식지인지라 원래 양서류의 개체 수가 다른 방사형 서식지에 비해 많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렇게까지 안 보인 것은 정말 이례적입니다.
얼마 전 비가 왔는데도 별서터에서 상류로 이어지는 길목에는 물이 거의 말라있습니다.
조금 더 올라가 보니 계곡가에 석축이 무너져 있더군요.. 조금 더 상류 부근에서 멧돼지 발자국을 발견했는데 관련이 있을까요..? 어찌 된 일이든 종로구청 자연생태과에 바로 신고했습니다.
상류로 이동하면 이동할수록 아래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반가운 소식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미 유생의 모습을 다 갖춘 도롱뇽 알부터 계곡산개구리 난괴와 올챙이까지 상류에 모여있었네요!
밝기 때문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표시한 부분을 자세히 보시면 올챙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능금마을 초입까지 산란이 있는지 부화는 했는지를 살피며 이동하다 보니 도롱뇽 난괴를 몇 개체 더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난괴 안을 자세히 살펴보시면 이미 유생의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즘에서 한번 설명드리자면 도롱뇽의 알은 각각의 유생을 둘러싸는 작은 우무질인 내층과 그 내층들을 전부 감싼 주머니 형태의 우무질인 외층으로 구성이 됩니다. 도롱뇽 유생들은 두 겹의 우무질로 둘러싸인 알에서 충분히 성장을 한 후에 내층이 자연스레 녹아 없어지면 외층 끝의 주머니를 통해 바깥에 나오게 되죠.
난괴 안에서 성장한 정도를 봤을 때는 아마 조만간 세상에 나오게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됩니다!
조사를 마치고 돌아서는 길, 현통사 부근이 아닌 다른 방면을 통해 하산하다 익숙한 철망을 발견하였습니다. 서초구 서리풀공원 인근 사유지에 쳐져 있던 바로 그 연두색 철망! 백사실계곡은 뛰어난 자연생태계와 훌륭한 경관을 보전하기 위해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백사실과 인접한 북안산 지역들은 연결녹지인 비오톱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만큼 또 개인의 사유지도 많고, 이에 따른 개발 욕구도 많은 곳입니다.
기후위기로 멸종될 위기에 처한 양서류들이 도심 속에서 오래오래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백사실계곡과 인근 녹지들은 오래도록 보전되어야 하며, 서울환경연합은 이를 위해 앞으로도 백사실계곡의 보전을 위한 노력을 계속 이어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