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일본군성노예제 페이지

결과: 1 - 8 of 8

[목차] 복지동향 2019년 1월호: 사회복지시설의 사유화

복지동향 제243호: 2019년 1월 발간   편집인의 글 복지동향 제243호 | 김형용 편집위원장,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기획주제: 사회복지시설의 사유화 [기획1]…

조회수: 39

70년이 지난 지금도 ‘위안부’ 문제가 중요한 이유

히로카 쇼지(Hiroka Shoji)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조사관이 글은 The Diplomat에 동시 게재되었습니다. 과거의 잔혹행위를 제대로 해결하지 않으려는 태도는 오늘날…

조회수: 99

[시평 443] 할머니들의 '미투' 27년, 가해자는 여전히 적반하장

할머니의 '미투' 27년, 가해자는 여전히 적반하장 99주년 3.1절에 다시 듣는 그들의 목소리, 아! 해방!   윤미향 정대협 공동대표     김학순 할머니의 목소리  …

조회수: 203

[성명] 문재인 정부 출범 7개월, 2015 한일합의 무효화 공약 실행하라!

문재인 정부 출범 7개월, 2015 한일합의 무효화 공약 실행하고,  화해치유재단 해산! 일본정부에게 10억 엔을 반환하라!  성명서 [원문보기/다운로드]   다가오는 12월…

조회수: 172

일본군 성노예 문제를 보는 시점. 과거, 현재, 그리고

명성준, 자유기고가 영화의 제목만으로는 무언가를 말하겠다는 것은 알 수 있지만, 그게 무엇인지는 잘 모릅니다. 하지만 입소문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이야기하는 영화인지 알고…

조회수: 193

<귀향>과 <눈길> 그리고 <어폴로지> ; 일본군 성노예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민족주의 혹은 포르노 지난 1월, KT가 제공하는 올레TV의 VOD 서비스에서 “성폭행 영화” 카테고리에 ‘위안부’ 소재의 영화 <귀향>이 검색결과로 나타나서 한바탕…

조회수: 337

[국제앰네스티X올드독] 다담은 담요 출시!

사무실, 도서관, 카페, 집회, 시위 등 언제, 어디에서든 시도 때도 없이 기억해야 할 이야기들과 우리가 보여준 변화와 힘을 한 장의 담요에 다 담았습니다. 국제앰네스티에…

조회수: 406

일본: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보내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에 대한 의견서

6차 회의(2016/2/15-3/14)에 대한 의견서 개요 국제앰네스티는 일본에 대한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CEDAW)의 7, 8차 정례보고서 검토에 앞서 다음 내용을…

조회수: 195